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

검색결과 63,307건 처리시간 0.071초

전북지역 사육 소에서 첫 럼피스킨 발생 보고 (The first outbreak of lumpy skin disease in Jeollabuk-do, Korea)

  • 추금숙;정우리;양승혁;이명찬;손구례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39-348
    • /
    • 2023
  • The outbreak of lumpy skin disease (LSD), caused by LSD virus (LSDV), in Jeollabuk-do was first confirmed at a Korean cattle farm in Buan-gun on October 24, 2023. Afterwards, thirteen cases (twelve cases in Gochang-gun and a case in Imsil-gun) were further confirmed, resulting in a total of fourteen cases over 25 days until November 17, 2023. Clinical examination were conducted on infected and co-habitting cattle from the LSD-affected farms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presence of nodules throughout the body such as head, neck, chest, femur, head, and perineum. As a results, abnormal clinical signs were observed in fifteen cows: loss of appetite in six cows, high fever in three cows, eye mucosal nodules in a cow, nasal mucosal nodules in six cows, nodules on perineum in five cows, scrotum nodules in two cows, papillary nodules in a cow, and/or skin nodules in eleven cows. By the PCR methods, the common gene of capripox virus and/or the specific gene of LSDV were detected in 35 of the 69 cows tested this study. In the Farm1, capripox virus-specific gene, LSDV wild strain-specific gene, and LSDV vaccine strain-spcific gene were simultaneously detected in affected cows, indicating the cattle farm was affected by various strain of LSDV. As a result of combining clincal examination and PCR test, it was found that clinically and subclinically infeted cows coexist in the LSDV-infected farms. These finding in this study will be a great help in diagnosis and prevention of the LSD in Korean cattle farms.

울릉도의 귀화식물 현황 및 특성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 in Ulleung-do)

  • 이경연;남희정;김나영;김덕기;류태복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65-177
    • /
    • 2023
  •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at a total of 50 locations targeting naturalized plants on Ulleung-do. A total of 109 taxa were identified, including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preceding literature. The naturalized plants of Ulleung-do had a high proportion of Asteraceae, which appeared frequently in the habitat of the ruderal type. There were no naturalized plants that settled only on Ulleung-do, and all naturalized plants found on Ulleung-do first settled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was proved by the high rates of epecophyten (90.8%) and the introduction period 2nd (70.6%). On the other hand, among ecosystem-disturbing species that have a great influence in the inland of the Korean Peninsula, Hypochaeris radicata and Rumex acetosella appeared in a limited area in Ulleung-do. On the other hand, Lapsana communis appeared in high density along the forest edge, requiring management of naturalized plants different from those in the Korean Peninsula. Naturalized plants on Ulleung-do showed a rapid increase in the 1990s after increased academic research, coastal road development, and other development projects. This highlights the necessity for continuous research on the pattern of naturalized plant occurrenc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Ulleung Airport, which is currently under construction.

Clinical and radiographic characteristics of pycnodysostosis: A systematic review

  • Amanda Katarinny Goes Gonzaga;Carla Samily de Oliveira Costa;Hannah Gil de Farias Morais;Brazm da Fonseca Neto;Leao Pereira Pinto;Wagner Ranier Maciel Dantas;Patricia Teixeira de Oliveira;Daniela Pita de Melo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4권1호
    • /
    • pp.13-24
    • /
    • 2024
  • Purpose: Pycnodysostosis (PYCD), an autosomal recessive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an imbalance in bone remodeling that produces various clinical and radiographic craniofacial manifestations. This review represents a systematic examination of these manifestations, as well as oral features associated with PYCD. Materials and Methods: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across 8 databases from February to March 2023. The search strategy focused on studies reporting cases of PYCD that examined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craniofacial and or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is syndrome. Results: The review included 84 studies, encompassing a total of 179 cases of PYCD. More than half of the patients were female (55.3%), and the mean age was 14.7 years. Parental consanguinity was reported in 51.4% of the cases. The most common craniofacial clinical manifestation was a prominent nose, observed in 57.5% of cases. Radiographically,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craniofacial characteristics included the presence of an obtuse mandibular angle (84.3%) and frontal cranial bosses(82.1%).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s revealed oral alterations, with micrognathia present in 62.6% of patients and malocclusion in 59.2%. Among dental anomalies, tooth agenesis was the most commonly reported, affecting 15.6% of patients. Conclusion: Understanding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craniofacial features of PYCD is crucial for dental professionals. This knowledge enables these clinicians to devise effective treatment plans and improve patient quality of life.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동향 (Occurrence Trends of Herbicide Resistant Weeds in Paddy Fields in Korea)

  • 이인용;박중수;서영호;김은정;이순계;조승현;권오도;김상국;정완규;박태선;김창석;이정란;문병철;강충길;박재읍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1-126
    • /
    • 2012
  •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면적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과 전국 8개 도 농업기술원과 공동으로 조사하였다. 8개 도 농업기술원에서 2011년 8월에 논토양을 채취하여 피라조설퓨론에틸 피리미노박메틸입제를 30kg $ha^{-1}$ 처리하여 설포닐우레아(SU)계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의 발생면적을 추산하였다. 전국 벼 재배면적(유기 및 친환경농업 벼 재배면적 제외)의 20.9%인 167,081ha에서 SU계 저항성 논잡초가 발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008년과 대비하여 본 결과 60,130ha가 늘어났다. 발생비율을 보면, 충청남도가 논 면적의 47.6%로 제일 많이 발생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전라남도로 36.9%, 충청북도 25.7%, 강원도 20.3%, 경기도 13.0% 순이었다.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중 발생면적이 가장 넓은 초종은 물달개비로서 65,313ha로 전체 39.1%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올챙이고랭이, 알방동사니 순이었다. 이들 3초종은 전국적으로 고르게 발생하여 제일 문제되는 잡초들이다. 그리고 미국외풀 13,964ha(8.4%), 강피 5.1%이었다.

건조농산물의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 (A Safety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in Dried Agricultural Products)

  • 이효경;오문석;정진아;김기유;이성봉;김한택;강향리;손지희;이윤미;이미경;이병훈;김지원;박용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40-34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건조농산물의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를 위해 경기도에서 유통되는 건조농산물 110건을 수거하여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으로 잔류농약 263종을 검사하였다. 조사 결과 총 10건의 시료에서 10종의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건피마자에서 chlorpyrifos, 건취나물에서 chlorpyrifos, hexaconazole, pyridalyl, 무시래기에서 diniconazole, isoprothiolane, lufenuron, 건곤드레에서 hexaconazole, 건고춧 잎에서 bifenthrin, chlorothalonil, boscalid, pyraclostrobin이 각각 검출되었다. 검출률은 9.1%였으며, 이 중 건피마자 1건에서 chlorpyrifos가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였고 부적합률은 0.9%로 나타났다. 유효성 검증 실험 결과 검출한계(LOD)는 0.002~0.027 mg/kg, 정량한계(LOQ)는 0.006~0.083 mg/kg으로 나타났으며, 결정계수($R^2$)는 0.9964~1.0000으로 나타났다. 회수율은 전반적으로 74.8~118.9%로 나타났다. 2019년부터 PLS가 시행됨에 따라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관리가 강화되었지만 건조농산물의 경우 잔류허용기준이 미비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향후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무극도 관련 문헌 연구 - 비교 및 고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ocumentation Related to Mugeuk-do: Focusing on Its Comparison and Historical Evidence)

  • 박상규
    • 대순사상논총
    • /
    • 제41집
    • /
    • pp.27-61
    • /
    • 2022
  • 무극도를 기술한 문헌은 다른 근대 한국 신종교에 비해 희소하며 외부에 본격적으로 공개되고 번역된 시점도 1970년대 이후이다. 이 문헌들은 그 희소성으로 인해 비교나 고증 없이 연구에 활용되었는데, 이들 문헌이 지닌 왜곡과 오류가 무극도와 이를 계승한 교단인 대순진리회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적지 않은 문제를 초래한 것은 부인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무극도 관련 주요 문헌인 1920~30년대의 관변 기록과 1970~80년대의 교단 기록을 비교 고증하여 문헌이 지닌 성격과 한계를 비판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해당 문헌에 관한 해제와 비교 고증을 통해 무극도 연구에 기본 텍스트로 활용할 수 있는 관변 기록은 『무극대도교개황(無極大道敎槪況)』, 『조선의 유사종교(朝鮮の類似宗敎)』임을 알 수 있다. 특히 『무극대도교개황』의 제6~8항은 교단 기록일 가능성이 크고, 1925년까지의 무극도 실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 『조선의 유사종교(朝鮮の類似宗敎)』의 경우 유사종교라는 기술 관점을 제거한다면 1925년 이후의 기사는 신빙성이 있다. 기본 텍스트로 활용할 수 있는 교단 기록은 『전경』의 교운 2장이었다. 후대의 신앙체계 변동에 따른 왜곡에서 가장 자유롭고, 종파적 편향성이 적으며, 기사의 수집 시기가 가장 앞선다는 점에서 당대의 실상을 가장 정확하게 반영한 기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극도 연구에 있어서는 『무극대도교개황(無極大道敎槪況)』의 제6~8항과 『조선의 유사종교(朝鮮の類似宗敎)』의 1925년 이후 기사, 『전경』 교운 2장을 기본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보천교일반(普天敎一般)』, 『증산교사』, 「태극진경」의 경우 기본 텍스트와 관련된 내용은 비교를 통해 왜곡과 오류를 포착하여 무극도 연구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추후로도 무극도 연구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관련 문헌 전체가 비교와 고증을 통해 종합 정리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