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O (Dissolved Oxygen)

Search Result 48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On-Line Estimation of Cell Growth from Agitation Speed in DO-Stat Culture of a Filamentous Microorganism, Agaricus blazei

  • Na, Jeong-Geol;Kim, Hyun-Han;Chang, Yong-Keu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6호
    • /
    • pp.571-575
    • /
    • 2005
  • A simple, but effective on-line method for estimating the mycelial cell mass concentration from agitation speed data, a most readily-available process variable, has been developed for DO-stat cultures of Agaricus blazei. The dynamic change of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DOC) in the initial transient period and the change in yield wer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the estimation algorithm or estimator. Parameters in the estimation algorithm were calculated from the agitation speed data at 20% of DOC. The proposed estimator could accurately predict the cell mass concentration regardless of DOC levels in the tested range of $10{\sim}40%$, showing a good extrapolation capability.

Phosphorus Release from Sediment in Lake Sihwa and its Control

  • Kang, Seon Hong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3-220
    • /
    • 2002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initial pH, temperatur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and sediment depth on the release of phosphorus from sediment in Lake Sihwa were investigated. No phosphorus release occurred at $10^{\circ}C$ for all pH values. DO concentrations were decreased and equilibrium was obtained 4-8 days after phosphorus release started. The DO concentrations were less than 1 mg/L. Sediment depth had little effect on phosphorus release rate. In order to control the released phosphorus, raw sludge and chalk were used. Results showed that a portion of phosphorus was removed by adsorption to chalk and raw sludge. About 90 % phosphorus removal was observed using sludge and calcinated chalk from the water sample in Lake Sihwa.

어류 스트레스 요인으로서 우리나라 하천의 산소과포화 실태 (Oxygen Supersaturation in Korean Streams as a Stress Factor to Fish)

  • 이새로미;이재용;최재석;김선정;안부영;김범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3-218
    • /
    • 2012
  • Abnormal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in aquatic habitat, both depletion and supersaturation, can be stress factor to aquatic animals. In this study the nationwide distribution of oxygen supersaturation was analyzed for three categories of streams (43 urban streams, 15 rural streams, and 14 forest streams) by using monitoring network data of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From the distribution analysis 30% of urban streams showed hyperoxic condition of eutrophic level, while no forest stream showed hyperoxic condition. The physiological effect of hyperoxia on fish was examined using two species of fish Zacco koreanus, which resulted in higher concentration of a stress hormone (cortisol) in fish exposed to hyperoxic concentration (196%) of oxygen. This study shows that hyperoxic condition is ubiquitous in urban and rural Korean streams, and it can be a stress factor to aquatic animals.

피조개(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양식시 살포시기와 환경 특성의 영향 (The Effects of the Spat Planting Time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Culture)

  • 김정배;이상용;정춘구;정창수;손상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1-40
    • /
    • 2007
  • 가막만, 여자만과 사량도에서 피조개(Scapharca broughtonii) 치패의 살포시기와 양식장 환경에 따른 피조개의 성장과 생존율 감소 요인을 파악하였다. 피조개는 여자만과 가막만에서는 2004년 11월에 인공산 치패를 바닥식으로 살포하였으며, 사량도에서는 2005년 3월초에 중국산과 국내산 치패를 바닥식으로 살포하였다. 살포된 피조개의 치패는 2005년 3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성장과 생존율을 측정하였으며, 양식장의 수질(수온, 염분, DO, 영양염, Chl. a)과 퇴적물(산소투과 깊이, 미세산소 분포, 강열감량과 COD) 환경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피조개의 누적 생존비는 가막만에서 가장 높았으며, 여자만에서는 대부분 폐사하였다. 피조개 개체의 성장은 여자만과 가막만에서 5월에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량도에서는 국내산이 중국산보다 빠른 성장을 보였다. 여자만에서 피조개의 높은 폐사(>65%)는 하계의 수온 상승, 저염분 수괴의 유입과 퇴적물의 낮은 DO 농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에 따른 가막만과 사량도에서 피조개의 생존비는 영양염과 퇴적물의 COD 농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조개의 성장과 폐사는 양식장 환경과 살포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해산어류 6종의 산소소비 경향에 관한 연구 (The Patterns of Oxygen Consumption In Six Species of Marine Fish)

  • KIM Il-Nam;CHANG Young-Jin;KWON Joon-Yeong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73-381
    • /
    • 1995
  • 유용 해산어류에 대한 산소소비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자주복 Takifugu rubripes,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농어 Lateolabrax japonicus, 참돔 Pagrus major,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등 6종의 추어를 주대상으로 수온별, 밀도별, 체중별 산소소비량및 치사산소량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모든 어종에서 산소소비량 $(Oc,\;ml/kg\;\cdot\;hr)$은 수온$(T,\;^{\circ}C)$의 상승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그 경향은 다음과 같은 회귀직선식으로 표시되었다. 넙치= Oc=34.0515T-339.5987 $(r^2=0.9730)$, 자주복. Oc=34.4941T-479.8732 $(r^2=0.9483),$, 조피볼락: Oc=44.7970T-634.2627 $(r^2=0.9718),$, 농어: Oc=26.1488T-318.0633 $(r^2=0.9316),$, 참돔: Oc=61.1020T-722.8926 $(r^2= 0.9805),$, 감성돔: Oc=75.1460T-947.9370 $(r^2=0.9392).$. 어체의 수용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위체중당 산소소비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넙치는 체중(W, g) 증가에 파라 산소소비량이 감소함으로써 Oc=2532.0268W-0.6565 $(r^2=0.9229)$의 관계를 나타냈다. 넙치, 조피볼락, 자주복, 참돔의 치사산소량은 각각 0.66, 0.79, 0.75 및 1.36m1/1였다

  • PDF

가로림만의 이화학적 수질의 시.공간적 특성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he Garorim Bay, Korea)

  • 남현준;허승;박승윤;황운기;박종수;이해광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1-114
    • /
    • 2012
  • 본 연구는 2010년에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실시한 황해 어장환경 모니터링 중 가로림만의 11개 정점에 대해 년 6회 짝수 달에 조사한 수온, 염분, 용존산소(DO),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엽록소 $a$, 입자성부유물질(SPM) 및 영양염류를 분석하여 가로림만의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수온, 염분, COD, 용존성무기질소, 엽록소 $a$, SPM은 표 저층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그 외 조사 항목은 표 저층간의 차이가 없었다. 모든 조사 항목에서 정점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수온은 전형적인 온대 수역의 변화 양상을 보였으며, 염분은 8월에 평균 31이상으로 저염분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DO는 농도가 낮은 6~8월에 평균값이 빈산소 수괴 발생 농도인 3mg/L보다 높은 농도를 보였다. 엽록소 $a$는 전체적으로 6월 표층 $1.68{\mu}g/L$, 저층 $2.38{\mu}g/L$, 8월 표층 $1.68{\mu}g/L$, 저층 $1.57{\mu}g/L$로 여름철에 가장 높았다. 영양염류는 전체 조사시기별 중에서 2월이 높고 8월이 낮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여름철에 가로림만으로 들어오는 담수유입이 제한받고 여름철에 번식하는 식물플랑크톤에 의해서 영양염이 소비가 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DIN/DIP 비는 전체적으로 비슷한 값을 보였으며, 6월의 경우는 표층 30.52, 저층 37.89로 다른 조사시기별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SPM은 2월 저층에서 44.15mg/L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는데, 이러한 현상은 겨울에 북서계절풍의 영향으로 사료된다. 영양염류의 결과와 저염분 현상 및 빈산소 수괴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가로림만은 외해의 해수 교환이 원활이 이루어지며, 작은 하천을 통해 들어오는 담수의 유입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해역별 수질등급은 전반적으로 I, II등급의 수질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수산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연안이므로 앞으로 지속적인 보전이 요구된다.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생태 -1. 저서환경- (Ecology of the Macrobenthic Community in Chinhae Bay, Korea -1. Benthic Environment-)

  • 임현식;홍재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00-214
    • /
    • 1994
  • 진해만의 저서동물 군집생태 연구의 일환으로 저서환경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7년 6월부터 1990년 5월까지 12개 정점에서 표층 및 저층수의 수온, 염분, 용존산소와 퇴적물의 입도조성 및 유기물량을 조사하였다. 진해만의 저서환경은 내만으로 들어 갈수록 퇴적물 입도의 세립화, 높은 유기물함량, 여름철 성층의 발달로 인한 저층 빈산소 수괴의 형성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저층의 빈산소수괴는 5월부터 내만에서 형성되기 시작하여, 여름철로 접어들면서 점차 외해역으로 확산되어 9월에 최고에 달하였으며, 진해만 전 해역의 절반이상이 빈산소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저층의 빈산소 환경은 가을철로 접어들면서 성층의 점진적 소멸과 함께 회복된다. 저층수의 수온, 염분 및 용존 산소량과 퇴적물의 입도 및 유기물 함량의 5개 환경요인에 대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 해역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공간 분포는 전반적으로 퇴적물의 유기물함량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급격한 용존산소량 증가에 순응한 꺽지(Coreoperca herzi)와 모래무지(Pseudogobioesocinus) 젖산탈수소효소 활성과 동위효소의 변화 (Changes of Activities and Isozymes of Lactate Dehydrogenase in Coreoperca herzi and Pseudogobio esocinus Acclimated to Rapid Increase of Dissolved Oxygen)

  • 조성규;염정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1-79
    • /
    • 2005
  • 용존산소(DO)의 급격한 증가에 순응된 꺽지(Coreoperca herzi)와 모래무지(Pseudogobio esocinus) 조직내 젖산탈수소효소(EC 1.1.1.27, lactate dehydrogenase, LDH)의 대사와 $C_4$ 동위효소를 확인하였다. DO 18 ppm에 갑작스럽게 순응시 꺽지 LDH활성은 뇌와 간조직에서 각각 $35-39\%$ 변화되었고, 다른 조직에서는 $20\%$이내로 변화가 적었다. 골격근조직은 LDH $A_4$ 동위효소가 증가되고 하부단위체 C를 포함하는 동위효소는 감소되었다. 심장조직은 $B_4$ 동위효소가 조금 증가되었다. 신장조직도 $B_4$가 증가하고 눈 조직은 eye-specific $C_4$와 C hybrid가 감소되어 조절되었다. DO 증가에 갑작스럽게 순응한 모래무지 간조직에서 LDH 활성은 30분에서 급격하게 $150\%$이상 크게 증가되었고, 다른 조직에서는 $70\%$ 이상 변화되었다. 그리고 골격근조직은 $A_4$ 동위효소가 증가하고 다른 조직들에서는 $B_4$가 증가되었으며 특히 간 조직의 대사는 liver-specific $C_4$가 증가하고 $A_4$ 는 감소되어 조절되었다. 그러나 꺽지 눈 조직의 대사는 LDH 활성이 감소하고 eye-specific $C_4$ 동위효소가 감소되어 조절되었다. 따라서 DO증가에 순응시 모래무지는 꺽지에 비해 LDH 활성이 크게 증가되었고 동위효소의 변화정도도 크게 나타났으며, eye-spe-cific $C_4$와 liver-specific $C_4$ 동위효소는 lactate oxidase로서 대사를 조절하였다. 그러므로 환경변화에 순응하여 나타나는 대사는 종이 이전에 어떤 서식조건에 적응되었는가에 따라 다른 것으로 사료된다.

A study of palm oil mill processing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of palm oil mill effluent treatment

  • Akhbari, Azam;Kutty, Prashad Kumaran;Chuen, Onn Chiu;Ibrahim, Shaliza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212-221
    • /
    • 2020
  • This work discusses the palm oil mill processing carried out at Jugra Palm Oil Mill Sdn Bhd, situated at Selangor, Malaysia with the capacity of 45-t fresh fruit bunch (FFB)/h. Typically, oil palm residues and palm oil mill effluent (POME) from FFB are generated while processing. Prior to discharge, POME should be treated to remove pollutants in the effluent. As such, the performances of anaerobic and aerobic ponds were assessed in this study to determine temperature, pH,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sludge volume index (SVI), and dissolved oxygen (DO). From the experiments, mesophilic temperature due to better process stability was applied in anaerobic ponds. The pH results displayed a fluctuating trend between lower control limit and upper control limit, and, the pH value increased from one pond to another. The final discharge BOD and SVI appeared to be lower than 100 mg/L and 10 mL/L indicating low degree of pollution and good settling ability for biomass/solid. DO was close to normal, mostly below 2 mg/L. The experimental outcomes revealed the effective treatability of POME in adherence to the standard regulation, which is the priority fo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within this industry domain.

한강 상류와 중류지역에서 측정한 일반수질의 계절적 변화(1988. 8$\sim$1989. 9)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ies in the upper and middle reaches of the Han River (1988. 8$\sim$1989. 9))

  • 이상준;정규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3권1호
    • /
    • pp.106-116
    • /
    • 199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of water qualities in the upper and middle reaches of the Han River. For this purpose, water was sampled at Kwangjin and 1st Han-River Bridges of the Han River in Seoul and analysed from August, 1988 to September, 1989.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Water quality at 1st Han-River Bridge was more polluted than that at Kwangjin Bridge. 2. Except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turbidity, suspended solid (SS), dissolved oxygen (DO), DO saturation (DOS), ammonia nitrogen ($NH_3-N$), nitrite nitrogen ($NO_2-N$) and chloride ion ($Cl^-$) at Kwangjin and 1st Han-River Bridges were lower 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data before redevelopment of the Han River. 3. SS, DO and pH at Kwangjin and 1st Han-River Bridges could be classified to the 1st grade in environmental water quality standard. DOS at Kwangjin Bridge was over 100% and that at 1st Han-River Bridge was below 100% in the Han River. BOD at Kwangjin Bridge could be classified to End grade and that at 1st Han-River Bridge to 3rd grade in environmental water quality standard. 4. The higher the level of water was, the lower the levels of turbidity and SS, and $NH_3-N$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water level at 1st Han-River Bridge. DO was decreased as water temperature went up but DOS was increased with DO. BO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itrite-nitrogens. 5. Turbidity and SS at the both sites and Chloride ion ($Cl^-$) at Kwangjin Bridge were increased in July and August. And DO at the both sites and $NH_3-N$ at 1st Han-River Bridge were decreased in at July and Augu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