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NA recovery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1초

Ultraviolet B (UVB) Induces Down-regulation of Parkin Gene Expression

  • Kim, Sung Hoon;Kang, Yeo Wool;Lee, Juyeon;Kim, Hyun-Kyung;Jung, Byung Chul;Kim, Bohee;Kim, Dai Joong;Kim, Yoon Suk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8-23
    • /
    • 2016
  • Ultraviolet (UV) irradiation induces cellular damage. A variety of cellular responses for repairing cellular damage including DNA damage occur after UV irradiation. During the repair processes, expression and activation of various molecules are regulated depending on the types of cellular damage. Parkin is an E3 ligase and act as a tumor suppressor.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Parkin is involved in the DNA repair process. In the curr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UVB irradiation influences expression of Parkin. Parkin expression transiently decreased after UVB irradiation both at the mRNA and protein levels, but returned to normal levels thereafter. Taken together with cell viability data, Parkin expression is down-regulated during UVB-induced suppression of cell growth and is increased again in accordance with recovery of UVB-induced cell growth inhibition. However, Parkin overexpression or knockdown did not influence UVB-induced cell growth inhibition and recovery. We propose that Parkin could be a useful molecular marker for evaluating conditions of cells after UVB irradiation.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한 지열시스템 관정 및 주변지역 미생물종 모니터링 (Monitoring of Geothermal Systems Wells and Surrounding Area using Molecular Biological Methods for Microbial Species)

  • 안창민;한지선;김창균;박유철;목종구;장범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7권6호
    • /
    • pp.23-32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microbial species dynamics within the aquifer due to long term operation of geothermal heat pump system. The species were identified by molecular biological methods of 16S rDNA. Groundwater sample was collected from both open (S region) and closed geothermal recovery system (J region) along with the control. J measured and control as well as S measured found Ralstonia pickettii as dominant species at year 2010. In contrast, Rhodoferax ferrireducens was dominantly observed for the control of S. In 2011, Sediminibacterium sp. was universely identified as the dominant species regardless of the monitoring places and type of sample, i.e., measured or control. The difference in the dynamics between the measured and the control was not critically observed, but annual variation was more strikingly found. It reveals that possible environmental changes (e.g. ORP and DO) due to the operation of geothermal heat recovery system in aquifer could be more exceedingly preceded to differentiate annual variation of microbial species rather than positional differences.

베타-1,3-글루칸 생합성에 관여하는 Saccharomyces cerevisiae 유전자의 클로닝 (Cloning of a Gene Involved in Biosynthesis of ${\beta}-1,3-glucan$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진은희;이동원;김진미;박희문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2호통권73호
    • /
    • pp.129-138
    • /
    • 1995
  • 비허용온도인 $37^{\circ}C$에서 삼투감수성을 보이며 베타-1,3-글루칸 합성능이 현저히 손상된 Saccharomyces cerevisiae mutant(LP353)를 YCp50으로 제조한 yeast genomic library로 형질전환시킨 후, 콜로니 자기방사법으로 형질전환체의 선별을 시도한 결과, LP353의 베타-1,3-글루칸 합성능을 부분적으로 회복시켜 주는 약 8.5-kb 크기의 DNA 절편을 클로닝하는데 성공하였다. 클로닝된 8.5-kb의 DNA 절편은 copy 수에 무관하게 LP353의 또 다른 표현형질인 온도의존적 삼투감수성은 회복시켜 주지 못하였으나, 세포벽의 베타-1,3-글루칸 함량과 베타-1,3-글루칸 분해효소인 ${\beta}-glucanase$에 대한 내성은 copy수에 무관하게 증가시켜 주었다. 한편, 8.5-kb의 DNA 절편은 $37^{\circ}C$의 삼투안정제가 첨가된 액체배지에서 잘 자라지 못하는 LP353의 돌연변이 형질을 회복시켜 야생형의 수준에 근접하는 생장양상을 보여 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클로닝된 8.5-kb 크기의 DNA 절편은 S. cerevisiae의 베타-1,3-글루칸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하나인 BGS2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subcloning을 통한 기능부위 분석 결과, 4.8-kb 크기의 BglII-KpnI DNA 절편에 BGS2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홍삼 추출물에 의한 유전독성 감소효과 (I) - 배양 NIH3T3 세포에서 자외선에 의한 유전독성의 감소에 미치는 홍삼추출물 처리효과 (Decrease of Genotoxicity by Red Ginseng Root Extract (I) - Decrease of UV -induced Genotoxicity by Red Ginseng Root Extract in Cultured NIH3T3 Cells)

  • 김완주;유병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4-86
    • /
    • 1998
  • 자외선에 의한 유전독성의 감소에 미치는 홍삼추출물의 영향을 배양 NIH3T3 세포계에서 분석하였다. 자외선을 조사한 후 정상 배지에서 배양한 시간간격에 따라 세포의 생존률은 증가하였는데 홍삼추출물이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는 약 15%정도 증가한 생존률을 보였다. 자외선을 조사한 후 감소된 DNA복제가 정상배지 배양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정도도 홍삼추출물을 후처리할 경우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자외선 상해를 회복하기 위한 절제회복능은 홍삼추출물을 처리할 경우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절제회복과정 중 효소에 의한 절제단계가 홍삼추출물 처리에 의해 활성화됨을 단사절단 분석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홍삼추출물이 자외선 상해의 절제회복에 유의미한 증가를 보이며 따라서 유전독성을 감소시키는 항노화제로써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Real-Time PCR과 Internal Standard Addition법을 이용한 돼지고기 소시지에 혼합된 닭고기의 정량 (Use of Real-Time PCR and Internal Standard Addition Method for Identifying Mixed Ratio of Chicken Meat in Sausages)

  • 이남례;주재영;여용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9호
    • /
    • pp.1097-1105
    • /
    • 2017
  • 본 연구는 돼지고기로 제조된 소시지에 저가원료인 닭고기 혼합비율을 정량하기 위해 real-time PCR 법과 소량 함유된 닭의 정량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닭의 내부 표준물질을 첨가하는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소시지의 진위판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DNA 회수율과 PCR 증폭효율을 높이기 위해 QIAamp DNA Micro Kit을 사용하였고, 최종 PCR 반응액 $20{\mu}L$에 template DNA($5{\sim}10ng/{\mu}L$)는 $3.0{\sim}5.0{\mu}L$, primer 농도는 $0.5{\mu}L(10pmol)$, $2{\times}$ Cybrgreen buffer는 $10{\mu}L$로 조정하였을 때 가장 적합하였고, PCR 증폭조건은 annealing 온도를 $62^{\circ}C$, extension 온도를 $68^{\circ}C$, final extension 시간은 33초, 최종 PCR cycle은 40 cycle로 했을 때 가장 PCR 증폭효율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돼지와 닭의 DNA를 50 ng에서 0.05 ng으로 순차적으로 10배씩 희석한 template DNA를 이용해 민감도(최소 검출한계)를 확인한 결과 돼지와 닭 모두 0.05 ng 이상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표준곡선의 결정계수($R^2$)도 모두 0.995 이상으로 표준곡선의 linearity가 정량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돼지고기와 닭고기를 각각 70:30 비율로 혼합한 3점의 시료를 $70^{\circ}C$에서 10분간 열처리한 후 정량분석을 실시하여 기대치에 의한 측정치를 비교한 결과, 64.3:35.7의 비율로써 평균 5.7%의 차이를 나타내 생육(raw meat) 또는 가열처리된 시료의 상태에 따라 DNA에 영향을 주어 PCR 증폭효율 및 DNA 정량 값에 일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소시지에 함유된 돼지고기와 닭고기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돼지고기에 비해 닭고기 함량이 적은 소시지에서는 닭고기(6%, 12%, 25%, 38%)의 검출이 어려웠고, Ct(threshold cycle) 값에 따른 DNA 정량값이 매우 낮아 배합비율을 환산이 어려웠다. 그러나 소시지에 닭의 표준물질 DNA(50 ng)를 첨가함으로써 배합비율이 증가할수록 Ct값도 점차 낮아져서 배합비율을 반영하고 있음에 따라 Ct값의 평균치${\pm}$오차범위 값으로 간접적으로 배합비율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도된 인체 백혈구 DNA 손상에 대한 울금 추출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Role of Curcuma longa L. Extracts on Hydrogen Peroxide-Induced DNA Damage in Human Leukocytes)

  • 서보영;박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45-551
    • /
    • 2017
  • 울금은 간질환, 기관지염, 폐질환 및 심장질환에 효과적인 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항산화 및 세포보호에도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울금을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등으로 추출하여 울금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 함량(TPC) 및 DPPH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활성 등의 항산화력 그리고 comet assay를 이용한 DNA 손상억제 효능 및 회복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TPC는 울금의 메탄올 추출물($11.17{\pm}0.00g\;GAE/100g$), 아세톤 추출물($1.45{\pm}0.00g\;GAE/100g$), 에탄올 추출물($1.17{\pm}0.02g\;GAE/100g$)의 순으로 나타나 메탄올 추출물에 가장 많은 폴리페놀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력을 분석한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SOD 유사활성 분석 결과 역시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강력한 활성을 보였으며, 그다음으로 에탄올, 아세톤 추출물의 순으로 나타났다. Comet assay를 이용한 DNA 손상 억제력을 분석한 결과 모든 추출물 처리구가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positive control(PC)에 비해 유의적인 DNA 손상 억제력을 보였으며, $ED_{50}$값 분석 결과 메탄올 추출물이 $86.7{\mu}g/mL$, 아세톤 추출물이 $110.0{\mu}g/mL$, 에탄올 추출물이 $115.8{\mu}g/mL$의 순으로 나타나 메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울금 추출물 처리 4, 8, 12시간 후의 DNA 손상 회복력을 분석한 결과, negative control(NC)의 경우 시간 경과에 따른 회복 능력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추출물 처리구에서는 1시간 후 증가한 DNA 손상이 시간 의존적으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12시간 후의 회복 수준은 NC와 동일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NC에 대한 추출물 처리구의 DNA repair half time을 분석한 결과, PC가 9.5시간으로 가장 오랜 시간이 걸린 데 반해 메탄올 추출물이 6.6시간, 아세톤 추출물이 7.1시간, 에탄올 추출물이 7.6시간으로 메탄올 추출물이 DNA 손상 회복에 가장 짧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등의 용매를 이용한 울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DNA 손상 억제 및 회복활성을 확인하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활성비교에서는 메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이 나타났으므로 메탄올이 울금의 폴리페놀을 비롯한 항산화물 추출에 가장 효율적인 용매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력을 가진 대표물질인 폴리페놀 성분만을 분석하여 폴리페놀 중 어떤 성분이 항산화력에 영향을 보인 것인지 알 수 없으므로, 차후 연구에서는 용매별 항산화물 성분 분석을 통해 항산화력 및 항유전독성 효과에 기인하는 물질이 무엇인지 근거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Recovery of NK(CD56+CD3-) Cells after One Year of Tenofovir Therapy for Chronic Hepatitis B Infection

  • Lee, Hwan Hee;Kang, Hyojeung;Cho, Hyos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6호
    • /
    • pp.1204-1208
    • /
    • 2017
  • Natural killer (NK) cells have been reported to be dysfunctional in chronic hepatitis B (CHB) infection. However, the functional recovery of NK cells under antiviral therapeutic agents in CHB was not clear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henotypic changes of NK(CD56+CD3-) cells in terms of their functional markers (CD16, NKG2A, NKG2D) during tenofovir therapy in CHB. The frequency of NK(CD56+CD3-) cells in CHB patien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2 months of tenofovir therapy when compared with baseline. The expression levels of CD16+/CD56+CD3- and NKG2A+/CD56+CD3- cells were also affected by tenofovir treatment.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oportion of NK(CD56+CD3-) cells and HBV DNA (log copies/ml) in CHB patients.

Direct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Using Real-Time PCR from Artificially Contaminated Chicken Meat

  • Park, Hee-Jin;Kim, Hyun-Joong;Park, Si-Hong;Shin, Eun-Gyeong;Kim, Jae-Hwan;Kim, Hae-Ye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8호
    • /
    • pp.1453-1458
    • /
    • 2008
  • For quantitative PCR assay of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in food samples, a real-time PCR method was developed, based on DNA genome equivalent. Specific primers and probe designed based on the STM4497 gene of S. Typhimurium LT2 showed the specificity to S. Typhimurium. Threshold cycle (Ct) values of real-time PCR were obtained from a quantitative standard curve with genomic DNA of Salmonella Typhimurium. In addition, the recovery of S. Typhimurium inoculated artificially to chicken samples with $4.5{\times}10^5$ to 4.5 CFU/ml was evaluated by using real-time PCR and plate-count methods. Result showed that the number of cells calculated from the real-time PCR method had good correlation with that of the plate-count method. This real-time PCR method could be applicable to th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S. Typhimurium in food samples.

Recovery of Pseudomonas anguilliseptica from Diseased Striped Beakperch (Oplegnathus fasciatus) in Korea

  • Kim, Seok-Ryel;Park, Myoung-Ae;Kitamura, Shin-Ichi;Jung, Sung-Ju;Oh, Myung-J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3권2호
    • /
    • pp.190-194
    • /
    • 2010
  • In recent years, several southern coastal fish farms in Korea have experienced 2-30% mortality in striped beakperch suffering from bacterial infections during the spring. In this study, we identified a bacterium isolated from diseased striped beakperch as Pseudomonas anguilliseptica via a biochemical test and 16S rDNA sequence analysis. To evaluate the susceptibility of striped beakperch to P. anguilliseptica, $4.39\times10^7$ or $4.39\times10^5$ CFU/fish of bacteria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at $18\pm1^{\circ}C$ into fish weighing 5.5 g. Cumulative mortalities reached 100% and 45% in the $4.39\times10^7$ and $4.39\times10^5$ CFU/fish infected groups, respectively. Experimentally infected fish showed cell-associated inflammation as well as bacteria in the kidneys and spleen. This study is the first report of striped beakperch mortality caused by P. anguilliseptica, which has pathogenicity in striped beakperch.

Molecular Detection of V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VTEC) from Animal Feces for Screening VTEC-shedders

  • Kobayashi, Y.;Sato, M.;Taguchi, H.;Koike, S.;Nakatsuji, H.;Tanaka,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3호
    • /
    • pp.423-427
    • /
    • 2004
  • Seventy-six animals including cattle, sheep, horses, 6 species of zoo animals were employed for collection of fresh feces in order to detect verotoxigenic Esherichia coli (VTEC) by safe, quick and sensitive PCR-based molecular methods. Bacterial cell disruption with bead-beating followed by bacterial DNA purification with hydroxyapatide chromatography and gel filtration allowed DNA preparation from animal feces with high recovery and purity. A mountain goat was firstly shown by PCR and sequencing to shed verotoxin 2 gene (vt2) that was used to generate vt2 probe and second primer set for nested PCR to attempt more sensitive detection. Most sensitive nested PCR revealed that 45% of tested cattle and 47% of tested zoo animals were VTEC-positive, while least sensitive normal PCR detected VTEC from none of these animals except a mountain goat. Moderately sensitive detection by PCR in combination with hybridization suggested that the VTEC density varied between the VTEC-positive cat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