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NA-RNA hybridization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8초

Evaluation of Amplified-based Target Preparation Strategies for Toxicogenomics Study : cDNA versus cRNA

  • Nam, Suk-Woo;Lee, Jung-Young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1권2호
    • /
    • pp.92-98
    • /
    • 2005
  • DNA microarray analysis of gene expression in toxicogenomics typically requires relatively large amounts of total RNA. This limits the use of DNA microarray when the sample available is small. To confront this limitation, different methods of linear RNA amplification that generate antisense RNA (aRNA) have been optimized for microarray use. The target preparation strategy using amplified RNA in DNA microarray protocol can be divided into direct-incorporation labeling which resulted in cDNA targets (Cy-dye labeled cDNA from aRNA) and indirect-labeling which resulted in cRNA targets (i.e. Cy-dye labeled aRNA), respectively. However, despite the common use of amplified targets (cDNA or cRNA) from aRNAs, no systemic assessment for the use of amplified targets and bias in terms of hybridization performance has been reported. In this investigation, we have compared the hybridization performance of cRNA targets with cDNA targets from aRNA on a 10 K cDNA microarrays. Under optimized hybridization conditions, we found that 43% of outliers from cDNA technique and 86% from the outlier genes were reproducibly detected by both targets hybridization onto cDNA microarray. This suggests that the cRNA labeling method may have a reduced capacity for detecting the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when compared to the cDNA target preparation. However, further validation of this discordant result should be pursued to determine which techniques possesses better accuracy in identifying truly differential genes.

미꾸라지 성장 호르몬 염기 서열의 특성에 대하여 (Characterization of growth hormone-like sequence of loach, Misgurnus mizolepis)

  • 김진경;송영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5-103
    • /
    • 1994
  • 미꾸라지의 성장호르몬 유전자를 분리하기 위하여 미꾸라지의 cDNA library를 준비하였다. total RNA는 미꾸라지의 뇌하수체로부터 얻었으며 oligo (dT)-coupled magnetic bead를 이용하여 total RNA로부터 mRNA를 순수분리하였다. 정제된 mRNA는 cDNA를 합성하기 위한 기질로 사용하였으며, 합성된 cDNA는 EcoRV/Smal으로 절단된 pBlueKS+ plasmid vector에 삽입하였다. 모든 ligation 반응용액을 E. coli, JM109 균주에 형질전환을 유도하였으며 형질전환 효율을 최대화시키기 위하여 전기천공법을 이용하였다. 얻어진 모든 형질전환주들을 DIG로 표지된 Tilapia의 성장호르몬 유전자를 이용하여 고밀도 colony hybridization 에 의하여 검색하였다.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10개의 형질전환주를 분리하여 2차 colony hybridization 및 southern hybridization에 의하여 성장호르몬 유전자가 cloning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10 개의 형질전환주 중 하나인 pCGH1을 probe로 사용한 Tilapia 성장 호르몬 유전자의 염기서열과 비교분석하였으며 53.2%의 유사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 PDF

Reverse dot hybridization 방법과 16S rRNA gene(16S rDNA)을 이용한 식품에서 식중독균의 탐색 (Using Reverse Dot Hybridization Method and 16S rRNA Gene (16S rDNA) for Identifying the Food Poisoning Microorganism in Foods)

  • 김민성;신규철;이형구;한명수;민병례;최영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70-474
    • /
    • 2003
  • 식중독은 세균에 의한 발병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식품에서 식중독 원인균을 신속하게 탐색하게 식중독으로부터의 되면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고전적인 식중독 원인균 탐색은 증균, 선택적 배지를 이용한 isolation, 생화학적 특징을 활용하는 분석이 있으나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본 연구는 16S rRNA gene(16S rDNA)로부터 얻은 DNA 염기 서열을 이용 식중독 원인균의 특이적 oligonucleotide probe을 제작 reverse dot blot hybridization과 PCR 방법을 이용하여 고전적인 방법보다 빠른 시간 내에 식품에서 원인균을 탐색 할 수 있었다. 우유를 인공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균주로 오염시킨 후 DNA를 추출하여 PCR 증폭산물과 oligonucleotide probe를 hybridization 시킨 결과 oligonucleotide probe를 hybridization 시킨 결과 oligonucleotide probe가 위치한 곳에서 발색 반응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본 연구를 통해 DNA microchip으로 활용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종류의 식중독 원인균을 탐색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DNA/RNA Hybridization에 의한 흰쥐의 Transferrin mRNA 분포에 관한 연구 (Localization of Transferrin mRNA in Rat by DNA/RNA Hybridization)

  • 김세은;김선여;박미정;송진호;이은방;이흔파;김영중
    • 약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00-307
    • /
    • 1989
  • Expression of transferrin gene in various organs of rat was studied using rat transferrin cDNA. The hybridization method of $[^{35}S]-labeled$ transferrin cDNA with transferrin mRNA in cytoplasmic preparations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transferrin mRNA. The rat from 15-day old fetus to 21-day old postnatal were employed as an animal model. In the liver, the level of transferrin mRNA increased with increasing age. However, the level of transferrin mRNA in brai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liver and the level did not increase with age.

  • PDF

Filter Hybridization 방법에 의한 Surfactant Protein B mRNA의 정량측정 (Quantitative Measurement of Surfactant Protein B mRNA by Filter Hybridization)

  • 박성수;이동후;신동호;이정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3호
    • /
    • pp.242-247
    • /
    • 1992
  • 연구배경 : Surfactant 단백은 surfactant의 물리학적 성상의 결정 및 대사를 조절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전자 발현의 조절을 연구하기 위하여서는 cDNA의 탐지자에 의한 mRNA의 정량측정이 중요하다. 방법 : 쥐의 surfactant 단백 B의 cDNA에 대한 coding 부위를 PGem 3Z 또는 4Z에 subclone하여 SP6 RNA polymerase 효소를 이용하여 antisense와 sense을 얻었다. Sense을 이용한 filter hybridization올 시행하여 정상곡선을 얻었다. Antisense는 $^{32}P$를 표지시켜 탐지자로 이용하였다. 결과 : SP-B에 대한 sense 복사체의 정상곡선은 Y=2034.9X+159.1(X=SP-BmRNA 복사체, Y=CPM)이고, 상관계수는 1.0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filter hybridization 방법은 mRNA을 정량측정 하는데 있어서 빠르고, 재현성이 높으며, 많은 시료를 한꺼번에 시행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 PDF

형질전환된 담배에서 해녀콩 Leghemoglobin cDNA의 발현 (Expression of Canavalia Iineata Leghemoglobin cDNA in Transgenic Nicotiana tabacum)

  • 이선영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2호
    • /
    • pp.203-209
    • /
    • 1995
  • 담배(Nicotiana tobacum L. cv. Wisconsine 38) 잎 절편을 해녀콩(Canavalia lineata)의 leghemoglobin(Lb) cDNA를 포함하는 Agrobacterium과 함께 배양한 후, 0.5mg/L BAP, 0.1mg/L ${\alpha}-NAA$와 200mg/L kanamycin, 500 mg/L carbenicillin을 포함하는 MS 배지에서 선별하여 7개의 재분화 개체를 얻었다. 이로부터 분리한 게놈 DNA에 대한 Southern 혼성화 반응과 PCR 결과로 Lb cDNA가 담배의 게놈에 삽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형질전환된 담배로부터 분리한 RNA에 대한 northern 혼성환 실험 결과 약 1,000 nt의 RNA가 혼성화 반응을 보였으며, 총 RNA를 주형으로 합성한 1차 가닥의 cDNA를 PCR로 증폭한 결과, Lb cDNA와 혼성화 반응을 보이는 0.5 kb의 DNA가 증폭되었다. 콩의 Lb에 대한 다군항체(polyclonal antibody)를 사용하여 단백질 면역 항체 반응을 실시한 결과, Lb로 판단되는 약 15.8 kD의 위치에서 혼성화 반응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해녀콩 Lb cDNA가 형질전환된 담배의 게놈에 삽입되었을 뿐만 아니라 mRNA로 전사되어 Lb 단백질로 해독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소 바이러스성 설사병 바이러스의 유전자 재조합 DNA clone의 작성에 관한 연구 (Construction of recombinant DNA clone for bovine viral diarrhea virus)

  • 여상건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89-398
    • /
    • 1992
  • Molecular cloning was carried out on the Danish strain of bovine viral diarrhea virus(BVDV) to construct strategy for the diagnostic tools and effective vaccine of BVD afterwards. A recombinant DNA clone(No. 29) was established successfully from cDNA for viral RNA tailed with adenine homopolymer at 3'-end. $^{32}P$-labeled DNA probes of 300~1,800bp fragments, originating from the clone 29, directed specific DNA-RNA hybridization results with BVDV RNA. Recombinant DNA of the clone 29 was about 5,200bp representing 41.6% of the full length of Danish strain's RNA, and restriction sites were recognized for EcoR I, Sst I, Hin d III and Pst I restriction enzymes in the DNA fragment.

  • PDF

Filter Hybridization과 Solution Hybridization 방법에 의한 백서 Surfactant Protein C mRNA 정량측정의 비교 (Comparative Quantitative Study of Surfactant Protein C mRNA by Filter Hybridization and Solution Hybridization in Rats)

  • 김진호;손장원;양석철;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6호
    • /
    • pp.517-529
    • /
    • 2001
  • 연구배경 : Filter hybridization이나 solution hybridization 방법들은 Northern blot나 slot blot에 비하여 빠르며 재현성이 높고 소량의 RNA를 측정할 수 있으며 한꺼번에 많은 시료들을 동시에 측정하는것이 가능하다. 방 법 : 저자들은 쥐를 대상으로 하여 SP-C mRNA를 filter hybridization과 solution hybridization 방법들로 각각 정량측정하여 방법론에 따른 분자생물학적 정도관리에 대한 관찰을 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1) Solution hybridization 방법에 의한 SP-C mRNA의 정량측정을 위한 RNA 검체물의 최소량은 3pg 이상이었다. 2) Solution hybridization에 쓰이는 SP-C sense mRN A input 양과 유전자 cpm과의 Y=6.46 X+244(X=SP-C mRNA 전사체 Y=cpm)였고, 양자간의 상관계수 r은 0.99로 매우 밀접한 상관성을 보였다. 3) Filter hybridization방법에 의한 SP-C mRNA의 정량측정을 위한 RNA검체물의 최소량은 0.1ng 이상이었다. 4) SP-C의 sense 전사체 0, 0.1, 0.5, 1.0, 2.5 및 5 ng에 대한 cpm과의 표준곡선은 Y=2541.6 X+252.7 (X=SP-C mRNA 전사체 Y=CPM) 이고 상관계수 r은 0.99로 매우 밀접한 상관성을 보였다. 결 론 : Solution hybridization 방법은 다른 방법에 비해 RNA input 양을 아주 소량 사용하면서도 주위에 높은 배후 방사성 산란을 보이는 비특이성 DNA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시료의 양이 한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RNA를 분석 검토하는데 매우 유용한 연구방법이며, 뿐만아니라 filter hybridization 방법은 mRNA를 정량 측정하는데 있어서 신속하고 재현성이 높으며, 한꺼번에 많은 시료들을 시행할 수 있고, 사료의 mRNA를 정량측정 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Aspergillus nidulans의 tRNA 유전자의 구성과 발현에 관한 연구 II. Aspergillus nidulans 총 tRNA 유전자의 cloning (Studies on the Organization and Transcription of Aspergillus nidulans tRNA Genes)

  • 이병재;강현삼
    • 미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29-237
    • /
    • 1983
  • Aspergillus nidulans의 tRNA 유전자의 구성과 발현기착을 연구하기 위하여 우선 Aspergillus의 총 tRNA 유전자를 cloning 하였다. Aspergillus의 핵 DNA롱 포자로 부터 분리해 내고 본질 형성에서 분리한 BamHI과 T4 DNA ligase를 사용하여 pBR322플라스미드에 재조합시켜서 cloning하였다. 15벤의 transformation을 하여 30,000개 의 transformants 얻었고, 이 중 Aspergillus DNA를 가지고 있는 colony는 5,300켜개였다. In vivo에 서 S2p로 표지 된 total tRNA를 probe로 하여 colony hybridization 실험 결과, 105개의 total tRNA유전자 clone을 얻었다. 위의 결과와 cohybridization 실험 결과를 분석해 보면, Asprgillus의 tRNA 유전자는 yeast의 그것보다는 좀 더 밀집되어 존재한다고 생각된다.

  • PDF

미세유체 바이오칩을 이용한 DNA 마이크로어레이 Hybridization 향상 (Enhancement of DNA Microarray Hybridization using Microfluidic Biochip)

  • 이현호;김용상
    • KSBB Journal
    • /
    • 제22권6호
    • /
    • pp.387-392
    • /
    • 2007
  • DNA 마이크로어레이는 바이오칩의 발전에서 가장 주목받으며 발전하고 있는 분야로서 이에 대한 연구가 점차 확장하고 있다. DNA나 RNA 등 유전자의 매우 느린 확산속도를 극복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플루딕 바이오칩이 DNA 마이크로어레이에 적용되는 최근의 학술적인 사례들을 연구, 비교하였다. DNA 마이크로어레이에 적용된 미세유체 바이오칩은 상당수가 효율적인 hybridization을 달성하기 위한 믹싱 시스템이 많이 보고되었으며, 이 총설에서는 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유전자 hybridization 강화를 이룬 시스템에 대한 최근 동향을 가늠할 수 있게 하였다. 특별히 PDMS를 이용한 마이크로 펌프의 적용 등, 앞으로의 미세유체 DNA 마이크로어레이 발전가능성과 모델링의 한계점 등을 정리 분석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