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antioxidative activities)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25초

쇠비름 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and ethanol extracts from Portulaca oleracea L.)

  • 김동규;신정혜;강민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8-10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쇠비름의 활용가치를 높이고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쇠비름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와 항염증 활성을 탐색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FRAP을 이용한 총 항산화 효능 평가 결과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고, ABTS 라디칼 소거능은 $1,000{\mu}g/mL$의 농도에서만 쇠비름 물 추출물의 활성이 더 높았다. 한편, 세포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쇠비름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해 대식세포에 MTT assay를 수행한 결과, $4,000{\mu}g/mL$의 이하 농도까지는 세포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1.0{\mu}g/mL$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시킨 세포에 대해 쇠비름 물 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이 더 효과적으로 농도의존적인 NO와 ROS 생성 억제 효과가 있었다. 추가적으로 세포의 항염증 효능의 지표 단백질로 알려진 TNF-${\alpha}$, IL-$1{\beta}$, IL-6의 발현을 확인하였을 때 LPS 단독 처리군 대비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에서 3가지 단백질 모두의 발현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은 물 추출물에 비해 높은 항산화와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추후 쇠비름의 유효성분 추출을 통한 항염증 물질의 연구와 염증 억제 성분의 분리 및 그 작용기전 연구에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r Cornus officinalis Sieb. et Zuccha Extracts on Physiologic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 Lee, Yoon-Ah;Heo, Ye-Na;Moon, Hae-Yeo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55-359
    • /
    • 2006
  • This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Cornus officinalis Sieb extracts and the effect of Cornus officinalis Sieb extracts on glucose, lipid metabolism in diabetic rats. DPPH free radical scavanging activity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of Cornus officinalis Sieb extracts were 94.7% and 92.1%, respectively. Streptozotocin (45 mg/kg body weight, i.p.) induced diabetic ra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s of plasma glucose,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concomitantly significant decrease of plasma high density lipoprotein. Glutathione level were decrease in cytosol of liver, lung and brain tissue of rats. Lipid peroxide were increase in microsome of liver cells. Group 1 and 2 were treated with Cornus officinalis Sieb extracts 200 mg/kg body weight and 100 mg/kg body weight for 24 days, individually. Group 1 and 2 rats showed decreased plasma glucose,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ipid peroxide in microsome of liver, and increased plasma high density lipoprotein and glutathione in cytosol of liver, lung and brain. The result suggest that Cornus officinalis Sieb extracts may normalize the Impaired antioxiants statu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Cornus officinalis Sieb extracts were used to improve the imbalance between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 system due to the diabetes.

  • PDF

참모자반 메탄올 추출 분획물의 항산화 및 숙취해소능과 α-glucosidase 활성저해효과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for Solvent Fractions from Methanol Extracts of Sargassum fulvellum and Its Antioxidant and Alcohol-Metabolizing Activities)

  • 강수희;조은경;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420-1427
    • /
    • 2012
  • 참모자반 분획물은 극성에 따라 핵산, 메탄올, 부탄올 및 수층 순으로 분획하여 4개의 분획층을 얻었으며, 각 분획층의 생리활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항산화 활성은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메탄올 분획 층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실험에서는 부탄올 층이 pH 1.2에서 57.8%로 4개의 분획물중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냈다. 숙취 해소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ADH 활성과 ALDH 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조구로 사용한 흡광도 값을 100으로 하였을 때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hepos가 150~167%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4가지 분획층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특히 ALDH에서는 메탄올 분획층이 10 mg/ml 농도에서 167.4%의 활성을 나타내어 hepos와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 참모자반 분획물의 혈당강하 효과는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효과로 측정하였다.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효과는 핵산 분획층에서 2 mg/ml의 농도에서 94.1%로 아주 높은 항당뇨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런데 부탄올층, 메탄올층 및 수층은 혈당강하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주름예방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행한 elastase 저해효과 실험에서 메탄올 분획층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주름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2 mg/ml 농도에서 93.2%의 효과를 나타냈으며,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Vit. C (1 mg/ml) 보다 더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모자반 메탄올 추출물 중 특히 메탄올 분획층이 탁월한 주름개선 효과, 숙취 해소능과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핵산층은 혈당강하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자반 유기용매 분획물은 천연 기능성소재로서의 사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illus subtilis KC-3 발효두유의 특성과 항산화 및 AGS 인체위암세포의 성장 억제효과 (Characteristics,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Growth Inhibitory Effects in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of Soymilk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KC-3 during Fermentation)

  • 정은정;김지영;문숙희;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113-1118
    • /
    • 2010
  • 청국장에서 분리한 B. subtilis KC-3(KCCM 42923)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두유의 발효정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항산화효과 및 AGS 인체위암세포 억제효과 차이를 살펴보았다. 발효진행 된 pH 5.5, pH 5.25, pH 5.0 발효두유의 이화학적 특성을 pH, 균수, 산도, 점도, 아미노태 및 암모니아태 질소를 통해 살펴본 결과, 발효가 진행됨(pH 6.8에서 5.0)에 따라 균수는 $8.5{\times}10^4\;cfu/mL$에서 $7.5{\times}10^7\;cfu/mL$까지 증가하고, 산생성과 점도는 높아졌다. 두유는 발효에 의해 단백질이 분해되면서 아미노태 질소 및 암모니아태 질소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발효두유의 항산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DPPH, ${\cdot}OH$, SOD 유사활성능을 측정해 본 결과, 두유에 비해 발효두유의 항산화 활성이 높아졌고, 발효진행에 따라 그 활성이 더 증가하여 발효두유는 두유에 비해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GS 인체위암세포에서 성장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두유는 두유에 비해 항산화 및 AGS 인체위암세포 성장 억제능을 가지며 이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pH 감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산 구아바(Psidium guajava L.)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간세포 보호효과 (Antioxidative and Hepatocyte Protective Effects of Guava (Psidium guajava L.) Leaves Cultivated in Korea)

  • 천원영;서동연;김영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3-4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hepatocyte protective effects of guava (Psidium guajava L.) leaves cultivated in Korea. The contents of the total polyphenol of the extract was 271.57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g residue. Antioxidant activities of leaf extract were evaluated by examining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extract were 1133.23 mg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g residue and 721.68 mg TEAC/g residue, respectively. The hepatocyte protective effect of guava leaf extract was examined in HepG2 cells. Against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the viability of HepG2 cells were increased by the treatment of leaf extract. In addition, guava leaf extract led to the inhibi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ed in HepG2 cells. The leaf extract increased the activity of glutathione (GSH), glutathione reductase (GR),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against oxidative stres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guava leaves might be regarded as a potential source natural antioxidant and a hepatoprotective material.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복합 한약재의 항 산화활성 검색 (Screening of Antioxidative Effect of Combined Medicinal Plants on Oxidative Stress)

  • 강경아;장예;강대길;김진숙;현진원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11
    • /
    • 2006
  •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re known to cause oxidative modification of DNA, proteins, lipids and small cellular molecules and are associated with tissue damage and are the contributing factors for diabetes, inflammation, aging, cancer, arteriosclerosis, and hypertension. We screened the anti-oxidative effect on V79-4 hamster lung fibroblast cell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with eleven extracts of combined medicinal plants. Dancheonhwankakambang and Samikangyabtang were found to show the scavenging activities of DPPH radical an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which is measured by dichlorodihydrofluorescin diacetate method (DCHF-DA).

  • PDF

쇠뜨기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에 관한 연구(I) (Evaluation of Antioxidant Potential of Extract/Fractions of Equisetum arvense (I))

  • 박수남;양희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1-6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쇠뜨기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50% 에탄올 추출물($182.04{\mu}g/mL$) < ethylacetate 분획(54.50) <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14.13) 순으로 증가하였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총항산화능은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OSC_{50}$, $3.54{\mu}g/mL$) < 50 % 에탄올 추출물(0.80) < ethylacetate 분획(0.006) 순으로 ethylacetate 분획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쇠뜨기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5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1{\sim}100{\mu}g/mL$)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ethylacetate 분획에서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추출물은 $10{\mu}g/mL$ 농도에서 $\tau_{50}$이 161.10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쇠뜨기 추출물이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뱀딸기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노화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aging Effects of Duchesnea indica (Andr.) Focke extract)

  • 노언주;박시향;황수미;노현수;김병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39-544
    • /
    • 2010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oxidative, anti-wrinkle and whitening effect of Duchesnea indica (Andr.) Focke extract. Duchesnea indica (Andr.) Focke was extracted by two different solvents which were n-hexane and ethyl acetate.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by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And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tyrosinase for whitening effect and collagenase for anti-wrinkle were investigated. For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activity, ethyl acetate fraction of Duchesnea indica (Andr.) Focke extract showed more significant activity than n-hexane fraction of Duchesnea indica (Andr.) Focke extract. For anti-wrinkle activity, ethyl acetate fraction of Duchesnea indica (Andr.) Focke extract exhibited strong inhibition effects compared with reference. Therefore, Duchesnea indica (Andr.) Focke extract may be useful as a new antioxidant and anti-aging agent.

산죽잎으로 부터 추출한 항산화물질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s Extracted from Leaves of Sanjook(Sasa boreails var. chiisanensis))

  • 유미영;박성희;강용모;양지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96-801
    • /
    • 2005
  • 국내산 산죽잎을 methanol로 추출하여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여러 방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안정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산죽잎 메탄올 추출물은 0.1 mg/l에서 0.8mg/ml의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활성이 증가하였다. 산죽잎 메탄올추출물은 DPPH radical 소거능에 대한 $IC_{50}$ 값은 $583{\mu}g/ml$, SOD 유사활성능에 대한 $IC_{50}$값은 $800{\mu}g/ml$, hydrogen peroxide 소거능에 대한 $IC_{50}$값은 $38{\mug}/ml$이 었으며 대조구로 사용한 BHT의 각각 의 $IC_{50}$값은 $271{\mu}g/ml,{\;}680{\mu}g/ml,{\;}30{\mu}g/ml$이었다. 산죽잎 메탄올추출물의 자동산화 억제능은 상기 농도 범위에서 $55\∼6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산죽잎 메탄올추출물의 pH 안정성은 pH 6에서 안정하였으나 산성이나 알카리성으로 갈수록 pH 안정성은 떨어졌다. 산죽잎 메탄올추출물의 열안정성은 $0^{\circ}C$에서 $120^{\circ}C$의 온도범위에서 $80\%$ 이상의 항산화능을 유지하였다.

병포장 갓김치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 (Antioxidation Activities of Bottled Mustard Lea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김복남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50-957
    • /
    • 2009
  • Mustard Leaf Kimchi (MLK) is a traditional fermented Korean vegetable fo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t vacuum treatment on MLK packed in a glass bottle during fermentation. There have been a few previous studies that examined the chemical and microbial changes during MLK fermentation. However, the major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vacuum treated MLK.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vacuum treated mustard leaf Kimchi (VM) and control mustard leaf Kimchi (CM) were examined. VM and CM were fermented at $5^{\circ}C$ for 8 weeks. A model system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crude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CCC) extracts from Mustard leaf Kimchi. The oxidative reaction of the linoleic acid mixture system at $30^{\circ}C$ in the dark was quantified determining the peroxide value and conjugated dienoic acid content. The effect of the CCC extracts on lipid peroxidation in a rat liver homogenate was examined. Formation of lipid peroxides was estimated by the TBA value, and the CCC extracts were found to inhibit the TBA value. Chlorophyll a and b, and carotenoids, Which are the major components in the CCC extracts of Kimchi were isolated on a DEAE-sepharose CL-6B and Sepharose CL-6B column and TLC. The effects of chlorophyll a and b, caroteins on linoleic acid autoxidation were measured by determining the peroxide value. In addition, their effects on free radical scavenging were investigated by DPPH. In this assay, chlorophyll a showed the greatest antioxidative activity followed by chlorophyll b, and carotenoids. MLK contains a sufficient content of chlorophyll a and b, and carotenoid which have strong antioxidative activ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