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MINANT SPECIES

검색결과 3,078건 처리시간 0.034초

하상구조에 따른 4개 하천의 어류 분포 특성 비교 (Comparison of Fish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by Substrate Structure in the 4 Streams)

  • 윤석진;최준길;이황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02-313
    • /
    • 2014
  • 모래형 하천과 자갈형 하천의 어류군집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4개의 하천을 선정하여 계절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출현한 어종 중 한국고유종은 Acheilognathus gracilis 외 24종으로 확인되었다.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의 우점종은 Zacco koreanus로 각각 39.9%, 28.4%를 차지하였으며, 양화천은 Rhodeus notatus가 13.6%, 갑천은 Z. platypus가 26.0%로 우점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지수는 0.27~0.63, 다양도지수는 1.92~2.67, 균등도지수는 0.6~0.79, 풍부도지수는 3.09~3.53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우점도지수는 홍천강에서 가장 높고, 다양도, 균등도, 풍부도지수는 양화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내성도 길드 분석 결과 하상구조물이 다양한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은 민감종이 각각 50.1%와 46.4%로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모래 하상이 높은 양화천과 갑천은 민감종이 각각 0.5%와 5.3%의 희소한 비율을 차지하였다. 하천별 출현한 어류의 종별 개체수와 하상구조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자갈형 하천인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이 종과 개체수는 50.4%, 하상구조는 95.2%로 가장 유사하였다. IBI 분석결과 홍천강과 무주남대천이 'A등급', 양화천과 갑천이 'B등급'으로 나타났고, 주성분 분석결과 자갈형 하천과 모래형 하천의 2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한국 제주 연안의 암반 형태 차이와 저서생물 군집구조 (Rock type difference and Benthic Community Structures in the coast of Jeju, Korea)

  • 김보연;고준철;최한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96-1008
    • /
    • 2016
  • 제주 연안 저서생물(해조류, 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가 저서 기질 형태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신흥해역에서 2015년 2월부터 11월까지 매월 조사되었다. 암반정점에서는 해조류 57종과 무척추동물 102종이 출현하였고, 몽돌정점에서는 해조류 42종과 무척추동물 67종이 관찰되어 암반기질에서 저서생물의 출현종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조류의 연평균 생물량은 암반정점에서 $1,601.13g\;wet\;wt./m^2$으로 몽돌정점의 $448.85g\;wet\;wt./m^2$보다 약 4배 높았다. 감태는 암반정점에서 전체 생물량의 62.64% ($1,002.93g/m^2$)를 차지하는 우점종이었고, 몽돌정점에서는 넓은게발, 감태, 붉은뼈까막살, 자루바다표고, 갈래곰보가 우점하였다. 저서무척추동물의 개체수 및 생물량은 암반정점에서 각각 $106.9indivi./m^2$, $871.93g/m^2$이며, 몽돌정점에서는 $64.6indivi./m^2$, $984.28g/m^2$로 나타났다. 무척추동물의 생물량 우점종을 파악한 결과, 암반정점에서는 소라(36.40%), 바퀴고둥(19.18%), 보라성게(13.61%)였고, 몽돌정점에서는 거품돌산호(54.13%)와 그물코돌산호(24.28%)로 기질에 따른 우점종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한국 서해의 금강-만경-동진 하구역과 주변 연안역의 저서동물군집 (Macrobenthos Community in Keum-Mankyung-Dongjin Estuaries and its Adjacent Coastal Region, Korea)

  • 최진우;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04-318
    • /
    • 1994
  • 본 연구는 한국서해의 금강, 만경강 및 동진강 하구역과 그 외곽의 연안역에서 의 저서동물군집의 분포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van Veen grab을라는 사용하여 조하대 하구 역의 39개 정점에서 저서생물을 채집하였다. 채집된 저서동물은 10개 동물분류군, 총 61종이며 개체수는 5,636였다. 각 하구역별로 출현종수와 개체수가 달랐지만 외곽의 연악역과 비교하면 3개 하구역은 종조성과 우점종에 있어서는 서로 유사하였다. 하구 역에서는 우점종으로는 Prionospio cirrifera, potamocorbula amurensis. Nephtys californiensis, Glycera chiron and Glycinde sp등이었고 연안역의 주점종으로는 Magelona japonica, Owenia fusiformis. Anaitides Korean and Nephtys polybranchia 등으로서 하구역과는 매우 달랐다. 이들 중에서 이매패류인 Potamocorbula amurensis 와 다모류의 Prionospio cirrifera는 이곳 하구역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다른 종들에 비해 극히 우점하여 본 조사하구역의 저서동물군집을 대표하는 종이다. 종다양성지수 값은 하구역에서 대체로 낮았는데 이는 우점종의 밀집분포와 전반적인 출현종수와 빈 약에 기인한 것이다. 식성군조성에 있어서는 하구역에 여과식자와 육식자의 비율이 높 은 반면 표층하퇴적 물자식의 비중은 낮았다. 이러한 식성군조성은 본 하구역의 전형 적인 특징으로 파악되었다. 집괴분석 결과 하구역의 저서동물군집은 일차적으로 염분 의 구배에 의해서, 소규모적인 분포양상은 퇴적상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1995년 12월 경기만 북부해역에서와 저서다모류 군집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in Northern Kyeonggi Bay in December 1995)

  • 신현출;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3권4호
    • /
    • pp.261-270
    • /
    • 1998
  • 본 연구는 경기만의 저서다모류 군집의 분포와 종조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5년 12월에 수행되었다. 저서동물의 평균서식밀도는 557 개체/$m^2$이었고, 우점 동물군은 다모류로서 출현종수는 60 종, 서식밀도는 488 개체/$m^2$이었다. 저서다모류의 서식밀도는 인천항을 중심으로한 염하수로 일대 해역에서 가장 높았고, 영종도와 송도 주위의 조간대 지역과 주수로를 포함한 외해역에서는 낮았다. 최우점종은 Heteromastus filiformis이었으며(다모류 중 47.3%), 다음은 Nephtys polybranchia, Tharyx sp., Sternaspis scutata의 순이었다. 우점종의 종조성에 기초한 집괴분석 결과 경기만은 외해역/수로역, 인천항, 영종도조간대, 송도조간대의 네 해역으로 구분되었다. 외해역과 수로역은 출현종수가 가장 많아 다양도지수가 가장 높은 정점군이며, 인천항은 다모류의 서식밀도가 가장 높은 정점군이다. 특히 인천항은 H. filiformis가 극우점하는 지역이다. 경기만에서 수행된 이전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면, 종수나 서식밀도는 최근 10 년간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우점종은 각 연구마다 차이를 보이나, 대체로 버들갯지렁이과, 실타래갯지렁이과, 얼굴갯지렁이과에 속하는 소형의 기회주의종들 이었다. 이러한 사실은 경기만의 유기물 오염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음을 지시하며, 특히 본 연구 결과는 오염의 중심지가 인천항이며, 시화방조제 인근해역의 저서동물군도 극도로 불안정한 상태에 있음을 나타낸다.

  • PDF

춘천호와 안동호의 어류상과 군집 특성 (Ichthyo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of Fish in Chuncheon and Andong Reservoirs)

  • 김진희;권준영;송준영;오윤경;김광석;허준욱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0-80
    • /
    • 2019
  • 수산자원보호구역인 춘천호와 안동호에서 어류 군집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수행되었으며, 어류상을 파악하고 우점종 및 아우점종을 확인한 결과 춘천호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13과 34종 1,197개체였다. 채집된 어류 중 블루길(Lepomis macrochirus)이 23.2%로 우점하였으며, 피라미(Zacco platypus)가 17.4%로 아우점하였다. 안동호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9과 24종 1,393개체였다. 우점종은 블루길이 15.7%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으며, 붕어(Carassius carassius)가 15.2%로 아우점하였다. 두 조사지점의 종다양도는 과거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균등도는 안동호에서는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나 춘천호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 인공호 모두 어류상 및 군집구조 측면에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외래종 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고, 다양한 어종이 안정적으로 개체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산자원 종자 방류 및 인공산란장 설치 등과 같은 관리가 필요하다.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Of The Kum River Estuary

  • Shim, Jae-Hyung;Yang, Jae-Sam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1
    • /
    • 1982
  • A study on the community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of the Kum River Estuary has been done in fall, 1980 and spring, 1981. Ond hundred and one taxa representing 22 families, 41 genera, 107 species, 2 varieties, and 2 forms were identified. The community of the study area composed mainly of diatom species icluding the very small fraction of dinoflagellates, blue-greens and greens. The dominant species were Skeletonema costatum, Paralia sulcata, and Asterionella kariana. The total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of winter samples was 115,000 cells/1 in average and that of spring samples was, 1,320,333 cells/1 in average. Of the representative members, dominant species above appeared moree than 10% of the total standing crop, Skeletonema costatum being maximized up to 46%. In spring Asterionella japonica, Thalassionema nitzschioides, and Chaetoceros curvistetus appeared 3∼8%, and Thalassiosira excentricus 3% in winter. The distribuion of marine form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at of fresh water forms, although the brackish-water forms showed no relationship. This change pattern of marine, brackish and fresh-water forms are discussed with the results of time series analysis. A list of phytoplankton species observed in this study is added.

  • PDF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Communities by Cluster Analysis in Mt. Seokbyung Experimental Forest of Gangwon-Do

  • Chung, Sang-Hoon;Kim, Ji-H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5호
    • /
    • pp.736-743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ecological attributes of classified forest community by cluster analysis in the mixed forest of Mt. Seokbyung Experimental Forest of Gangwon-Do. The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in randomly established 51 sample plots (2.04 ha) and analysis adopted the cluster analysis, importance value index, and Shannon's diversity index.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tudy area was classified into 4 clusters (A, B, C and D). 2) The cluster A was dominated by Pinus densiflora with an importance value of 71.6%.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he cluster B and cluster C were Larix leptolepis (57.1%) and Quercus mongolica (40.2%), respectively. Finally, The cluster D was dominated by P. densiflora (30.6%) and Q. mongolica (31.0%) with the mixed forest. 3) In the P. densiflora community (cluster A), distribution of DBH class showed a reverse J-shaped curve. In the L. leptolepis community (cluster B), individuals of dominant species had the bell-shaped distribution. Oak species indicated uniform distribution of DBH class (under 25 cm) in the mixed P. densiflora - Q. mongolica community (cluster D). 4)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the communities in descending order were: Pinus densiflora - Q. mongolica community > Larix leptolepis community > Pinus densiflora community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Forest Structure and Composition in the Vicinity of Srinagar Hydroelectric Power Project in Alaknanda Valley, Garhwal Himalaya, India

  • Ballabha, Radha;Kuniyal, Archana;Tiwari, Prabhawati;Tiwari, Jay Krisha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6권2호
    • /
    • pp.78-90
    • /
    • 2020
  • We studied forest structure and composition in the vicinity of Srinagar Hydroelectric Power Project in Alaknanda Valley, Garhwal Himalaya, India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the management of forests. Eight sites were selected in the vicinity of power project based on elevation and species composition. Density varied from 650 to 340 ind ha-1 for trees and from 4,360 to 6,480 ind ha-1 for shrubs. TBC ranged from 35.02 to 54.02 ㎡ ha-1 for trees and from 0.875 to 2.628 ㎡ ha-1 for shrubs. On the basis of density and IVI, Pinus roxburghii was found dominant tree species in most of the sites, whereas among the shrubs, Carissa opaca was dominant. Dominance of Pinus roxburghii in most of the sites is an indication towards possible threat to associated species in the area. The dominance-diversity curve of trees showed a geometric distribution, whereas the shrubs displayed log-normal curves. The forest has rich and diverse species composition however; habitat degradation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Power Project might lead to reduction of plant species from the area.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predicting possible changes in the forest ecosystem properties in near future after completion of the power project.

당지동의 산화적지의 초기식생천이 (The Early Vegetational Succession of he Burned Area in Dangji-Dong)

  • Kim, Woen;Jeong Ho Suh;Chong Un Ri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4호
    • /
    • pp.237-242
    • /
    • 1983
  • This is an investigation on the secondary vegetation and succession in the mixed forests destroyed by the severe crown fires on April 8, 1982.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loristic compositions in the investigated area are composed of 63 kinds of kinds of vascular plants. The biological type shows $ H-D_1, 4-R_5-e$, which is supposed to make a progress to the $ H-D_1-R_5-e$ type. Dominant species are Spodiopogon sibiricus (100.00)-Carex humilis var. nana (70.52)-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61, 06)-Lespedeza maximowiczii (57.53). Lespedexa maximowiczii is prevailing as the dominant species in this area. The species diversity(H) and eveness index(e) show 3.00 and 0.74 respectively, so that the species are various and shows uniform distribution comparatively in these communities. Degree of succession(DS) is 479 in the investigated area, the value of which is comparatively higher than that of Chungcheongbuk-do area at the second year afer fires. After the crown and trunk of trees were scorched by the crown fires, the pine tree (Pinus densiflora) died and the other species could be survivd after sometimes. It some that Quercus serrata. Q. dentata, Maackia amurensis, Lespedez cyrtobotrya, Platycarya strobilacea and Lindera glauca are the fire-resistant plants.

  • PDF

이원면 굴, Crassostrea gigas 양식어장의 월별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및 수질환경 변화 (Monthly Variation of Phytoplankton Composition and Water quality in Cupped Oyster Crassostrea gigas Culture Area in Iwon, Korea)

  • 김수경;김병호;오은경;송기철;박승윤;한기연;임현정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9-258
    • /
    • 2014
  • Phytoplankton species composition and ecological index (diversity, evenness, richness and dominance) were analysed from April 2013 to March 2014 at 10 stations of cupped oyster, Crassostrea gigas culture area in Iwon coast, Korea. Seasonal and position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biomass, dominant species and water quality were distinctively different according to occasionally inflow of Iwon dam reservoired water. The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species were Bacillariophyceae 98, Dinophycease 22, Chlorophycease 13, Cyanophyceae 8, Silicofalgellate 4, Euglenophyceae 2, Cryptophyceae 1 species.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Bacillariophyceae as 64.0%. The highest biomass of phytoplankton recorded in September as $40,910{\times}10^3$ cell/L at the station 1, near from inland water inflow area. Ecological indices (diversity, richness, evenness, and dominance index), used for structural change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water quality (temperature, dissolved oxygen, salinity) showed difference of spatiotemporal property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