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검색결과 1,030건 처리시간 0.033초

Antioxidant Activity of Anthraquinones and Flavonoids from Flower of Reynoutria sachalinensis

  • Zhang Xinfeng;Thuong Phuong Thien;Jin WenYi;Su Nguyen Duy;Sok Dai Eun;Bae KiHwan;Kang Sam Si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1호
    • /
    • pp.22-27
    • /
    • 2005
  • Bioassay-guided fractionation of methanol extract of Reynoutria sachalinensis flower using DPPH assay has led to the isolation of three anthraquinones and three flavonoids.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emodin (1), emodin-8-O-$\beta$-D-glucopyranoside (2), physcion-8-O-$\beta$-D­glucopyranoside (3), quercetin-3-O-$\alpha$-L-arabinofuranoside (4), quercetin-3-O-$\beta$-D-galactopyra­noside (5), and quercetin-3-O-$\beta$-D-glucuronopyranoside (6) by comparing their physicochemical and spectral data with those published in literatures. All isolated compounds were evaluated for antioxidant activities with free radical 1, 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nd $Cu^{2+}$-mediated low density lipoprotein (LDL) oxidation assa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ree flavonoids, 4, 5, and 6 had remarkable antioxidant activities with the $IC_{50}$ values of 64.3, 54.7, and 46.2${\mu}M$ (DPPH scavenging), the $IC_{50}$ values of 6.0, 6.7, and $4.4{\mu}M$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nd the $IC_{50}$ values of 3.8, 3.2, and 5.4${\mu}M$ against LDL oxidation, respectively.

Assai 열매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Assai Palm Methanolic Extract)

  • 최철웅;;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67-972
    • /
    • 2011
  • Assai 열매추출물의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를 이용한 자유 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수행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assai열매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DPPH활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고, ROS를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배양된 대식세포에 assai열매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한 결과, 농도가 높을수록 과산화수소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자극이 감소하였다. 또한 세포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assai열매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24시간후 세포의 형태변화를 MTT assay로 실시한 결과, 산화적 자극에 의해 발생한 세포 손상이 assai 열매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assai열매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흑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Panax ginseng)

  • 이숙영;김동희;우원홍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5-121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of black Panax ginseng (BGE) and its crude saponin (BGEC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BGE and BGECS were evaluated for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gainst stable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nitrite, hydrogen peroxide and superoxide. In additi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BGE and BGECS against peroxyl radicals, hydroxyl radicals and peroxynitrites were determined by the total oxy-radical scavenging capacity (TOSC) assay. As a result, BGE and BGECS were found to have a strong inhibitory activity with >90% against the DPPH radical at $1000{\mu}g/m{\ell}$ concentrations. Also, BGE and BGECS exhibited strong inhibitory activity with >80% against hydrogen peroxide at lower concentration ($125{\mu}g/m{\ell}$). Moreover, specific TOSC values (405 and 473 TOSC/mM) of BGE and BGECS against peroxynitrites were higher than GSH (347 TOSC/mM) used a positive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BGE and BGECS could be useful to develop functional foods against disease related oxidative stress.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the Inner Shell of Chestnut

  • SON Kyung Hun;YANG He Eun;LEE Seung Chul;CHUNG Ji Hun;JO Byoung Kee;KIM Hyun Pyo;HEO Moon Yo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3권3호
    • /
    • pp.150-155
    • /
    • 2005
  • The ethanolic extract of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Fagaceae) inner shell (CISE) and one of its components, ellagic acid (EA), were evaluated for their protective effects against 1, 1-diphenyl-2-picryl hydrazine (DPPH) free radical generation and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DNA damage in a mammalian cell line. CISE and EA were shown to possess the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against DPPH radical generation, significantly. They were also found to strongly inhibit hydrogen peroxide-induced DNA damage from Chinese hamster lung (CHL) cell, assessed by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assay and 8-hydroxy -2'-deoxy guanosine (8-OH-2'dG) assay. Furthermore, topical application of CISE [$12.5\%$(w/w) cream] and ellagic acid [$1.0\%$(w/w) cream] for 14 days potently inhibited malondialdehyde (MDA) formation of mouse dorsal skin (a marker of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ultraviolet B exposure. Therefore, CISE and its component, ellagic acid, may be the useful natural antioxidants by scavenging free radicals,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protecting oxidative DNA damage when topically applied.

쑥부쟁이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 평가 (Determination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ster yomena (Kitam.) Honda)

  • 김민정;김지현;이상현;조은주;김현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402-40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hydroxyl radical ($^{\cdot}OH$), 그리고 superoxide radical ($O_2{^-}$) 소거능 실험을 통해 쑥부쟁이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쑥부쟁이는 에탄올로 추출한 뒤, n-hexane, methylene chloride ($CH_2Cl_2$), ethylacetate (EtOAc), 그리고 n-butanol (n-BuOH)로 분획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실험에서 모든 추출 및 분획물이 $10-100{\mu}g/mL$의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EtOAc 분획물은 가장 강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쑥부쟁이는 $50{\mu}g/mL$ 농도에서 80% 이상의 $^{\cdot}OH$ 라디칼 소거율을 보였다. 특히 EtOAc 분획물은 $0.03{\mu}g/mL$에서 IC50 값을 나타내어 추출물과 분획물 중 가장 강한 $^{\cdot}OH$ 라디칼 소거능을 보여주었다. 또한, EtOAc 분획물은 $O_2{^-}$ 라디칼 소거능에서도 가장 강한 소거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쑥부쟁이가 산화스트레스로 인한 질병을 예방하는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뿌리 추출물의 화장품소재 특성 (Cosmetic Effect of Angelica gigas Nakai Root Extracts)

  • 박숙경;홍슬기;김희진;김보영;김타곤;강재선;김동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5호
    • /
    • pp.553-557
    • /
    • 2009
  • 참당귀 뿌리 추출물에서 기능성 화장품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기분석시험을 통하여 참당귀 뿌리 추출물에는 유효성분으로서 decursin과 decursinol angelate가 약 97%로 매우 고농도로 존재하였으며 그 비가 약 3:2로 나타났다. 화장품소재 시험으로는 항산화(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미백(Tyrosinase inhibition assay, Melanogenesis inhibition assay), 주름개선(Elastase inhibition assay), 자외선 흡수 및 안전성 시험(MTT assay)이 실시되었다. 참당귀 뿌리 추출물은 $15{\mu}g/ml$의 농도에서 tyrosine에 대한 tyrosinase 저해효과가 $45.2{\pm}3.9%$, melanin 생성억제 효과가 $24.2{\pm}12.0$로 미백효과가 우수하였다. 항산화효과는 $240{\mu}g/ml$의 추출물농도에서 DPPH free radical 소거율이 $40.9{\pm}9.1%$로 비교적 우수하였다. 주름개선 효과는 $100{\mu}g/ml$의 추출물농도에서 $12.7{\pm}6.8%$로 낮았으며, 자외선 흡수효과도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참당귀 뿌리 추출물은 화장품용 미백소재로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한입버섯의 추출 용매별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of Cryptoporus volvatus)

  • 안기홍;한재구;조재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36-143
    • /
    • 2019
  • 국내 자생하는 한입버섯의 생리활성 및 항염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열수 및 70% 에탄올, 70%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DPPH 라디컬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총 폴리페놀 함량, NO 생성률 및 세포생존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한입버섯의 열수추출물과 70% 메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70% 에탄올추출물의 DPPH 라디컬 소거능(76.1%), 아질산염 소거능(29.5%), 총 폴리페놀 함량(9.17 mg GAE/g)이 가장 높았다. 또한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컬 소거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과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NO 생성률은 70%에탄올 추출물이 37.8%로 가장 낮아 NO 저해효능이 우수하였으며, 세포생존율은 81.4%로 열수추출물이 가장 높아 열수추출에 의한 세포독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베타글루칸 함량은 37.8%로 측정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우리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야생버섯 중의 하나인 한입 버섯이 건강기능성 식품 등의 개발 가능성이 큰 버섯임을 보여주고 있으며, 일반인들도 차의 형태로 우려 마실 경우 여러 질병들에 대한 예방학적 차원에서 효과를 볼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가감형방지황탕 열수 추출물이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Property of the Gagam-Hyungbang-Gihwang-tang Using Biochemical Markers of Carcinogenesis)

  • 한진수;박성식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4-214
    • /
    • 2005
  • Objectives : The verity extract of the Gagam-Hyungbang-Gihwang-tang (GHG) was assessed to determine the mechanisms of its antioxidant activity. Methods : The fellowing effects were measured : GHG exhibited a concentration-treatment; scavenging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DPPH) radical, linoleic acid oxidation in a thiocyanate assay system, and superoxide anion, hydroxyl radical-induced DNA nicking. We investigated mRNA levels such as superoxide-dismutase. Results : The GHG extract showed dose-dependen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luding DPPH radicals, hydroxyl radicals, and superoxide anion, using different systems. The GHG was also found to be effective in protecting plasmid DNA against the strand breakage induced by hydroxyl radicals in Fenton's reaction mixture. Furthermore, SOD-1 mRNA expression levels increased in tat hepatoma H4IIE cells Conclusions : We expect that GHG will to helpful to the development of antioxidant activity treatments.

  • PDF

사방오리(Alnus firma)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Alnus firma Extracts)

  • 최혜정;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1-238
    • /
    • 2019
  • 본 연구는 사방오리 추출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사방오리는 메탄올(MeOH) 분획에 가장 높은 총 페놀화합물($452.80{\pm}7.01{\mu}g$ gallic acid equivalents/mg)을 그리고 에틸에세테이트(EA) 분획 에 가장 높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112.29{\pm}11.14{\mu}g$ rutin equivalents/mg)과 가장 높은 총 항산화 활성($936.23{\pm}0.07{\mu}g$ ${\alpha}$-tocopherol equivalents/mg)을 가지고 있었다. 사방오리의 용매 추출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아스코빅산 등 표준 물질과 비교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 측정, ${\beta}$-carotene-linoleate 에세이, 환원력 측정, ferric thiocyanate법으로 지질과산화 억제력 측정 그리고 금속 킬레이팅능 측정 등 다양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250{\mu}g/ml$ 농도의 사방오리 EA와 MeOH 분획은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 각각 92.43와 89.20%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50{\mu}g/ml$의 EA분획은 72.49%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으며 이는 gallic acid의 소거능(60.88%)보다 조금 높았다. 또한 ${\beta}$-carotene-linoleic acid 시스템에 의한 과산화 억제능 조사에서 0.5과 1 mg/ml 농도의 EA 분획이 각각 73.45와 73.29% 억제능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은 EA 분획 > BuOH 분획 > DCM분획 > HX분획 순 이였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에서 사방오리는 천연 항산화제제 개발을 위한 용이하게 접근 가능한 잠재적인 자원으로 판단된다.

Antioxidant compounds from the stem bark of Sorbus commixta

  • Na, Min-Kyun;An, Ren-Bo;Lee, Sang-Myung;Min, Byung-Sun;Kim, Young-Ho;Bae, Ki-Hwan;Kang, Sam-Si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8권1호
    • /
    • pp.26-29
    • /
    • 2002
  • The MeOH extract of Sorbus commixta (Rosaceae) exhibited stro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rough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two antioxidant compound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catechin-7-O-{\beta}-D-xylopyranoside$ (1) and $catechin-7-O-\;{\beta}-D-apiofuranoside$ (2) by physicochemical and spectrometric method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effect of these compounds, some in vitro tests, such a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est, the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est and the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vity test, were performed. Compounds 1 and 2 showed stronger activities than both a-tocopherol and butylated hydroxy anisole (BHA) in each ass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