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ocumentation Related to Mugeuk-do: Focusing on Its Comparison and Historical Evidence

무극도 관련 문헌 연구 - 비교 및 고증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22.04.19
  • Accepted : 2022.06.08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Documentation related to Mugeuk-do (Limitless Dao) is rare in comparison to other Korean new religions given that it has been open to the public and translated since the 1970s. Due to its rarity, the documentation has been used uncritically, without there being any comparative study or historical research. It is undeniable that distortions and fallacies are embedded in these documents, and this has resulted in quite a few problems in precisely understanding Mugeuk-do and Daesoon Jinrihoe (The Fellowship of Daesoon Truth), an order that has inherited the legacy of Mugeuk-do.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defin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major documents related to Mugeuk-do that were published by the colonial government in the 1920s~1930s and recorded by multiple orders in the 1970s-1980s through comparisons. An attempt to conduct this research allows for the discovery of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uncritical usage of those materials. The documents produced by the colonial government that can be used as basic texts to study Mugeuk-do are The General Conditions of the Religion Mugeuk-do (無極大道敎槪況) and Unofficial Religions of the Korea (朝鮮の類似宗敎). These can be found through bibliography, comparison, and historical research. Chapters 6, 7, and 8 of The General Conditions of the Religion Mugeuk-do are a possible source on the order that reflects the circumstances of Mugeuk-do until 1925. In the case of Unofficial Religions of the Korea, if the descriptive perspective on unofficial religions is excluded, the articles written about the circumstances post 1925 have credibility. Another document that describes multiple orders and can be used as a basic text is chapter 2 of 'Progress of the Order' in Daesoon Jinrihoe's The Canonical Scripture. This is because its record precisely reflects the conditions of the era, with regard to the fact that it is the freest from distortions caused by changes in the belief system and it is less biased towards certain sects or denominations. Furthermore, the collection period of the articles is the earliest. Accordingly, as basic texts, Chapters 6, 7, and 8 of The General Conditions of the Religion Mugeuk-do and the articles from Unofficial Religions of the Korea after 1925, as well as chapter 2 of 'Progress of the Order' in The Canonical Scripture are appropriate for studying Mugeuk-do. In addition, Overview of Bocheonism, History of Jeungsan-gyo, and The True Scripture of the Great Ultimate can be utilized as references after removing distortions and fallacies through comparative study. Henceforth, relevant documents should be utilized to establish comprehensive data on Mugeuk-do through comparative and historical research.

무극도를 기술한 문헌은 다른 근대 한국 신종교에 비해 희소하며 외부에 본격적으로 공개되고 번역된 시점도 1970년대 이후이다. 이 문헌들은 그 희소성으로 인해 비교나 고증 없이 연구에 활용되었는데, 이들 문헌이 지닌 왜곡과 오류가 무극도와 이를 계승한 교단인 대순진리회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적지 않은 문제를 초래한 것은 부인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무극도 관련 주요 문헌인 1920~30년대의 관변 기록과 1970~80년대의 교단 기록을 비교 고증하여 문헌이 지닌 성격과 한계를 비판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해당 문헌에 관한 해제와 비교 고증을 통해 무극도 연구에 기본 텍스트로 활용할 수 있는 관변 기록은 『무극대도교개황(無極大道敎槪況)』, 『조선의 유사종교(朝鮮の類似宗敎)』임을 알 수 있다. 특히 『무극대도교개황』의 제6~8항은 교단 기록일 가능성이 크고, 1925년까지의 무극도 실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 『조선의 유사종교(朝鮮の類似宗敎)』의 경우 유사종교라는 기술 관점을 제거한다면 1925년 이후의 기사는 신빙성이 있다. 기본 텍스트로 활용할 수 있는 교단 기록은 『전경』의 교운 2장이었다. 후대의 신앙체계 변동에 따른 왜곡에서 가장 자유롭고, 종파적 편향성이 적으며, 기사의 수집 시기가 가장 앞선다는 점에서 당대의 실상을 가장 정확하게 반영한 기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극도 연구에 있어서는 『무극대도교개황(無極大道敎槪況)』의 제6~8항과 『조선의 유사종교(朝鮮の類似宗敎)』의 1925년 이후 기사, 『전경』 교운 2장을 기본 텍스트로 활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보천교일반(普天敎一般)』, 『증산교사』, 「태극진경」의 경우 기본 텍스트와 관련된 내용은 비교를 통해 왜곡과 오류를 포착하여 무극도 연구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추후로도 무극도 연구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관련 문헌 전체가 비교와 고증을 통해 종합 정리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화부편찬실, 「수도요람」 재판, 부산: 태극도교화부, 1967.
  2. 대순진리회교무부, 「대순진리회요람」, 서울: 대순진리회교무부, 1969.
  3. 대순진리회교무부, 「전경」,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74.
  4. 태극도교화부, 「선도진경」, 부산: 청문사, 1965.
  5. 태극도교화부, 「선도진경」 재판, 부산: 동아대학교출판사, 1967.
  6. 태극도편찬원, 「도학원론」 재판, 부산: 태극도출판부, 1992.
  7. 태극도편찬위원회, 「선도진경」 3판, 부산: 재단법인태극도, 1983.
  8. 태극도편찬위원회, 「진경」, 부산: 태극도출판부, 1989.
  9. 태극도편찬위원회, 「진경전서」, 부산: 재단법인태극도, 1987.
  10. 「도헌」, 서울: 대순진리회, 1972.
  11. 「수도요람」 3판, 부산: 태극도정신회, 1970.
  12. 「태극도안내서」, 부산: 태극도본부교화부, 1966.
  13. 「태극도요람」, 부산: 태극도신도회, 1980.
  14. 「태극도통감」, 부산: 태극도본부, 1956.
  15. 전라북도, 「大正十五年六月 高等警察ニ関スル管内状況」, 1926.
  16. 전라북도, 「무극대도교개황」, 1925.
  17. 전라북도, 「보천교일반」, 1926.
  18. 전북고등경찰과, 「大正十五年三月 管内状況」, 1926.
  19. 평안남도, 「洋村及外人事情一覽」, 1924.
  20. 村山智順, 「朝鮮の類似宗敎」, 경성: 朝鮮總督府, 1935.
  21. 「判決文」, 大邱地方法院 安東支廳 CJA0001575, 1927.
  22. 강돈구, 「신종교연구 서설」, 「종교학연구」 6, 1987.
  23. 강석환, 「」전경「 발간에 즈음하여」, 1974.
  24. 고병철, 「일제하 종교법규와 정책, 그리고 대응」, 서울: 박문사, 2019.
  25. 김철수, 「잃어버린 역사 보천교」, 대전: 상생, 2017.
  26. 김탁, 「증산교학」, 서울: 미래향문화, 1992.
  27. 김탁, 「일제강점기의 예언사상」, 성남: 북코리아, 2019.
  28. 김홍철, 「한국 신종교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종교」 36, 2013.
  29. 대순종교문화연구소, 「무극도 해산시기에 대한 고찰」, 「대순회보」 85,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08.
  30. 민병훈, 「일본학습원대학 동양문화연구소 소장 友邦文庫의 전라북도 관련 자료 소개」, 국립전주박물관, 「전북의 역사문물전 VI: 정읍」, 통천문화사, 2006.
  31. 박상규, 「근대 한국 신종교의 조직 연구: 연원제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 논문, 2022.
  32. 박인규, 「일제강점기 증산계 종교운동 연구: 차월곡의 보천교와 조정산의 무극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9.
  33. 배문준, 「復宇公 鏞模 墓碣銘」, 「咸安趙氏 斗巖公派世譜」 1, 咸安趙氏斗巖公派宗中, 1996.
  34. 손진태, 「書評, 村山智順氏の民間信仰四部作お読みて」, 「民俗学」, 1933.
  35. 안후상, 「식민지시기 보천교의 '공개'와 공개 배경」, 「신종교연구」 26, 2012. https://doi.org/10.22245/jkanr.2012.26.26.145
  36. 우홍범, 「한국근대사 관련사료의 수집.편집현황과 전망: 우방문고 조선 총독부 관계자자료를 중심으로」, 「사학연구」 70, 2003. http://uci.or.kr/G704-001261.2003..70.007
  37. 윤이흠, 「일제의 한국 민족종교 말살책: 그 정책의 실상과 자료」, 서울: 모시는사람들, 2007.
  38. 이정립, 「증산교사」, 전북: 증산교본부, 1977.
  39. 이영호, 「보천교연혁사 속편」, 정읍: 보천교중앙총정원, 1958.
  40. 장봉선, 「井邑郡誌」, 履露閣, 1936.
  41. 차선근, 「대순진리회 상제관 연구 서설 (I) : 최고신에 대한 표현들과 그 의미들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1, 2013. https://doi.org/10.25050/jdaos.2013.21.0.99
  42. 최종성, 「동학의 테오프락시: 초기동학 및 후기동학의 사상과 의례」, 서울: 민속원, 2009.
  43. 홍범초, 「범증산교사」, 서울: 한누리, 1988.
  44. 윤금현, 「도주님을 믿는 뜻 5호」, 《태극도월보》25, 1969.
  45. 윤금현, 「도주님을 믿는 뜻 6호」, 《태극도월보》26, 1969.
  46. 최용환, 「伏魔殿을 차저서 8. 無極敎正體」, 《동아일보》1929. 7. 26.
  47. 「국문판 선도진경 발간; 창도진경도 금년에 발간계획」, 《태극도월보》 (구)2, 1967.
  48. 「無極敎徒속혀 사긔한자피소」, 《조선일보》1925. 5. 28.
  49. 「無極敎가 詐欺敎化」, 《조선일보》1924. 12. 2.
  50. 「无極敎解散命令」, 《조선일보》1925. 3. 27.
  51. 「無極道敎主 二名 또 拘引 교주는 잠적?」, 《동아일보》1931. 6. 11.
  52. 「無極道本部를 檢事隊가 大搜索」, 《동아일보》1926. 9. 21.
  53. 「(三) 所謂無極道妖怪相」, 《매일신보》1936. 2. 4.
  54. 「無極으로統一天下」, 《동아일보》1925. 2. 2.
  55. 「창도진경 발간에 최선을 다하기로」, 《태극도월보》3, 1967.
  56. 「창도진경 편찬에 서광; 무극도당시 자료를 얻게 돼」, 《태극도월보》 10, 1968.
  57. 「太乙敎徒强盜 경찰에잡히여」, 《동아일보》1926. 9. 11.
  58. 「편집후기」, 《태극도월보》(구)4, 1967.
  59. 「惑世誣民하는 無極大道團」, 《동아일보》1925. 7. 6.
  60. 「1968년 재단 종단은 무엇을 했나」, 《태극도월보》18, 1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