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D4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3초

신생아 행동 특성과 Dopamine Transporter 유전자 및 Dopamine D2, D3, D4 수용체 유전자의 다형성 (NEONAT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DOPAMINE TRANSPORTER GENE AND DOPAMINE D2, D3, D4 RECEPTOR GENE POLYMORPHISMS)

  • 박영남;김대광;김성욱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2호
    • /
    • pp.179-191
    • /
    • 2001
  • 연구목적:신생아의 행동 특성과 DAT1, DRD2, DRD3 및 DRD4 유전자 다형성 사이에 연관이 있는지 평가하였다. 방 법:2000년 4월 17일부터 2000년 6월 17일까지 출생한 정상 신생아 1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생아 행동 평가는 Neonatal Behavioral Assessment Scale(NBAS)을 이용하여 생후 약 18시간에 평가하였으며, 출산시 제대혈액을 채취하여 DAT1, DRD2, DRD3 및 DRD4 유전자 다형성을 검사하였다. DAT1, DRD2, DRD3 및 DRD4 유전자의 유전자형에 따라서 집단 사이에 NBAS 7개 항목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 과:DAT1 유전자는 10/10 유전자형 집단과 비교해서 기타 유전자형 집단이 사회성-상호작용, 상태 조직력 및 상태 조절 능력 항목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 DRD2 유전자 Ser311/Cys311 유전자형은 Ser/Ser 유전자형 집단과 기타 유전자형 집단 사이에 NBAS 항목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DRD2 유전자는 TaqI A 및 TaqI B 유전자형에 의한 집단 사이에 NBAS 항목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DRD3 유전자는 유전자형에 의한 집단 사이에 NBAS 항목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DRD4 유전자 promoter 유전자형에 의한 집단 사이에 NBAS 항목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DRD4 유전자 반복배열이 긴 유전자형 집단은 짧은 유전자형 집단보다 습관화 항목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이러한 성적은 DAT1 및 DRD4 유전자 반복배열 다형성이 신생아 행동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기전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정신분열병에서 도파민 D4 수용체(DRD4) 유전자의 다형성 (Association of Dopamine D4 Receptor(DRD4) Gene Polymorphism with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 이홍석;이민수;한덕정;이헌정
    • 생물정신의학
    • /
    • 제7권2호
    • /
    • pp.152-158
    • /
    • 2000
  • 정신분열병과 DRD4 다형성이 연관이 없다는 보고들이 있어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결과로부터 정신분열병과 DRD4가 연관이 없다고 결론 내리는 것은 성급한 것일 수도 있다. 정신분열병의 유전적 취약성은 여러 유전자좌(locus)들이 같이 상호작용(interaction) 또는 공작용(coaction)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크다. 저자들은 DRD4 유전자의 exon III 48-염기쌍 다형성 [D4E3]과 exon I 12-염기쌍 다형성[D4E1]의 조합과 정신분열병의 연관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207명의 친척이 아닌 한국인 정신분열병 환자와 191명의 정상 대조군이 연구에 참여했다. DRD4 유전자형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의 유전자형과 대립유전자의 빈도간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두 군간에 다형성에 있어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모든 유전자형의 빈도는 Hardy-Weinberg equilibrium에서 예상되는 분포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서 DRD4 유전자의 다형성을 조합하여, D4E1과 D4E3 다형성의 조합의 분포에 있어 비교하였을 때, $A1A2^*2/4$의 분포에 있어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이러한 소견은 D4E1과 D4E3 다형성의 조합중 하나인 $A1A2^*2/4$이 정신분열병의 취약성에 있어 방어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도파민 소용체 제4형 Exon III 다형성과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의 연합연구 (No Association of DRD4 Exon III Polymorphism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Korean Children Population)

  • 조수철;박태원;김재원;유희정;김붕년;신민섭;황준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8권2호
    • /
    • pp.154-161
    • /
    • 2007
  • Objectives: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test for the association of DRD4 exon III VNTR polymorphism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in Korean children population. Methods: 113 Korean children with ADHD, 102 parents, and 133 control subjects participated with the current study. The distribution of genotypes and alleles of DRD4 exon III VNTR in children with ADHD was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 subjects. In addition, 69 children with ADHD and their parents were analyzed using the transmission disequilibrium test(TDT). Results: We could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genotypes and alleles at DRD4 exon III VNTR polymorphism between children with ADHD and control subjects. In addition, there was no preferential transmission of long allele of DRD4 exon III VNTR polymorphism.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RD4 is not associated with ADHD in Korean children population.

  • PDF

말에서 Dopamine Receptor D4 유전자의 변이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Dopamine Receptor D4 Gene Polymorphisms in Horses)

  • 최재영;최연주;이종안;신상민;윤민중;강용준;신문철;유지현;김현아;조인철;양병철;김남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9-35
    • /
    • 2022
  • 본 연구는 여러 말 품종에서 Dopamine Receptor D4 (DRD4)의 유전적 다형성 및 Jeju crossbred에서의 기질특성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DRD4 유전자의 다형성은 인간을 포함한 다양한 포유동물에서 기질과 연관된 후보 유전자이다. 말의 DRD4의 엑손 3번 영역에 있는 SNP G292A는 Thoroughbred에서 호기심과 경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세 가지 말 품종에서 DRD4 유전자 내 존재하는 변이들의 다형성을 확인하기 위해 Sanger sequencing을 활용하였다. 제주마에서 각각의 빈도는 타 품종과 큰 차이를 보였다. 말의 품성 평가는 Jeju crossbred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기질 평가와 접촉 평가를 활용하여 각각 5개 항목과 2개 항목을 점수화 하였다. 품성 평가 결과 각 항목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말의 DRD4 유전자 내 변이와 품성 평가 결과를 비교한 결과 대립유전자 A를 가지고 있을 때 기질 평가 5개 항목에서 모두 점수가 낮은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Jeju crossbred의 G292A의 SNP과 혈액 내 도파민 수치를 비교한 결과 GA형이 GG형보다 약 2.87배 높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DRD4 유전자 다형성과 말의 기질을 평가하기 위한 여러 평가 방법 및 신경전달물질과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품성 평가를 위한 유전자 마커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정상 젊은 성인에서 도파민 DRD2/ANKK1 Taq 1a 유전자다형성에 따른 우측 미상핵 용적의 차이 (Right Caudate Volumetric Differences in Young Healthy Adults with Different Dopamine DRD2/ANKK1 Taq 1a Polymorphisms)

  • 전유진;최예라;김지현;정지영;김다정;유숙경;임주연;이정현
    • 생물정신의학
    • /
    • 제18권4호
    • /
    • pp.254-259
    • /
    • 2011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variations in caudate volume according to dopamin receptor D2/ankyin repeat and kinase domain containing 1 (DRD2/ANKK1) Taq 1a polymorphisms in young healthy adults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udate volumes and psychiatric symptoms as measured by the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Methods Genetic information regarding DRD2/ANKK1 Taq 1a and T1-weighte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es were acquired from 30 young healthy adults. Automatic segmentation of caudate was performed using the FreeSurfer program. Results Individuals with A2 homozygotes of DRD2/ANKK1 Taq 1a polymorphisms (n = 10) had greater right caudate volumes compared to those with A1 allele (s)(18.4% greater ; p = 0.019). Right caudate volume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otal scores of the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beta}$=-0.50 ; p = 0.016).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DRD2/ANKK1 Taq 1a polymorphisms may underlie the psychiatric symptoms by influencing the structure of the right caudate.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서 도파민 전달체 및 도파민 D2, D3, D4 수용체 유전자 다형성 (Dopamine Transporter Gene and Dopamine D2, D3, D4 Receptor Gene Polymorphisms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박상필;김대광;정철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9권1호
    • /
    • pp.19-27
    • /
    • 2008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Korean populations with functional polymorphisms of six genes dopamine receptors (Ser311/Cys311 polymorphism, Taq1 A polymorphism, and Taq1 B polymorphism in DRD2, BalI polymorphism in DRD3, and promoter -521 C/T polymorphism and exon III 48 bp repeat polymorphism in DRD4) and one gene in dopamine transporter (DAT1). Methods : Participants were 58 children with ADHD and 110 control children. The genotypes were determined by PCR. Results :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otype frequency of -521 C/T polymorphism within the promoter region of the DRD4 between two groups. Furthermore, in the male group, both 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521 C/T polymorphism in promoter region of DRD4 appears to be a possible candidate gene for ADHD in Korean population.

  • PDF

수용체의 다형성 48-hp반복배열의 PCR을 위한 효과적 방법 : 제한효소로 절단된 GC-rich목표배열의 중합효소연쇄반응 (Improved PCR Amplification of Human DRD4 Polymorphic 48-bp Repeats : PCR of Digested Template for GC-rich Targets)

  • 신준호;김영태;이민수
    • 생물정신의학
    • /
    • 제2권2호
    • /
    • pp.248-251
    • /
    • 1995
  • 정신분열병의 약물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파민의 기전은 지금까지 5종류의 수용체들이 발견되고 클론되면서, 새롭고 보다 근본적인 유전학적 접근을 통해 규명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도파민 수용체 D4 (DRD4)는 막단백질의 세포질쪽 세번째굴곡에 48-bp반복 다형성배열을 가지고있다. 이러한 다형성 반복배열이 신호전달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은 막단백질의 세포질쪽 굴곡에 있다는것은, 각 개인의 항정신병약물에 대한 민감성의 차이를 포함하여 정신분열병에 대한 개개인의 유전적 차이를 진단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러한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주로 손쉽고 빠른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사용하여 DRD4의 아형들을 분류하게 되는데, DRD4의 PCR은 그 반복배열과 그 주변배열의 높은 GC함량(78% G+C) 때문에 일반적인 PCR 방법을 변형시켜 사용해야한다. DRD4의 아형을 분류하기 위해 변형된 PCR은 통상적으로 7-deaza dGTP와 10% DMSO를 사용하게된다. 이러한 DRD4 PCR은 대부분의 경우 성공하지만, 항상 모든 시료에서 PCR이 성공되는것은 아니었으며 반복적으로 시도하여 증폭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은 대부분이 template DNA에 문제가 있을것으로 의심되며 DNA정제 또는 template DNA를 제한효소로 적절하게 무작위절단하여 성공율을 높일 수 있었다.

  • PDF

공황장애와 도파민 D2 수용체 TaqI A 다형성의 관련 (Association between Panic Disorder and Dopamine D2 Receptor TaqI A Polymorphism)

  • 임세원;김범조;오강섭;이민수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5-49
    • /
    • 2006
  • Puropse : Disturbances of dopaminergic system might be related to the possible mechanism of panic disorder.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DRD2 Taq 1 polymorphism and panic disorder. Methods : One hundred and fourtee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62 male (54.4%), mean age $40.96{\pm}0.11$ years) and 200 comparison subjects (114 male (57.0%), mean age $35.57{\pm}8.81$ years)were tested for DRD2 TaqI A polymorphism. We excluded panic patients with comorbid alcohol related disorders, bipolar disorders, and any kinds of psychotic disorders because there have been some reports about association of these disease and DRD2 TaqI A polymorphism. Results :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the genotype in DRD2 polymorphism between patients and controls (${\chi}^2$=6.09, df=2, p=0.048). The A1+ allele (A1A1 and A1A2) frequency analysis also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chi}^2$=4.08, df=1, p=0.043). In addition, we observed a more strong and specific association between panic disorder and the A1+ allele of the DRD2 TaqI polymorphism for men (${\chi}^2$=4.71, df=1, p=0.03), but not for women (${\chi}^2$=0.45, df=1, p=0.50). Conclusion : These results in our Korean sample suggest that the DRD2 TaqI A polymorphism may be associated with panic disorder. Furthermore, we found sex-specific association of DRD2 A1 allele with panic disorder.

  • PDF

Genetic associations between ADHD and dopaminergic genes (DAT1 and DRD4) VNTRs in Korean children

  • Hong, Jun Ho;Hwang, In Wook;Lim, Myung Ho;Kwon, Ho Jang;Jin, Han Jun
    • Genes and Genomics
    • /
    • 제40권12호
    • /
    • pp.1309-1317
    • /
    • 2018
  • It is well known that dopaminergic genes affect the developmen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various populations.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variable number tandem repeats (VNTRs) located within the 3′-untranslated region of DAT1 and in exon 3 of DRD4 are associated with ADHD development; however, these results were inconsistent.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genetic association between two VNTRs and ADHD in Korean children. We determined the VNTRs using PCR. We examined genotype and allele frequency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long with the odds ratios, using Chi square and exact tests. We observ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children with ADHD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10R/10R genotype of DAT1 VNTRs (p=0.025). In addition, the 11R allele of DAT1 VNTRs showed a higher frequency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the ADHD group (p=0.023). Also, the short repeat (without 11R) and long repeat alleles (including 11R) were associated with ADHD (p<0.05). The analysis of DRD4 VNTRs revealed that the 2R allele is associated with ADHD (p=0.025). A significant result was also observed in long and short repeats (p<0.05). Additionally, ADHD subtypes showed that the DRD4 VNTRs are associated with combined and hyperactive-impulsive subtype groups (p<0.05).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DAT1 VNTRs and DRD4 VNTRs play a role in the genetic etiology of ADHD in Korean children.

한국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항정신병 약물의 치료 반응과 도파민 D2, D3 및 D4 수용체 유전자 다형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apeutic Response to Antipsychotic Drugs and the Dopamine D2, D3, and D4 Receptor Gene Polymorphisms in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 김희철;정성원;김대광;정철호
    • 생물정신의학
    • /
    • 제14권3호
    • /
    • pp.167-176
    • /
    • 2007
  • 항정신병 약물의 치료 반응을 예측해 줄 수 있는 유전자 지표를 찾기 위한 최근의 많은 약물유전학 연구들은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항정신병 약물의 치료 반응과 도파민 D2, D3 및 D4 수용체 유전자 다형성과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18~60세에 해당되면서 정신분열병의 DSM-IV 진단기준을 만족하고 본 연구에 대해 서면 동의한 국립부곡병원의 입원 환자 200명이었다. 연구는 대상자들의 입원 당시 병록지를 검토하여 후향적으로 이루어졌다. 대상자들은 퇴원할 당시를 기준으로 약물치료 반응 정도에 따라'반응군'과'비반응군'으로 구분되었으며 양군 사이의 도파민 수용체 유전자 다형성 차이를 비교하였다. 대상자 200명 중에서 188명(94%)이 비전형 항정신병 약물을 사용하였고 반응군은 141명(70.5%)이었다. 도파민 D2 수용체 유전자 Ser311Cys 다형성, 도파민 D3 수용체 유전자 Ser9Gly 다형성, 도파민 D4 수용체 유전자 exon III의 48개 염기반복 다형성에서 반응군과 비반응군 사이의 대립유전자 및 유전자형 빈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항정신병 약물의 치료 반응과 도파민 D2 수용체 유전자 Ser311Cys 다형성, 도파민 D3 수용체 유전자 Ser9Gly 다형성, 그리고 도파민 D4 수용체 유전자 exon III의 48개 염기반복 다형 성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향후에는 단일의 항정신병 약물에 대한 전향적인 방법의 통제된 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