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 assay

검색결과 1,381건 처리시간 0.024초

민들레 물추출물의 항산화 및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Extract From Dandelion (Taruaxacum officinale))

  • 강미정;신승렬;김광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53-259
    • /
    • 2002
  • 민들레 잎과 뿌리로부터 물추출물을 제조하여 항산화 활성 및 라디칼 소거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linoleic acid에 대한 과산화물 생성저해율,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 chemiluminescence를 이용한 hydroxyl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 EPR을 이용한 superoxide anion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및 hydrogen peroxide에 대한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민들레 잎의 물추출물이 뿌리의 물추출물 보다 지방산에 대한 과산화물 생성 저해율이 높았고,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superoxide anion radical 및 hydrogen peroxide에 대한 소거활성 역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흑양파로부터 항산화 활성 물질인 3,4-Dihydroxybenzoic acid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s 3,4-Dihydroxybenzoic acid from Black Onion)

  • 양아여;조정용;박양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9-234
    • /
    • 2012
  • 양파의 매운 맛과 냄새를 감소시켜 섭취가 용이하도록 제조된 흑양파가 항산화 활성이 있다고 보고되어있어서 흑양파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흑양파 MeOH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들 중 EtOAc층이 높은 DPPH와 $ABTS^+$ radical scavenging 활성이 있었다. 그래서 EtOAc층을 silica gel과 Sephadex LH-20 등의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2종의 항산화 활성물질을 분리하였다. 단리한 이들 화합물을 대상으로 ESI-MS 및 NMR 분석을 통하여 3,4-dihydroxybenzoic acid (1)와 quercetin (2)로 각각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ABTS^+$ 및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이 있었으며, 화합물 2는 화합물 1에 비해 더 높은 radical scavenging 활성이 있었다.

Effect of Kaempferol on the Cytotoxicity Induced Oxygen Free Radicals in Skin Fibroblast Derived from Human In Vitro

  • Lee, Jai-Kyoo;Ha, Dae-H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3-198
    • /
    • 2008
  • In order to evaluate on the effect of kaempferol on the cytotoxicity of oxygen tree radicals, XTT assa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ell viability after skin fibroblasts derived from human (Detroit 51) that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hydrogen peroxide $(H_2O_2)$. And also, the effect of kaempferol on the cytotoxicity induced by H202 that was examined by cell viability, lactate dehydrogenase (LDH) activity an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hese cultures. $H_2O_2$ decreased cell viability in dose-dependent manner in these cultures and the $XTT_{90}\;and\;XTT_{50}$ values were determined at concentration of $35{\mu}M\;and\;90{\mu}M$ of $H_2O_2$ after skin fibroblasts derived from human were treated with $15{\sim}90{\mu}M$ of $H_2O_2$ for 6 hours, respectively. $H_2O_2$ was highly toxic on cultured skin fibroblasts derived from human by toxic criteria of Brenfreund and Puerner (1984). In the protective effect of kaempferol on $H_2O_2$-induced cytotoxicity, kaempferol increas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ignificantly decreased LDH activity.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oxygen tree radical, $H_2O_2$, was highly toxic on cultured skin fibroblasts derived from human, and also kaempferol of flavonoid showed the protection on $H_2O_2$-induced cytotoxicity.

  • PDF

해양균류의 라디칼 소거활성 검색 (Screening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rom the Marine-Derived Fungus)

  • ;;남기완;김동수;최홍대;손병화
    • 생약학회지
    • /
    • 제33권3호통권130호
    • /
    • pp.219-223
    • /
    • 2002
  • In order to screen new radical scavenging principle which is expected to be antiaging drug lead, we have isolated 160 strains of the marine-derived fungi and investigate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or their acetone extracts. The significant activities (>50% Inhibition) were observed in 8 strains of fungi (MFA006, MFA0l4, MFA040, MFA133, MFA139, MFA143, MFA148, MFA153), and among them, MFA153 (Aspergillus parasiticus) showed the most significan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active components were purified by assay-guided isolation to yield two known benzyl alcohols, l53B3 (1) and l53B4 (2), and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physicochemical evidence. Two compounds (1,2) showed the significan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IC_{50}$ values of 0.6 and $1.4{\mu}M$ against DPPH, respectively.

국산 산사나무 잎으로부터 항산화 활성성분의 분리 (Isolation of Anti-oxidant from Domestic Crataegus pinnatifida Bunge Leaves)

  • 강인호;차자현;한정훈;이성완;김홍진;권석형;함인혜;황보식;황완균
    • 생약학회지
    • /
    • 제36권2호통권141호
    • /
    • pp.121-128
    • /
    • 2005
  • In order to find the antioxidative compounds, fractionation of the MeOH extract of the leaves of Crataegus pinnatifida guided by DPPH scavenging test furnished seven phenolic compounds, $quercetin-3-O-{\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 (1), myricetin-3-O-rhamnose (2), $quercetin-3-O-{\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6)-{\beta}-D-galctopyranoside$ (3), $quercetin-3-O-{\beta}-D-galactopyranoside$ (4), quercetin (5), $apigenin-8-C-{\beta}-L-rhamn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 (2'-O-rhamnosylvitexin) (6) and (-)-epicatechin (7). All of isolated compounds showed the significant antioxidative effect on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test and TBARS assay.

유백피를 첨가한 된장의 품질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Soybean Paste Doenjang with added Ulmi cortex)

  • 손대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18-523
    • /
    • 2008
  • 된장의 고유한 향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기능성이 향상된 유백피 된장 개발을 위해 유백피 된장의 물리화학적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유백피 된장은 일반 된장에 비해 pH와 염도가 낮으며, 관능검사에서는 단맛이 강하고 짠맛은 약하나 구수한 맛을 나타냄으로써 일반 된장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은 기호 도를 확인하였다. 항산화 작용의 지표인 DPPH 소거 활성측정 결과 $IC_{50}$값이 일반된장($155.67{\mu}g/mL$)에 비해 훨씬 높은 항산화 활성($29.16{\mu}g/mL$)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기능성과 기호도 고려할 때 유백피가 1% 첨가된 된장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식 식품군의 in vitro 총 항산화능 (TDAC)과 ex vivo DNA 손상 보호효과와의 관련성 (Protective effect of Korean diet food groups on lymphocyte DNA damage and contribution of each food group to total dietary antioxidant capacity (TDAC))

  • 이민영;한정화;강명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5호
    • /
    • pp.277-287
    • /
    • 2016
  • 본 연구는 제5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한식 식품군의 총 페놀 함량, in vitro 항산화활성 및 인체세포를 이용한 ex vivo DNA 손상 감소효과를 비교하고, 각 지표간의 상관성을 분석하며, 한식의 총 식사 항산화능에 대한 각 식품군의 기여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제5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식의 식물성 식품을 10가지 식품군 (곡류, 과일류, 채소류, 견과류, 김치류, 해조류, 감자류, 버섯류, 두류, 오일류)으로 분류한 후 각 식품군별로 총 섭취량의 1% 이상 섭취한 식품 84종을 한식의 식물성 식품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각 식품군의 총 페놀함량을 측정하였고,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TEAC assay, $ORAC_{ROO{\cdot}}$ assay를 사용하여 in vitro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한식의 식품군별 항산화능 (dietary antioxidant capacity, DAC)은 in vitro 항산화활성 평균값과 각 식품군의 1일 섭취량을 고려하여 계산하였고 한식 TDAC는 각 식품군의 DAC로의 합으로 구하였으며, TDAC에 대한 각 식품군 항산화능의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인체 임파구에서의 ex vivo DNA 손상 정도는 comet assay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한식 식품군의 총 페놀함량은 버섯류, 과일류, 채소류, 해조류, 김치류 등의 순으로 높았으며, 3가지 in vitro 실험법을 평균한 식품군의 항산화활성 순위는 버섯류, 해조류, 채소류, 김치류, 과일류 등의 순이었다. 각 식품군의 항산화활성에 식품섭취량을 고려하여 계산한 한식의 TDAC에 대한 식품군의 항산화능 기여도는 곡류가 33.4%로 가장 높았으며, 과일류 (23.9%), 채소류 (12.7%), 김치류 (11.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인체 임파구에서 ex vivo DNA 손상 보호효과는 버섯류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채소류, 과일류, 해조류, 김치류의 순으로 나타났다. 각 식품군의 페놀함량과 in vitro 항산화 활성, 그리고 ex vivo DNA 보호효과의 순위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각 지표간의 상관성은 매우 높았다. 한식 식품군 중 버섯류, 과일류, 채소류, 해조류에서 총 페놀함량과 항산화 활성, DNA 손상 보호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각 식품군의 총 페놀함량과 in vitro 항산화 활성, ex vivo DNA 보호효과 지표 간의 상관성은 매우 높았다. 한식의 TDAC에 대한 식품군별 항산화능 기여도는 곡류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과일류, 채소류, 김치류의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한식의 우수성을 항산화 측면에서 밝히는데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왕산방풍의 잎과 뿌리의 유기용매 분획물에서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Organic Solvent Fractions of Leaf and Root Extracts of Peucedanum insolens Kitagawa)

  • 오명석;나란투야 난딘셋세그;박찬주;남길수;조식제;문자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8-148
    • /
    • 2023
  • 본 연구는 Peucedanum insolens Kitagawa의 잎과 뿌리에서 추출한 용매 분획물들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P. insolens Kitagawa의 건조된 잎과 뿌리를 각각 70% 에탄올로 먼저 추출한 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물의 순서로 분획하였다. 실험 결과 유기용매 분획별 총 폴리페놀 함량은 P. insolens Kitagawa의 잎과 뿌리 모두에서 동일한 분포 양상을 보였다. 유기용매 분획 중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101.1±1.0 ㎍ vs 128.8±15.6 ㎍ GAE/m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헥산 분획에서 가장 낮은 함량(9.51±0.2 ㎍ vs 6.8±0.8 ㎍ GAE/mg)을 보였다. P. insolens Kitagawa의 잎과 뿌리 모두에서 유기용매 분획에 의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포는 총 폴리페놀 함량과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P. insolens Kitagawa 잎과 뿌리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DPPH, ABTS, FRAP assay를 통해 활성산소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잎과 뿌리 추출물에서도 동일한 패턴으로 활성산소 소거 활성을 보였으며, 유기용매 분획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가장 높은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다. P. insolens Kitagawa의 잎과 뿌리의 유기용매 분획물에서 총 페놀 함량과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사이에 유의한 상관 관계(R=0.903, p<0.0001, DPPH 라디칼, R=0.891, p<0.001, ABTS 라디칼, R=0.745, p<0.05, FRAP 라디칼)와 P. insolens Kitagawa의 잎 또는 뿌리의 용매 분획물에서 DPPH, ABTS 및 FRAP assay들 사이에서도 중요한 상관관계(R=0.867, p<0.001, DPPH vs ABTS 라디칼, R=0.882, p<0.0001, DPPH vs FRAP 라디칼, R=0.973, p<0.0001, ABTS vs FRAP 라디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얻은 결론은 왕산방풍 식물의 뿌리에서와 마찬가지로 왕산방풍의 잎에서도 강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잎을 주요 항산화 물질의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halcones

  • Park, Youngki;Lee, Hak-Ju;Lee, Wi Young;Ahn, Jin-Kwon;Hwang, Byung-H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2호
    • /
    • pp.88-9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oxidant activities and chemical structures of various chalcones. Twenty-two chalcones were assessed for thei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ssay. Of 22 compounds tested, the most active on DPPH radical was 2',4-dihydroxy-3,3'5-trimethoxy-5'-propylchacone (4) (72.6% at 100 ppm). It was followed by 3',4'-dihydroxy-3,4,5-trimethoxy-6'-methylchalcone (6), 2',4,4'-trihydroxy-3-methoxy-5-propenylchalcone (7) and 2',4,4'-trihydroxy-3,5-dimethoxychalcone (13). Based on th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scavenging activity is controlled by the number and the position of the substitution in the compound.

Blueberry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Blueberry)

  • 김태춘;배강순;김일광;천현자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79-183
    • /
    • 2005
  • Recent interest in the possible protective effects of dietary antioxidant compounds against human degenerative disease has prompted investigation of foods such as blueberries, which have a high antioxidant capacit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from blueberry. Blueberry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nd then fractionated with n-hexane, EtOAc, BuOH and water to get active fractions. And their antioxidant capacities in each fraction were determined by using the DPPH and FRAP assay, and tyrosinase inhibitor. Ethyl acetate fraction of blueberry exhibited antioxidant capa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