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robenthos Community in Keum-Mankyung-Dongjin Estuaries and its Adjacent Coastal Region, Korea

한국 서해의 금강-만경-동진 하구역과 주변 연안역의 저서동물군집

  • CHOI, JIN-WOO (Department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OH, CHUL-HWAN (Department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4.09.01

Abstract

Macrobenthic fauna in three Keum-Mankyung-Dongjin Estuaries and their nieghbouring coastal region in the west coast of Korea were sampled as 39 stations with van Veen grab to describe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macrobenthos. Total 61 taxa from 10 faunal taxonomic groups and 5,636 individuals were collected. Abundance, species number, and faunal composition varied among three estuaries and coastal region. Dominant species from estuaries were similar to each other, but different from those of coastal region. Dominant species in estuarine regions were Prionospio cirrifera, potamocorbula amurensis. Nephtys californiensis, Glycera chiron and Glycinde sp, those from coastal area were Mactra chinensis. Magelona japonica, Owenia fusiformis. Anaitides Korean and Nephtys polybranchia. Two most dominant species in estuaries, Potamocorbula amanuensis and Prionospio cirrifer were not found elsewhere in Korean waters. The patchy distribution of dominant species and low species richness were reflected in the low species diversity Filter feeders were a major component in estuaries. High proportion of carnivores and low percentage of subsurface deposit feeders seemed to be a typical trophic composition in the study area. the distribution pattern of macrobenthos was related with the salinity and sediment types.

본 연구는 한국서해의 금강, 만경강 및 동진강 하구역과 그 외곽의 연안역에서 의 저서동물군집의 분포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van Veen grab을라는 사용하여 조하대 하구 역의 39개 정점에서 저서생물을 채집하였다. 채집된 저서동물은 10개 동물분류군, 총 61종이며 개체수는 5,636였다. 각 하구역별로 출현종수와 개체수가 달랐지만 외곽의 연악역과 비교하면 3개 하구역은 종조성과 우점종에 있어서는 서로 유사하였다. 하구 역에서는 우점종으로는 Prionospio cirrifera, potamocorbula amurensis. Nephtys californiensis, Glycera chiron and Glycinde sp등이었고 연안역의 주점종으로는 Magelona japonica, Owenia fusiformis. Anaitides Korean and Nephtys polybranchia 등으로서 하구역과는 매우 달랐다. 이들 중에서 이매패류인 Potamocorbula amurensis 와 다모류의 Prionospio cirrifera는 이곳 하구역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다른 종들에 비해 극히 우점하여 본 조사하구역의 저서동물군집을 대표하는 종이다. 종다양성지수 값은 하구역에서 대체로 낮았는데 이는 우점종의 밀집분포와 전반적인 출현종수와 빈 약에 기인한 것이다. 식성군조성에 있어서는 하구역에 여과식자와 육식자의 비율이 높 은 반면 표층하퇴적 물자식의 비중은 낮았다. 이러한 식성군조성은 본 하구역의 전형 적인 특징으로 파악되었다. 집괴분석 결과 하구역의 저서동물군집은 일차적으로 염분 의 구배에 의해서, 소규모적인 분포양상은 퇴적상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