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RMANCY FORM (LIFE FORM)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초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 조성 후 식물의 생활형에 대한 4년간의 변화 연구 (Four-year Survey on Transitions of the Life Form of Plants after Developing Human-made Wetlands along Boknaecheon of Juam Lake)

  • 김창환;명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0-40
    • /
    • 2009
  • 본 논문은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 조성 후 4년간 식물 변화를 Numata 식의 생활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002년 12월에 준공된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의 식재종은 10과 13속 12종 3변종으로 총 15종류가 식재되었다. 식재종의 3가지 성질의 생활형을 보면 휴면형(Dormancy form)은 다년생수생식물(HH)이 6종으로 가장 많고, 지하기관형은 $R_5$, $R_3$, $R_{2-3}$이 각각 4종, 산포기관형은 풍수산포형(D1)이 10종, 생육형은 직립형(e)이 가장 많았다. 인공습지 준공후 5년이 경과된 모니터링의 최종년도에 조사된 3가지 성질의 생활형은 종수와 개체수는 증가하였으나 생활형 구성비 (%)에 대한 경향성은 큰 변화는 없었다. 휴면형은 1년생육상식물(Th)이 43종, 24.29%, 지하기관형은 $R_5$가 산포기관형은 $D_4$형과 $D_1$형, $D_{1,4}$형이 전체의 77.39%를 차지하고 있었다. 생육형은 직립형(e), 총생형(t), 일시적로제트형(pr), 분지형(b), 로제트-직립형(ps)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들 종들이 전체의 64.97%를 차지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의 경우 휴면형은 천이가 진행될수록 다년생식물의 구성비율이 높아 습지 천이의 선구종들인 1년생식물이 우점하는 식생형이 점차적으로 안정된 다년생 습지식생의 유형으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번식형은 지하기관형인 단립식물($R_5$)이 우세하나 달뿌리풀 등과 같은 땅위에 연결체를 만드는 R4식물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보이며, 산포기관형은 습지의 특성상 바람이나 물에 의하여 운반되는 풍수산포형과 수변 목본식물의 발달로 인한 중력산포형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생육형은 습지의 경우 총생형이 우세할 것으로 판단되며 육상은 인위적.자연적 교란에 의하여 다양한 유형의 생육형이 공존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양치식물의 생활형 구성 분석 (Composition of Pteridophyta's Life-form Spectra in Korea)

  • 강우창;정승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33-446
    • /
    • 2012
  • 기후적인 인자와 양치식물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우리나라 양치식물 총 321분류군을 대상으로 이들의 생활형에 대하여 휴면형태 및 잎의 계절성을 중심으로 한 분류군별 구성 분석을 수행하여 국내 양치식물의 life-form spectrum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휴면형의 경우, Raunkiaer의 기준으로, 국내 외 표본관의 소장표본 및 전문 연구 자료를 조사하여 구분 정리하였으며, 잎의 계절성에 대하여는 문헌, 개인관찰기록, 개인서신 등에 기초하였다. 아울러 분류 정리된 생활형을 중심으로 각 과별 특성도 살펴보았다. 잎의 계절성 양상에 따른 구분 결과로는 하록성(d), 상록성(e), 동록성(sd)이 각각 37.4%, 59.2%, 1.9%으로 상록성 양치식물이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류군별 휴면형에 따라서는 반지중식물(Hemicryptophytes: H)이 42.1%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지중식물(Geophytes: G)과 착생식물(Epiphytes: E)이 각각 25.5%, 15.9% 이었으며, 지표식물(Chamaephytes: Ch)이 11.8%로 조사되었다. 향후 지역별 식물상에서 양치식물상을 추출하여 유사한 spectrum을 나타내는 지역을 연결한 양치식물 생활형선(Ptph. life-form line)을 도출함으로써 우리나라 양치식물의 분포역 고찰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광릉숲 양치식물의 분포와 생활형 (The Distribution and Life-form of Ferns in Gwangneung Forest)

  • 이강협;여경택;정승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92-597
    • /
    • 2006
  • 광릉숲 양치식물을 중심으로 한 집중적인 조사를 통하여 이 지역에 분포하는 양치식물을 정확히 밝히고자 하였다. 광릉숲에는 9과 17속 43종 3변종 총 46종류의 양치식물이 분포하고 있으며, 지역별 출현식물을 보면, 쇠뜨기, 고사리삼 등 26종류가 광릉숲 전지역에 걸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꿩고비, 지리개관중 등 5종류가 소리봉 일대를 중심으로 하여 한정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산림동물원 계곡부를 중심으로 낚시고사리, 광릉족제비고사리 등이 분포하였고, 왕지네고사리, 참새발고사리 등은 외국수목원 일대에 국한된 분포역을 형성하고 있었다. 생활형을 보면, 휴면형(Domancy form)은 H(Hemicryptophyte)의 비율이 56.5%로 가장 높았으며, HH(Hydatophyte)가 2.2%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번식형(Propagation form)의 지하기관형(Radicoid form)은 대부분이 근경이 짧게 분지하고 가장 좁은 범위의 연결체를 갖는 $R_3$으로 39.1%이며, 근경이 옆으로 벋고 약간 넓은 범위의 연결체를 갖는 $R_2$가 2.2%이었고, 산포기관형(Disseminule form)은 모두 포자가 바람이나 물에 의해 운반되는 $D_1$이었다. 생육형(Growth form)은 t(Tussock)와 e(Erect)가 각각 67.4%와 32.6%로 나타나 광릉숲 양치식물의 대표적인 생활형은 $H-R_{3}-D_{1}-t$로 정리되었다. 광릉숲의 양치식물계수(Ptph.-Q.)는 1.28로 한반도 중부지역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어, 이 지역이 학술림으로서 안정적으로 보전 관리되고 있음을 알수 있다.

제주도 무인도서의 식물상과 생활형 (Flora and Life-form of the Uninhabited Islets, in Jeju-do)

  • 송국만;현화자;강창훈;김문홍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309-1324
    • /
    • 2009
  • This study was survey a flora and life form spectrum of 11 uninhabited islets, in jeju-do. The vascular plants of each uninhabited islets were summarized as Beomseom 159 taxa, Chagwi-do 136 taxa, Daryeo-do 81 taxa, Hyeongje-do 61 taxa, Jigwi-do 39 taxa, Munseom 147 taxa, Ran-do 58 taxa, Saeseom 65 taxa, Seogeondo 60 taxa, Seopseom 183 taxa and Wa-do 46 taxa. Floristic richness was in order analyzed to be Seogeon-do 28.62, Ran-do 19.24, Daryeo-do 18.53, Wa-do 16.42, Munseom 16.14, Hyeongje-do 14.76, Seopseom 13.32, Beomseom 13.24, Chagwi-do 6.15, Saeseom 5.86 and Jigwi-do 2.51. Life form spectrum was surveyed to H-$D_5$-$R_4$-e; hemieryptophyte(H) 26.8%, not production seeds($D_5$) 54.4%, clonal growth by stolons and struck roots($R_4$) 46.9% and erect form(e) 30.3%. According to the life form spectrum hemieryptophyte dominated high portions, which suggests islet in jeju-do has hemieryptophytic climate and similar to middle parts in Korean Peninsular. However, were noticed by that it has more therophytes. As a result, Partially shows the characteristics change from the temperate climate to the warm temperate climate or a semitropical climate by a climatic change.

인공지반녹화지역인 서울로 7017 개원후 1년간의 이입식물 특성 (Immigration Plant Characteristics of Seoullo 7017, as Artificial Foundation Greening Area, after completion 1 year)

  • 차두원;최동석;송종원;최지원;오충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3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management plan of Seoullo 7017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immigration plants in addition to those introduced plants. The taxa number of plants appeared as 276 taxa including 82 families, 161 genera, 246 species, 1 subspecies, 22 varieties and 7 forms. Among them, immigration plants appeared 79 classification groups, including 32 families, 65 genera, 77 species and 2 varieties. Invasive alien plants appeared as 22 classification groups in 79 classification groups of immigration plants. The ratio of America origin plants, second period(1932~1960) in introduction time and the wide diffusion species is high. In June, the growth and occurrence time of the immigration plants was the highest by month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wth of the immigration plants, the immigration plants appeared mostly. In case of dormancy form among life-form, the therophytes(th), in the propagation form-radicoid form, the R5(monophyte), in the propagation form-disseminule form, the gravity D4(having no special modification for dissemination), and in the growth form, the erect form(e) was high. The various immigration plants appeared in green areas covered by Zoysia japonica and low Hedera helix densities. This study is the first flora study since Seoullo 7017 was opened in 2017. And so continuous flora monitoring is required for Seoullo 7017.

당지동의 산화적지의 이차식생 (The Secondary Vegetation of the Burned Area of a Mountain in Dangji-Dong)

  • Kim, Woe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3호
    • /
    • pp.187-197
    • /
    • 1983
  • This report is a series of the investigation of the secondary vegetation and succession at the forest fire area in Dangji-Dong of Kyungsang-pookdo province. The forest fires occurred on April 8, 1982. This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from June 18, 1982 to May 29, 1983 once in each season. Before to fires, the Pinus densiflora was dominant and the woody plants of understory were mainly composed of the Quercus serrata, Q. dentata, Lespedeza maritima and L. macimowiczii. Compared with the florstic composition between the unburned and burned areas after the fires,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unburned area comprises: 79 families, 194 genera, 223 species, 26 varieties and 6 formae (255 kinds of vascular plants). The index of similary shows 0.77 (S$\Phi$renson:1948) in this area. The analyses of the life-form compositions in the unburned and burned area show 32.9% and 29.3% in dormancy form (H), 42.4% and 37.7% in disseminule form($D_1$), 80.8% and 82.2% in radicoid form ($R_5$), and 57.7% and 61.8% in erect form(e) respectively. The biological type shows H-$D_1$-R5-e, which is common in both areas, and erect form is generally prevailing in these communities.

  • PDF

군산시 주요 4개 인공습지의 식물상 및 생활형 (Flora and Life form of 4 Man-made Wetlands in Gunsan City)

  • 김창환;강은옥;최영은;박병모;백종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9호
    • /
    • pp.1125-1140
    • /
    • 2011
  •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on evaluating vegetative value of wetland and RAM evaluation targeting the man-made wetland in Gunsan, Gunsan Reservoir and Gongchang Reservoir had been found to have satisfactory results while Anjeong Reservoir and Changan Reservoir had been found to have unsatisfactory results. Aimed at those reservoirs, a vegetation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differences in terms of flora and growth habit. As for the flora, Gunsan Reservoir ranked first with 433 kinds of plants, followed by Gongchang Reservoir with 306, Changan Reservoir with 176 and Anjeong Reservoir with 167. As for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istic region, it was identified that Gunsan Reservoir had 18 species, larger than other wetlands and also, it had more species of naturalized plants than others. This phenomenon is related to various wetland environments resulted from wider area of Gunsan Reservoir. In the case of dormancy form, hemicryptophytes were mainly distributed in Gunsan Reservoir and Gongchang Reservoir while annual plants were mainly distributed in Anjeong Reservoir and Changan Reservoir with heavy disturbance.

영종도와 용유도 일대의 식물상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Youngjongdo and Yongyudo)

  • 이혜정;박수현;하상교;황희숙;장계선;이유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39-867
    • /
    • 2012
  • 2009년 5월부터 동년 10월까지의 5회 조사, 그리고 2011년 7월 1회의 추가조사로 총 6회에 걸쳐 인천광역시 중구 영종도와 용유도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의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소산식물은 98과 352속 556종 4아종 73변종 11품종으로 총 644분류군이다. 이들 중 모래지치, 갯사상자, 큰조뱅이, 참지네고사리, 홍지네고사리를 포함한 250 분류군의 분포가 새롭게 확인되었다. 관속식물의 생활형 중 휴면형은 반지중식물이 37.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 특산식물은 총 4분류군, 한국 희귀식물은 6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3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95분류군이 조사 되었으며, 도시화지수는 29.6%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서울 중랑천의 식생구성과 식물상 (Vegetational Composition and flora of Jungnangcheon in Seoul)

  • 이유미;박수현;정승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71-286
    • /
    • 2002
  • 중랑천의 식생구성 상태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1년 6월에 중랑천을 7개 지역으로 나누고 각 지역에서 3개 지점씩, 총 21개 조사구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1년 6월부터 9월까지 3회에 걸쳐 중랑천 전지역의 식물상을 파악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생구성 상태는 지역별, 하천 사면의 지점별로 차이가 나타났는데, 우선 근지점의 경우는 갈풀. 개쇠스랑개비, 속속이풀, 흰명아주, 개피, 좀명아주 등이 높은 상재도와 출현횟수를 보였다. 또 중간지점의 경우, 참새귀리, 환삼덩굴, 망초, 개밀 등이, 원지점의 경우, 참새 귀리, 좀명아주, 쑥 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참새귀리, 좀명아주 환삼덩굴, 망초, 개밀, 쑥, 콩다닥냉이 등은 21개 조사구 중 9회 이상 출현하여 출현 빈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랑천지역에서 나타난 귀화 식물은 모두 21과 55속 68종 6변종으로 총 74종류였으며, 이 지역의 전체 귀화율(NI)은 29.2%, 자연파괴도 (UI)는 27.9%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랑천 전체지역에서 조사된 식물종류는 50과 159속 224종 1아종 27변종 1품종으로 총 253종류였다. 이들의 생활형을 보면, 휴면형은 일년생식물(Th)의 비율이 37.9%로 가장 높았으며, 지중식물(G)과 반지중식물(H)은 각각 7.1%, 17.8%로 상당히 낮은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리하였을 때 중랑천에서는 Th-R$_{5}$-D$_4$-e이 대표적인 생활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의성 멸종위기종 붉은점모시나비 서식지 식물의 생활형 및 식생 (Life form of the Plants and Vegetation in the Habitat of Endangered Parnassius bremeri in Uiseong, Gyeongsangbuk-do)

  • 이남숙;김창환;김도성;최영은;박율진;이경보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7-69
    • /
    • 2011
  •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a research of life form and vegetation of the plants extant in the habitat of endangered Parnassius bremeri in Uiseong, Gyeongsangbuk-do with a view to restore their habitat and create substitute habitats. The research found that there are a total of 130 vascular plants including 47 families, 96 genera, 113 species, 1 subspecies and 16 varieties. In terms of their life form, hemicryptophytes (H) is the majority of dormancy form with 41 species or 31.54%, while $R_5$ is majority of radicoid form with 72 species or 55.38%, gravitational disseminule form ($D_4$) is majority among the disseminule forms with 68 species or 52.31% and erect type (e) is majority of growth form with 57 species or 43.85%. Major constituents of the habitat are Sedum kamtschaticum, Selaginella tamariscina, Orostachys japonica, Arundinella hirta, Cymbopogon tortilis var. goeringii, 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Carex humilis, Indigofera kirilowii,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Festuca ovina, Artemisia capillaris, etc., all of species which are in the initial stage of succession and show simultaneously features characteristic of vegetation on the rock. In the habitat 1. Sedum kamtschaticum- Selaginella tamariscina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are distributed whereas, in the habitat 2. Sedum kamtschaticum-Selaginella tamariscina community, Sedum kamtschaticum-Carex humilis community, Sedum kamtschaticum-Cymbopogon tortilis var. goeringii community and Sedum kamtschaticum-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community are growing and in the habitat 3. Sedum kamtschaticum-Selaginella tamariscina community, Selaginella tamariscina community, Sedum kamtschaticum-Indigofera kirilowii community and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are seen distributed there, too. Typical of food plants growing in the habitat is Sedum kamtschaticum, found mostly in the rocky area and its surroundings. Absorption plants are those that usually bloom in the season when imagoes emerge. From the research, it becomes evident that the blooming season of Sedum kamtschaticum, obviously a food plant, corresponds exactly to the emergence timing of imagoes.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Rosa multiflora, Erigeron annuus,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are found to belong to these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