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Q 변환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Modeling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UPFC Using Circuit DQ Transform (회로 DQ 변환을 이용한 UPFC의 모델링 및 동작특성 해석)

  • Choi, Nam-Sup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b
    • /
    • pp.1027-1029
    • /
    • 2002
  • UPFC(Unified Power Flow Controller)는 계통의 선로로 전송되는 무효전력과 유효전력을 독립적으로 보상해줄 수 있는 유연송전시스템 기기로, 전력계통 전압 안정화와 위상제어 둥의 목적으로 실용성과 적용성이 뛰어나므로 최근 들어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연구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회로 DQ 변환 기법을 적용하여 UPFC를 모델링하고 동작특성 해석한다. 회로 DQ 변환의 결과 정특성 및 동특성을 나타낸는 등가회로를 구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각종 특성식과 설계식을 도출해 낸다. 또한, 제안된 모델링 및 동작특성 해석의 결과의 타당성은 PSIM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한다.

  • PDF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ree Phase PWM Boost AC-AC Converter Using Circuit DQ Transformation (회로 DQ 변환을 이용한 3상 PWM Boost AC-AC 컨버터의 특성해석)

  • 최남섭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7 no.7
    • /
    • pp.1514-1519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modeling and analysis of static and dynamic characteristics in three phase PWM Boost AC-AC converter used for input voltage sag compensation of custom power. Especially, using circuit DQ transformation technique, an equivalent circuit in fundamental frequency domain is obtained which has all the system characteristics. Moreover, voltage gain and input power factor is analytically induced and linearized state equation at the specific operating point is given. Finally, PSIM simulation results show the validity of the Nosed modelling and analyses.

Circuit DQ Modeling and Analysis of Operating Characteristics for Hybrid Cascade Five-level PWM Rectifier (하이브리드 Cascade 5-레벨 PWM 정류기의 회로 DQ모델링 및 동작특성 해석)

  • 최남섭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4 no.4
    • /
    • pp.817-824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circuit DQ modeling and analysis of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hybrid cascade multilevel PWM rectifier, especially five-level, without isolation transformers. The circuit DQ transformation changes the original three-phase time varying circuit to stationary equivalent one by employing the synchronously rotating transformation matrix. As a result of circuit DQ model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and some useful design relationships for the system are obtained with ease. That is, the analytic equations for DC voltages and active/reactive power supplied by source with respect to control variables are Presented. Moreover, the DC voltages for the multilevel output generation may be directly built up from AC utility source and the important control equation ensuring 5-level output voltage is obtained. Finally,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MATLAB simulations are carried out and the simulation results show good agreements between analytic predictions and the simulated waveforms.

  • PDF

Modeling of Static Var Compensator with Hybrid Cascade 5-level PWM Inverter Using Circuit DQ Transformation (회로 DQ 변환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Cascade 5-레벨 PWM 인버터를 포함하는 무효전력보상기의 모델링)

  • 최남섭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6 no.3
    • /
    • pp.421-426
    • /
    • 2002
  • Hybrid cascade multilevel PWM inverter has advantages of hybrid structure which enhances the better utilization of power semiconductor switches, that is, both hi호 power-low frequency switch, GTO and low power-high frequency switch, IGBT can be used in the same circuit. In this paper, a static var compensator using hybrid cascade 5-level PWM inverter is presented for high voltage/high power applications. The proposed system is modelled by circuit DQ transformation, and thus an equivalent circuit is obtained which reveals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and lead to the related equations. Finally, circuit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is presented and the validity of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is shown through PSIM simulation.

DQ Synchronous Reference Frame Model of A Series-Parallel Tuned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직렬-병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DQ 동기 좌표계 모델)

  • Noh, Eunchong;Lee, Sangmin;Lee, Seung-Hwa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11a
    • /
    • pp.85-8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DQ 변환을 적용한 직렬-병렬 공진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기 좌표계 모델을 제안한다.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급전 측과 집전 측에 단상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제어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정상 상태의 전압 및 전류의 수식을 이용하여 부하에 전달되는 전압 및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과도 상태의 전압 및 전류의 동특성이 원하는 특성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직렬-병렬 공진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단상 전압 및 전류를 DQ 변환하여 과도 상태 및 정상 상태의 전압 및 전류의 동특성을 해석할 수 있는 등가 회로 모델을 제시한다.

  • PDF

DQ Synchronous Reference Frame Model of An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DQ 동기 좌표계 모델)

  • Lee, Sangmin;Lee, Seung-Hwa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145-14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DQ 변환을 적용한 직렬-직렬 공진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기 좌표계 모델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경우 급전 측과 집전 측에 단상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제어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정상 상태의 전압 및 전류의 수식을 이용하여 부하에 전달되는 전압 및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과도 상태의 전압 및 전류의 동특성이 원하는 특성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직렬-직렬 공진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단상 전압 및 전류를 DQ 변환하여 과도 상태 및 정상 상태의 전압 및 전류의 동특성을 해석할 수 있는 등가 회로 모델을 제시한다.

  • PDF

DQ Synchronous Reference Frame Model of A Series-Parallel Tuned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and Current Controller (직렬-병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DQ 동기 좌표계 모델 및 전류제어기)

  • Noh, Eunchong;Lee, Sangmin;Lee, Seung-Hwa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181-183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DQ 변환을 적용한 직렬-병렬 공진형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기 좌표계 모델과 이를 이용한 전류제어기 시스템을 제안한다.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급전 측과 집전 측에 단상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제어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정상 상태의 전압 및 전류의 수식을 이용하여 부하에 전달되는 전압 및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과도 상태의 전압 및 전류의 동특성이 원하는 특성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직렬-병렬 공진형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의 단상 전압 및 전류를 DQ 변환하여 과도 상태 및 정상 상태의 전압 및 전류의 동특성을 해석할 수 있는 등가 회로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과도 상태 제어를 위한 고성능 전류 제어기를 제안한다.

  • PDF

A Study of Pourer Quality Disturbance Compensation using dq Transformation (dq 좌표변환을 이용한 전력외란 보상 연구)

  • Lee, Kyo-Sung;Lee, Yong-Jae;Kim, Do-Hun;Kim, Yang-M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11c
    • /
    • pp.286-289
    • /
    • 2002
  • In this paper, we use the PI dual control using do transformation(dq stationary frame and dq synchronous rotating frame) for series voltage sag and swell compensation algorithm. Analysis, simulation results are presented for voltage sags and swells on a three-phase unbalanced voltage source.

  • PDF

A single phase multi-level active power filter using instantaneous reactive power detectors (순시 무효 전력 고조파 검출기를 이용한 단상 멀티레벨 능동전력 필터)

  • Kim Yoon-Ho;Kim Sung-Min;Kim Soo-Hong;Lee Kang-Hee;Lee Jae-Ha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4.07a
    • /
    • pp.475-47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부하단에서 발생하는 고조파를 검지하는 방법으로 순시 무효전력 방법(IRPM: Instantaneous Reactive Power Method)을 사용하였다. 이 방식은 DQ변환을 통해 순시 무효 전력을 사용하여 고조파를 검지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순시 무효전력 방식은 3상 인버터를 기반으로 하는 DQ변환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단상 시스템에는 적용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단상에서도 임의의 가상축을 만들어 DQ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순시무효전력 보상 방식을 단상 능동 전력 필터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검지된 고조파를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는 3레벨 NPC 타입 멀티레벨 인버터를 사용하여 고전력 능동 필터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복소 라플라스-페이저 변환을 이용한 무선전력전달용 DQ 인버터 해석

  • Lee, Seong-U;Park, Chang-Byeong;Im, Chun-Tae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92-193
    • /
    • 2011
  • 자기유도방식 무선전력전달용 DQ 인버터의 정적 동작 특성 및 동적 응답 특성을 해석하는데 복소 라플라스 변환을 페이저 변환된 회로에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최근에 발표된 복소 라플라스-페이저 변환이론이 교류 컨버터의 동적특성을 해석하는데 있어 실용적으로 아주 유용하다는 것이 연구를 통해서 확인되었다. 기존의 라플라스 변환을 복소수 영역으로 확대한 복소 라플라스 변환을 페이저 변환된 회로에 적용하면 전달함수를 구할 수 있어, 시스템의 안정도 분석과 제어기 설계가 가능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론식을 유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