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NA probe

검색결과 589건 처리시간 0.035초

비수식화 바이오칩 및 유전자 검출 (Genome Detection Using an DNA Chip Array and Non-labeling DNA)

  • 최용성;이경섭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7
    • /
    • pp.402-403
    • /
    • 2006
  •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the multiple channel electrochemical DNA chip using microfabrication technology. At first, we fabricated a high integration type DNA chip array by lithography technology. Several probe DNAs consisting of thiol group at their 5-end were immobilized on the gold electrodes. Then target DNAs were hybridized and reacted. Cyclic voltammetry showed a difference between target DNA and control DNA in the anodic peak current values. Therefore, it is able to detect a plural genes electrochemically after immobilization of a plural probe DNA and hybridization of non-labeling target DNA on the electrodes simultaneously. It suggested that this DNA chip could recognize the sequence specific genes.

  • PDF

비수식화 DNA를 이용한 유전자 검출 (SNP Detection Using Indicator-free DNA Chip)

  • 최용성;문종대;이경섭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7
    • /
    • pp.410-411
    • /
    • 2006
  • High throughput analysis using a DNA chip microarray is powerful tool in the post genome era. Less labor-intensive and lower cost-performance is required. Thus,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multi-channel type label-free DNA chip and detect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At first, we fabricated a high integrated type DNA chip array by lithography technology. Various probe DNAs were immobilized on the microelectrode array. We succeeded to discriminate of DNA hybridization between target DNA and mismatched DNA on microarray after immobilization of a various probe DNA and hybridization of label-free target DNA on. the electrodes simultaneously. This method is based on redox of an electrochemical ligand.

  • PDF

멸종위기어류 퉁사리의 환경 DNA 분석을 위한 종 특이 마커 개발 (Species-specific Marker Development for Environmental DNA Assay of Endangered Bull-head Torrent Catfish, Liobagrus obesus)

  • 윤봉한;김용휘;성무성;한호섭;한정호;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8-217
    • /
    • 2022
  • 멸종위기어류 퉁사리 Liobagrus obesus를 대상으로 종 특이 프라이머 한 쌍과 프로브를 제작하여 하천수 시료에서 추출된 환경 DNA로부터 퉁사리를 검출할 수 있는 실시간 PCR 분석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퉁사리 종 특이 프라이머와 프로브는 미토콘드리아 DNA의 cytochrome b (cytb) 유전자 영역 내에서 국내에 서식하는 65종의 담수어류 간에 단일염기다형성 부위를 고려하여 비교한 후 제작하였다. 실시간 PCR 분석에서 제작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는 국내에 서식하는 65종의 담수어류 gDNA를 이용한 특이성 검증 결과, 퉁사리 gDNA에서만 양성으로 나타나 높은 특이성을 보였다. 퉁사리 gDNA의 연속 희석 농도를 이용한 검출한계 분석에서는 0.2 pg까지 검출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높은 감도를 보였다. 이후, 제작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를 사용하여 금강 중·상류 유역의 8개 지점에서 확보한 하천수 시료를 대상으로 실시간 PCR 분석을 수행한 결과, 5개 지점에서 퉁사리의 cytb 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해당 검출 지점들은 현장 조사 당시에 퉁사리가 채집된 3개 지점을 모두 포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퉁사리의 종 특이 프라이머와 프로브를 이용한 실시간 PCR 분석 방법은 하천수 채수로 확보한 환경 DNA로부터 퉁사리의 cytb 유전자를 검출할 수 있어 기존 서식지 모니터링과 더불어 잠재적인 신규 서식지 발굴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 Study on Gene Detection using Non-labeling DNA

  • Choi Yong-Sung;Lee Kyung-Sup;Kwon Young-Soo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960-965
    • /
    • 2006
  •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the multiple channel electrochemical DNA chip using microfabrication technology. At first, we fabricated a high integration type DNA chip array by lithography technology. Several probe DNAs consisting of thiol group at their 5-end were immobilized on the gold electrodes. Then target DNAs were hybridized and reacted. Cyclic voltammetry showed a difference between target DNA and control DNA in the anodic peak current values. Therefore, it is able to detect a plural genes electrochemically after immobilization of a plural probe DNA and hybridization of non-labeling target DNA on the electrodes simultaneously. It suggested that this DNA chip could recognize the sequence specific genes.

클론된 웅성 특이 DNA절편에 의한 돼지의 성결정 (Sex Determination in Somatic and Embryonic Cells of the Pig by Cloned Male-Specific DNA Fragments)

  • 전진태;이상호;홍기창;박성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1-100
    • /
    • 1995
  • 3.3kb 웅성특이 DNA(pEM39 plasmid DNA)가 성 특이 DNA 검색자로 활용되어질 수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적인 분석을 Southern blotting, DNA sequencing과 computer program 분석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전체 3.3kb에서 유래된 약 1kb 단위의 단편을 이용하여 표지된 짧은 DNA probe들은 Southern blot 분석에서 웅성특이성을 나타내었다. McGraw와 Jeon의 sequence에 대한 유사성 비교 자료로부터 여러 부분의 conserved region을 찾아내고 이것을 기초로 하여 5개의 primer set들을 선발하였다. Conserved region에 존재하면서 computer program에 의해서 선발되어진 PMS1과 2의 primer set가 최종적으로 PCR 분석을 위하여 선정되었다. 이 primer set를 사용한 PCR 분석에서, 1ng부터 10pg까지의 웅성 genomic DNA에서 PCR 산물을 얻을 수 있었으며, 자성의 경우는 어떠한 산물도 찾을 수 없었다. PCR에 이용할 수정란의 시료는 2 세포기의 수정란에서 얻었으며 순수 분리된 genomic DNA에서 확립된 조건에서 PCR을 수행하였다. 8개의 수정란을 분석한 결과 4개의 웅성과 4개의 자성 수정란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선정된 primer set가 돼지 수정란의 성을 조기 감별하는데 효율적인 DNA probe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 PDF

비수식화 DNA를 이용한 차세대형 바이오칩의 개발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Biochip Using Indicator-free DNA)

  • 최용성;문종대;이경섭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6년도 영호남 합동 학술대회 및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센서 박막 기술교육
    • /
    • pp.71-73
    • /
    • 2006
  •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multiple channel electrochemical DNA chip using micro- fabrication technology. At first, we fabricated a high integrated type DNA chip array by lithography technology. Several probe DNAs consisting of thiol group at their 5-end were immobilized on the gold electrodes. Then target DNAs were hybridized by an electrical force. Redox peak of cyclic-voltammogram showed a difference between target DNA and mismatched DNA in the anodic peak current. Therefore. it is able to detect a various genes electrochemically after immobilization of a various probe DNA and hybridization of label-free DNA on the electrodes simultaneously. It suggested that this DNA chip could recognize the sequence specific genes.

  • PDF

전기화학적 방법에 의한 신규 바이오칩의 SNP 검출 (SNP Detection of Arraye-type DNA Chip using Electrochemical Method)

  • 최용성;권영수;박대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10-414
    • /
    • 2004
  • High throughput analysis using a DNA chip microarray is powerful tool in the post genome era. Less labor-intensive and lower cost-performance is required. Thus,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multi-channel type label-free DNA chip and detect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At first, we fabricated a high integrated type DNA chip array by lithography technology. Various probe DNAs were immobilized on the microelectrode array. We succeeded to discriminate of DNA hybridization between target DNA and mismatched DNA on microarray after immobilization of a various probe DNA and hybridization of label-free target DNA on the electrodes simultaneously. This method is based on redox of an electrochemical ligand.

Pig6 DNA probe를 기반으로 하는 Prevotella intermedia ATCC 49046 균주-특이 PCR primer 개발 (Development of prevotella intermedia ATCC 49046 Strain-Specific PCR Primer Based on a Pig6 DNA Probe)

  • 정승우;유소영;강숙진;김미광;장현선;이광용;김병옥;국중기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89-94
    • /
    • 2006
  • 본 연구는 치주질환 병인론 연구에 빈번히 사용되는 Prevotella intermedia ATCC 49046 균주를 특이적으로 검출 및 동정할 수 있는 PCR primer를 개발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P. intermedia ATCC 49046 유전체 DNA를 추출하고, Hind III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무작위 클로닝법으로 유전체 DNA 절편을 얻었다. Southern blot 분석법을 이용하여 DNA 절편의 특이성을 조사하였고, chain termination 법을 이용하여 핵산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PCR primer를 설계하고, P. intermedia ATCC 49046에 대한 균주 특이성 및 검출 한계(민감도)를 조사하였다. Southern blot 분석 결과 Pig6 DNA probe는 서양인에서 분리 동정된 P. intermedia 균주와만 hybridization하였고, 한국인에서 분리 동정된 P. intermedia균주들과는 반응이 없었다. Pig6 DNA probe는 813 bp의 핵산염기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설계된 Pig6-F3와 Pig6-R3 primer 쌍에 의해서는 서양 균주에 특이적인 PCR산물이 증폭되었다. Pig6-60F와 Pig6-770R primer 쌍에 의해서는 P. intermedia ATCC 49046 유전체 DNA에서만 특이적인 PCR 산물이 증폭되었다. 두 가지 primer 쌍들 각각에 대한 P. intermedia 유전체 DNA량의 검출 한계를 알아보기 위한 민감도실험 결과 두가지 primer 쌍들 모두 4 pg (약2000마리)까지 검출 가능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Pig6-60F와 Pig6-770R primer쌍은 P. intermedia ATCC 49046을 균주 특이적으로 동정할 수 있어, 이 균주의 보존적 측면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al-time PCR을 이용한 돼지써코바이러스 감염증 진단법 연구 (Rapid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porcine circovirus type 2 (PCV 2) DNA in Real-time PCR)

  • 김은경;황보원;이종민;손병국;박호정;김도경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99-306
    • /
    • 2009
  • Assay for th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porcine circovirus type 2 (PCV 2) with the real-time PCR were developed. TaqMan probe real-time using a set of primer/probe was developed for detection of PCV 2. In this study we applied real-time PCR assay to 320 samples, collected from pig farms. In 151 of 320 samples, PCV 2 DNA was detected by conventional PCR assay. All samples positive for PCV 2 DNA in conventional PCR assay were also positive in Real-time PCR assay, but 69 of 169 samples that tested negative for PCV 2 DNA in conventional assay were tested positive in TaqMan probe real-time PCR assay. The test of TaqMan probe real-time PCR resulted in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limits of 101 copies per sample. TaqMan probe real-time PCR assay increased the number of samples in which PCV 2 was detected by 21%. TaqMan probe real-time PCR assay is very efficient method in contrast to the conventinal PCR,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method for gene analysis.

Label/Quencher-Free Detection of Exon Deletion Mutation i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Gene Using G-Quadruplex-Inducing DNA Probe

  • Kim, Hyo Ryoung;Lee, Il Joon;Kim, Dong-E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호
    • /
    • pp.72-76
    • /
    • 2017
  • Detection of exon 19 deletion mutation in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gene, which results in increased and sustained phosphorylation of EGFR, is important for diagnosis and treatment guidelines in non-small-cell lung cancer. Here, we have developed a simple and convenient detection system using the interaction between G-quadruplex and fluorophore thioflavin T (ThT) for discriminating EGFR exon 19 deletion mutant DNA from wild type without a label and quencher. In the presence of exon 19 deletion mutant DNA, the probe DNAs annealed to the target sequences were transformed into G-quadruplex structure. Subsequent intercalation of ThT into the G-quadruplex resulted in a light-up fluorescence signal, which reflects the amount of mutant DNA. Due to stark differences in fluorescence intensity between mutant and wild-type DNA, we suggest that the induced G-quadruplex structure in the probe DNA can report the presence of cancer-causing deletion mutant DNAs with high sensi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