• 제목/요약/키워드: Da No.

검색결과 1,359건 처리시간 0.03초

들깨잎 폴리페놀 산화효소의 pH 및 온도에 의한 영향 (Influence of Ph and Temperature on Polyphenol Oxidase in the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 김유경;김안근
    • 약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384-390
    • /
    • 2004
  • Polyphenol oxidase-catalyzed oxidation of substrates (t-butylcatechol, 4-methylcatechol,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and pyrocatechol) were performed in the Ph range 4~8. Co ncentrations of substrate's major oxidation products were monito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The nature and amounts of products formed were highly pH dependent. They also were ifluenced by kinds of substrates. Major oxidation product of 4-methylcatechol appeared the maxium value at pH 5, them of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and pyrocatechol at pH 6.0 and that of t-butylcatechol at pH 5~7. Time-dependent PPO activity was determined at $4^{\circ}C\;and\;30^{\circ}C$. PPO extracted by phosphate buffer containing triton X-114 (t-PPO) was more stable than PPO by phosphate buffer (b-PPO). The result of electrophoresis, at first PPO was showed only a band at 48 kd. After 1~3 days a partial degrade band was appeared in b-PPO and three partial degrade bands in t-PPO. No activity band was appeared in PPOs at $30^{\circ}C$ and b-PPO at $4^{\circ}C$ after 4 days. And a band (37 kDa) in t-PPO was remained finally and disappered. PPO from Perillae leaves has two activity bands at 48 and 37 kDa in previous paper. It was supposed that PPO in the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was a protein having one molecular weight as 48 kDa. And 37 kDa protein, relatively proteolysis-resistant, was a proteolyzed form of a major form.

이온화 방사선 조사에 의해 얻어진 저분자 laminarin의 분자구조 특성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Low Molecular Weight Laminarin Prepared by Ionizing Irradiation)

  • 최종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6호
    • /
    • pp.780-783
    • /
    • 2013
  • 저분자량의 laminarin은 항산화능과 같은 생물학적 물성이 고분자량의 laminarin과 비교하여 증가하였다는 최근의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저분자화에 따른 laminarin 생물활성의 증가 원인을 밝히고자 본 논문에서는 이온화 방사선 조사를 통하여 얻어진 저분자량 laminarin의 분자구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5 kDa 크기의 분자량을 갖는 laminarin을 이온화 방사선 조사를 이용하여 13.5, 8.5, 7, 6 kDa 크기의 저분자량 laminarin 시료들을 얻었다. 얻어진 저분자량 laminarin은 고분자량 laminarin에 비하여 낮은 polydispersity 값을 가졌다. 방사선 조사에 의한 저분자화에 따른 laminarin 기능기들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Fourier-transform infrared 분석을 수행한 결과, 분자량 감소에 따라서 대부분의 기능기들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carbonyl group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Laminarin 입자의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분석으로부터 저분자량 laminarin에서 glycosidic 결합의 분해에 의한 입자 균열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laminarin과 같은 다당류의 저분자화에 따른 기능성 변화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iscrimination of white ginseng origins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sets

  • Song, Hyuk-Hwan;Moon, Ji Young;Ryu, Hyung Won;Noh, Bong-Soo;Kim, Jeong-Han;Lee, Hyeong-Kyu;Oh, Sei-Rya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8권3호
    • /
    • pp.187-193
    • /
    • 2014
  • Background: White ginseng (Panax ginseng Meyer) is commonly distributed as a health food in food markets. However, there is no practical method for distinguishing Korean white ginseng (KWG) from Chinese white ginseng (CWG), except for relying on the traceability system in the market. Methods: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quadrupole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combined with orthogonal partial least squares discrimination analysis (OPLS-DA) was employed to discriminate between KWG and CWG. Results: The origins of white ginsengs in two test sets ($1.0{\mu}L$ and $0.2{\mu}L$ injections) could be successfully discriminated by the OPLS-DA analysis. From OPLS-DA S-plots, KWG exhibited tentative markers derived from ginsenoside Rf and notoginsenoside R3 isomer, whereas CWG exhibited tentative markers derived from ginsenoside Ro and chikusetsusaponin Iva. Conclusion: Results suggest that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quadrupole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coupled with OPLS-DA is an efficient tool for ident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ographical origins of white ginsengs.

고마리와 소리쟁이에 의한 $Cd^{2+}$$Pb^{2+}$의 흡수 및 phytochelatin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bsorption of $Cd^{2+}$ and $Pb^{2+}$ by Persicaria thunbergii and Rumex crispus, and Their Phytochelatin)

  • 강경홍;김인성;구정숙
    • 환경생물
    • /
    • 제18권2호
    • /
    • pp.269-277
    • /
    • 2000
  • 고마리와 소리쟁이에 Cd$^{2+}$와 Pb$^{2+}$를 각각 5 및 10mM로 5일간 처리한 결과, 고마리에서는 중금속 5mM처리구의 경우 Pb$^{2+}$가 Cd$^{2+}$보다 약 3.5배, 10mM의 경우 약 2.9배로 Pb$^{2+}$의 농축량이 높게 검출된 반면, 소리쟁이는 Cd$^{2+}$ 5mM에서 약 1.49$\mu\textrm{g}$/g, 10mM에서 약 2.90$\mu\textrm{g}$/g그리고 Pb$^{2+}$ 5mM에서 약 1.83$\mu\textrm{g}$/g, 10mM에서 약 2.73$\mu\textrm{g}$/g로 검출되어 처리농도별 Cd$^{2+}$와 Pb$^{2+}$의 농축량은 비슷하였다. 고마리와 소리쟁의 배양액(pH 6.5)에 Cd$^{2+}$와 Pb$^{2+}$를 5및 10mM로 혼합하여 처리한 후 각 실험구 토양의 중금속 잔류율과 pH는 대조구에 비해 고마리를 배양하며 Cd$^{2+}$5mM을 처리한 경우 약 77.1%와 pH 6.39, 10mM을 처리한 경우 약 90.2%와 PH 5.97 그리고 Pb$^{2+}$ 5mM을 처리한 경우 약 81.1%와 pH 6.00, 10mM을 처리한 경우 약 85.7%와 pH 5.80, 소리쟁이를 배양하며 Cd$^{2+}$ 5mM을 처리한 경우 약 83.9%와 pH 6.32, 10mM을 처리한 경우 약 93.7%와 pH 6.02 그리고 Pb$^{2+}$ 5mM을 처리한 경우 약 88.6%와 pH 6.27, 10mM을 처리한 경우 약 90.0%와 pH 6.02정도였다. Phytochelatin은 고마리와 소리쟁이에서 모두 Cd$^{2+}$와 Pb$^{2+}$ 무처리구에 비해 5와 10mM처리구에서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식물재료 내에서 중금속에 의해 유도된 Phytochelatin의 분자량은 고마리의 경우 Cd$^{2+}$에 의해서는 약 4,300-8,600 da, Pb$^{2+}$에 의해서는 약 3,200-9,700 da, 소리쟁이 의 경우 Cd$^{2+}$에서는 약 4,300 da, Pb$^{2+}$에 의해서는 약 3,200-7,500 da 정도였다.

  • PDF

젖산나트륨과 키토산을 첨가한 저지방 기능성 소시지의 15℃에서 저장 중 품질 및 저장성 효과 (Product Quality and Shelf-life Effect of Low-fat Functional Sausages Manufactured with Sodium Lactate and Chitosans During Storage at 15℃)

  • 진구복;국성호;최순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655-666
    • /
    • 2005
  • 본 연구는 젖산나트륨과 다양한 분자량이 각기 다른 키토산을 저지방 기능성 소시지의 제조 시 첨가하여 15$^{\circ}C$에서 저장 중 이화학적 및 조직적인 성상과 항균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실시하였으며 락색소를 첨가하여 아질산염과 대체할 수 있는 발색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제조한 저지방 기능성 소시지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 73.7- 76.0, 지방 2.5-2.7 그리고 단백질은 14.3-15.3%의 수준이었다. 각 처리구별 pH는 6.30-6.44 범위였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분자 키토산(1.5kDa)을 첨가한 처리구의 보수력이 중분자(30-50kDa) 키토산 처리구보다 높았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젖산나트륨과 키토산의 첨가에 따른 진공 감량에서의 차이는 없었으며 저장 기간 중에서도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키토산 첨가에 의한 명도(L)와 황색도(b)가 낮았으며 락색소를 0.05% 첨가한 처리구의 적색도는 아질산염 150ppm 보다 낮았으나 아질산염 무첨가 처리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15$^{\circ}C$에서 저장기간 동안에 명도(L)와 황색도(b)는 차이가 없었으며 적색도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젖산나트륨과 중분자 키토산(30-50 kDa)을 첨가한 처리구는 다른 처리구에 비해 모든 조직적 성상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탄력성, 검성, 저작성 그리고 응집성에서 저분자(1.5kDa)와 고분자(200kDa)의 처리구보다 높았다(p< 0.05). 저장 기간 중 모든 조직적 성상들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03CFU/g 수준으로 접종한 병원성미생물의 성장도를 살펴보면 Salmonella typhimurium과 Listeria monocytogenes는 아질산염 150ppm을 첨가한 대조구와 무첨가구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E. coli O157:H7은 아질산염 150ppm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성장도를 보였다(p<0.05). 키토산 분자량별로 살펴보면 저분자의 경우 젖산나트륨만 첨가된 것과 비교하여 유의차를 보이지 않아(p>0.05) 상승효과를 보이지 않은 반면 중, 고분자의 경우 젖산나트륨 처리구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은 미생물 성장도를 보였다(p<0.05). 특히 고분자 처리구는 저분자 키토산에 비해 안정된 미생물 성장도를 보이며, L. monocytogenes에 대해 가장 강한 항균 작용을 보였다(p<0.05). L. monocytogenes는 고분자 키토산 첨가구가 저장 9일째까지 4 log CFU/g 이하의 균수를 유지함으로써, 젖산나트륨 첨가구와 비교하여 2 log CFU/g 이상의 차이를 보이며 가장 뛰어난 항균효과를 보였으나 저장 후기로 갈수록 그 차이가 미미하였다. 결론적으로 젖산나트륨과 키토산을 첨가한 처리구의 항균 효과는 아질산염 150 ppm을 첨가한 대조구보다 훨씬 높았고 다양한 분자량의 키토산 중에서 고분자 키토산이 다른 분자량의 키토산의 처리구들보다 L. monocytogenes에 대한 강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젖산나트륨에 중분자 키토산을 첨가한 처리구는 대부분의 조직적 성상에서 다른 처리구들보다 높았으며 락색소에 의한 발색효과는 아질산염 150 ppm 보다 낮았지만 아질산염 무첨가구에 비해 발색효과가 좋아 일부는 대체가 가능하였으나 완전 대체는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Microstructures and Properties of Molybdenum Wire Doped with Minim $La_2O_3$

  • Li, DaCheng;Bu, Chunyang;Zhu, Yong-An;Wang, Jin
    • 한국분말야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분말야금학회 2006년도 Extended Abstracts of 2006 POWDER METALLURGY World Congress Part2
    • /
    • pp.1015-1016
    • /
    • 2006
  • The microstructures and properties of pure molybdenum wire and $Mo-La_2O_3$ alloy wire annealed at different temperatures are investigated systematically in this paper. It is shown that the 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toughness and strength at room temperature of this wire was increased greatly by addition of $La_2O_3$. The room temperature embrittlement of this wire annealed at high temperature is improved remarkably.

  • PDF

분자량에 따라 분획된 유청단백분해물이 Bifidobacterium bifidum Bb-11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hey Protein Hydrolyzates Fractionated by Molecular Weight on the Growth of Bifidobacterium bifidum Bb-11)

  • 김완섭;박승용;이범진;김평현;고준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9-65
    • /
    • 2002
  • 이 연구는 Whey배지에 Whey protein concentrate 80% (WPC-80)와 Whey protein isolate(WPI)를 첨가하여 B. bifidum Bb-11의 생장촉진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또 이 단백질들의 구성성분인 $\alpha$-Lactalbumin과 $\beta$-Lactogluburin을 trypsin으로 처리하여 얻어진 분해물을 분자량에 따라 분획하여 각 분획별로 그 효과를 구명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WPC 첨가에 의한 효과는 대조구에 비하여 생장촉진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첨가농도에 따른 차이는 근소하였다. WPI는 뚜렷한 생장촉진효과를 보여주지 못하였으며, 첨가량이 많을수록 생장이 억제되었다. 두 종류의 유청단백질을 4$0^{\circ}C$에서 6시간 동안 trypsin처리한 후 UF처리에 의하여 분획하고 각 분획들을 Centricon-30 으로 농축한 후, 얻어진 $\alpha$-lactalbumin 분해물 3분획에 대한 단백질농도는 각각 11.63mg, 7.79mg 및 5.21mg 이었고, $\beta$-Lactoglubulin 분해물 3분획은 각각 4.12mg, 5.30 mg 및 9.35mg 이었다. $\alpha$-Lactalbumin분해물 세 분획 모두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생장촉진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중에서 분자량 10,000~3,000Da(F-II)과 3,000Da 이하(F-III)의 두 분획이 모두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분자량 10,000Da 이하의 peptide들이 bifidobacteria의 생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beta$-Lactoglubulin 분해물 세 분획들도 대조구에 비하여 생장이 좋게 나타났다. 분자량 10,000Da 이하의 peptide를 함유하는 두 분획은 생장이 우수하였으며 배양 24 시간후에는 분자량 3,000Da 이상의 두 분획(F-I, F-II)이 대조구에 비하여 빠르게 생장이 저하된 반면, 분자량 3,000 Da이하의 분획(F-III)에서는 계속적인 생장촉진효과를 보여주었다.

N-(4-[$^{18}F$Fluoromethylbenzyl)spiperone : 유력한 도파민 $D_2$ 수용체 선택성 방사성리간드 (N-(4-[$^{18}F$]Fluoromethylbenzyl)spiperone : A Selective Radiotracer for In Vivo Studies of Dopamine $D_2$ Receptors)

  • 김상은;최연성;지대윤;이경한;최용;김병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21-426
    • /
    • 1997
  • [$^{18}F$]FMBS는 도파민 $D_2$ 수용체 방사성추적자로서 유망한 성질을 지니고 있다. [$^{18}F$]FMBS는 비교적 높은 특이결합/비특이결합 비를 제공하며, 그 체내결합은 도파민 $D_2$ 수용체에 대하여 높은 특이성과 선택성을 보인다. 도파빈 $D_2$ 수용체 측정을 위한 보다 적합한 PET 방사성추적자를 얻기 위해서는 [$^{18}F$]FMBS의 낮은 뇌섭취와 느린 역학을 개선할 수 있는 화학적 구조의 변형이 시도되어야 하며, [$^{18}F$]FMBS는 이러한 시도의 골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 PDF

분리막을 이용한 천일염내 불순물 및 미세플라스틱 제거에 관한 연구 (Removal of Harmful Impurities Including Microplastics in Sun-Dried Sea Salt by Membrane Technology)

  • 임시우;서채희;홍승관;김정훈
    • 멤브레인
    • /
    • 제32권5호
    • /
    • pp.314-32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분리막을 이용하여 천일염내 미세플라스틱을 비롯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분리막 공정 설계를 위한 연구이다. 천일염 염전에 적합한 분리막 재질, 공경 사이즈, 모듈을 선정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선정된 200 kDa, 4 kDa 한외여과막 그리고 3 kDa 나노여과막을 선정하였고, 실험은 실험실과 실제 염전에 파일롯 플랜트를 건설하여 각각 실험하였다. 천일염내 불순물은 대부분 0.1 ㎛ 이상의 크기를 가졌고 크기 분포는 0.1 ㎛에서 1 ㎛ 사이 입자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성분 분석결과 불순물 내에 7종류 이상의 다양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다. 분리막 공정 이후 여과된 염전수 분석한 결과 미세플라스틱을 포함한 불순물이 검출되지 않았고 기존의 천일염과 분리막 여과수로 제작한 천일염의 성분 비교해본 결과 천일염 성분의 변화 없이 불순물만 효과적으로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Cloning and sequence analysis of Wild Argali short palate, lung and nasal epithelium clone 1 cDNA

  • Shen, Wen;Chen, Kaili;Sun, Yanming;Guo, Haiying;Chen, Dongmei;Cao, Ya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5호
    • /
    • pp.736-742
    • /
    • 2017
  • Objectiv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lone the sequence of Wild Argali short palate, lung and nasal epithelium clone 1 (SPLUNC1) cDNA,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further study the biological function of Wild Argali SPLUNC1. Methods: The complete sequence of Wild Argali SPLUNC1 cDNA was generated by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The entire coding sequence was inserted into the pPIC9K vector and expressed in Pichia pastoris (P. pastoris) GS115. The recombinant SPLUNC1 protein was detected by Western blot and purified by $Ni^{2+}$ chelate affinity chromatography. The test of effect of the protein on Mycoplasma ovipneumoniae (MO) was performed with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The Wild Argali SPLUNC1 cDNA was 1,076 bp with an open reading frame of 768 bp, which encoded a 26.49 kDa protein composed of 255 amino acids. Its amino acid sequence shared 98.4%, 96.9%, 94.5%, 90.2%, 80.8%, 78.4%, 78.3%, 72.5%, 72.3%, 68.8% identity with those of SPLUNC1 cDNA from Ovis aries (accession no. NP_001288334.1), Capra hircus (accession no. XP_005688516.1), Pantholops hodgsonii (accession no. XP_005979709.1), Bos taurus (accession no. NP_776851.1), Felis catus (accession no. XP_006929910.1), Homo sapiens (accession no. NP_001230122.1), Sus scrofa (accession no. NP_001005727.1), Chinchilla lanigera (accession no. NP_001269294.1), Mus musculus (accession no. NP_035256.2), and Rattus norvegicus (accession no. NP_742028.1), respectively. The recombinant protein corresponded to the expected molecular mass of 25.47 kDa as judged by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it was detected in the supernatant of P. pastoris, and it could be purified. The results from the test of inhibition effect of argali recombinant SPLUNC1 protein on MO showed that the product could inhibit MO very well (p<0.01). Conclusion: The amino acid sequence of Wild Argali SPLUNC1 was different from other organisms. The recombinant SPLUNC1 protein has good biological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