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pplications of DNA barcoding have a wide range of uses, such as in taxonomic studies to help elucidate cryptic specie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analyzing environmental samples for biodiversity monitoring and conservation assessments of species. After obtaining the DNA barcode sequences, sequence similarity-based homology analysis is commonly used. This means that the obtained barcode sequences are compared to the DNA barcode reference databases. This bioinformatic analysis necessarily implies that the overall quantity and quality of the reference databases must be stringently monitored to not have an adverse impact on the accuracy of species identific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iques, a noticeably large number of DNA barcode sequences have been produced and are stored in online databases, but their degree of validity, accuracy, and reliability have not been extensively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xtent to which the amount and types of erroneous barcode sequences were deposited in publicly accessible databases. Over 4.1 million sequences were investigated in three largescale DNA barcode databases (NCBI GenBank, Barcode of Life Data System [BOLD], and Protist Ribosomal Reference database [PR2]) for four major DNA barcodes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COI],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ibulose bisphosphate carboxylase large chain [rbcL], and 18S ribosomal RNA [18S rRNA]); approximately 2% of erroneous barcode sequences were found and their taxonomic distributions were uneven. Consequently, our present findings provide compelling evidence of data quality problems along with insufficient and unreliable annotation of taxonomic data in DNA barcode databases. Therefore, we suggest that if ambiguous taxa are presented during barcoding analysis, further validation with other DNA barcode loci or morphological characters should be mandated.
In this study we sought to determine the food fraud by discriminating species of commercial seafood product such as Larimichthys polyactis, Larimichthys crocea, Pennahia argentatus, and Miichthys miiuy, which are difficult to morphologically discriminate. After amplifying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gene of the reference fish, the DNA sequences of the amplified PCR products were analyzed. As a result, a 655 bp sequence for species identification was selected for use as DNA barcodes. To confirm the DNA data and primer set, the DNA barcode sequence of each fish was compared to that in that in the NCBI. All of the DNA barcode data were matched with the gene sequence of each fish in the NCBI. A total of 32 processed seafood products (8 L. polyactis, 12 L. crocea, 3 Pennahia argentatus, and 9 Miichthys miiuy) were investigated. Homology of 97% or more in DNA sequences was judged as the same species.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there were no discovered cases of forgery or alteration. However, the use of a raw material name having no matching standard name in the Korea Food Code may cause consumer confus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standard name or scientific name be co-labeled with the raw material name on seafood products to prevent consumer confusion.
DNA barcoding of Bryozoa or "moss animals" has hardly advanced and lacks reference sequences for correct species identification. To date only a small number of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sequences from 82 bryozoan species have been deposited in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GenBank and Barcode of Life Data Systems (BOLD). We here report COI data from 53 individual samples of 29 bryozoan species collected from Korean seawater.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single largest gathering of COI barcode data of bryozoans to date. The average genetic divergence was estimated as 23.3% among species of the same genus, 25% among genera of the same family, and 1.7% at intraspecific level with a few rare exceptions having a large difference, indicating a possibility of presence of cryptic species. Our data show that COI is a very appropriate marker for species identification of bryozoans, but does not provide enough phylogenetic information at higher taxonomic ranks. Greater effort involving larger taxon sampling for the barcode analyses is needed for bryozoan taxonomy.
The Euphorbiaceae family features some of the most economically important plants that are sources of foods, oils, waxes, and medicines. The accurate identification of Euphorbiaceae species is critical in sustainable utilization of plant resources. We examined 234 sequences of nrDNA ITS, cpDNA rbcL and matK loci from 20 species in Euphorbiaceae in Korea and three outgroup taxa to develop efficient DNA barcodes. The three barcode loci were successfully amplified and sequenced for all Euphorbiaceae species. nrDNA ITS locus showed the highest mean interspecific K2P distance (0.3034), followed by cpDNA matK (0.0830), and rbcL (0.0352) locus. The degree of species resolution for individual barcode loci ranged from 75% (rbcL and matK) to 80% (ITS). The degree of species resolution was not enhanced with the different combinations of three barcode loci. The combined data set of the three loci(ITS+rbcL+matK) provided 80% of species resolution. These results confirm that ITS locus, as a single barcode, is the best option for barcoding of the Euphorbiaceae in Korea.
We determined the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CO1) sequences of Nebalia koreana Song, Moreira & Min, 2012 (Leptostraca) collected from five locations in South Korea, and this represents the first genetic data of this species. The maximum intra-species variation was 1.2% within Nebalia hessleri Martin, Vetter & Cash-Clark, 1996, while inter-species variation ranged from 9.0% (N. hessleri and Nebalia gerkenae Haney & Martin, 2000) to 34.8% (N. hessleri and Nebalia pseudotroncosoi Song, Moreira & Min, 2013). This result is well agreed with the interspecific relationships among Nebalia specie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usefulness of CO1 sequences as a DNA barcode within the genus Nebalia Leach, 1814.
Kim, Hana;Kim, Keun-Yong;Phoo, War War;Kim, Chang-Hoon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v.37
no.1
/
pp.1-8
/
2021
A eunicid polychaete, Marphysa victori Lavesque, Daffe, Bonifácio & Hutchings, 2017 is describ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intertidal zones of the Korean coasts.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three types of pectinate chaetae (INS, isodont-narrow-slender; AWS, anodont-wide-slender; and AWT, anodont-wide-thick), appearance of pectinate chaetae from chaetiger 2, the chaetae consisted of pectinate and compound spinigers, and pygidium with one pair of pygidial cirri. In genetic analysis based on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intra-specific genetic distance between the specimens of M. victori from its type locality, France and Korea are in the range of 0.000-0.013. This paper includes the morphological description and photographs of M. victori new to Korean fauna, with partial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COI as DNA barcode data on this species.
Lee, Jeongran;Kim, Chang-Seok;Lee, In-Yong;Oh, Hyun-Ju;Kim, Jung Hyun;Kim, Sun Yu
Weed & Turfgrass Science
/
v.4
no.1
/
pp.26-34
/
2015
Korean Poaceae includes approximately 80 species of the agricultural weeds. Precise species identification is the first step for more effective weed management in the agricultural fields. However, the identification of species in Poaceae is not easy without the assistance of taxonomists or identification experts although they are relatively easy to distinguish from the plants of the other family by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caryopsis. Thus, DNA barcode wa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powerful technique for species identification by using short sections of DNA from a specific region of the genome. Two standard barcode markers of vascular plants, chloroplast rbcL and matK, and a supplementary nuclear ribosomal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were used for barcode of major Korean Poaceae weeds, 403 individuals of 84 taxa. All the barcode markers revealed a good level of sequencing success with the lowest 73.7% for matK and the highest 88.8% for rbcL. The barcode sequences were deposited to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database for public use. Combined matK and ITS showed very high resolving power with 92.9%. Besides the identification of weeds for weed managment, the generated DNA barcode data could be used for many other applications such as rapid biodiversity assessment and conservation prioritization.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chloroplast rbcL, matK, and psbA-trnH and nuclear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s were determined from all species of Viburnum in Korea with multiple accessions to reconstruct the phylogeny and to evaluate the utility of the DNA sequences as DNA barcodes. The results of phylogenetic analyses of the cpDNA and ITS data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of Viburnum. Four morphologically closely related species, V. dilatatum, V. erosum, V. japonicum, and V. wrightii, were included in a strongly supported sister clade of V. koreanum and V. opulus. Viburnum odoratissimum is suggested to be sister to the V. dilatatum/V. koreanum clade in the cpDNA data, while V. odoratissimum is a sister to V. furcatum in the ITS data. Viburnum burejaeticum and V. carlesii are strongly supported as monophyletic. Our analyses of DNA barcode regions from multiple accessions of the species of Viburnum in Korea confirm that six out of ten species in Korea can be discriminated at the species level. The V. dilatatum complex can be separated from the remaining species according to molecular data, but the resolution power to differentiate a species within the complex is weak. This study suggests that regional DNA barcodes are useful for molecular species identification in the case of Viburnum when flowering or fruiting materials are not available.
Park, Hyun-Chul;Bae, Chang-Hwan;Jun, Ju-Min;Kwak, Myoung-Hai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v.34
no.3
/
pp.323-331
/
2011
Biodiversity and the community composition of micro-eukaryotic organisms were investigated in the Upo wetland in Korea using molecular analysis. Molecular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cytochrome oxidase I (COI) and small subunit ribosomal DNA (SSU rDNA). The genomic DNA was isolated directly from soil samples. The COI and SSU rDNA regions were amplified using universal primers and then sequenced after cloning. In a similarity search of the obtained sequences with BLAST in the Genbank database, the closely related sequences from NCBI were used to identify the amplified sequences. A total of six eukaryotic groups (Annelida, Arthropoda, Rotifera, Chlorophyta, Bacillariophyta, and Stramenopiles) with COI and six groups (Annelida, Arthropoda, Rotifera, Alveolata, Fungi, and Apicomplexa) with SSU rDNA genes were determined in the Upo wetland. Among 38 taxa in 20 genera,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amplified sequences, 10 genera (50%) were newly reported in Korea and five genera (25%) were shown to be distributed in the Upo wetland. This approach is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 of an efficient method for monitoring biodiversity without traditional taxonomic processes and is expected to produce more accurate results in depositing molecular barcode data in the near future.
Park, Soo-Young;Kim, Sung-Dae;Lee, Youn-Ho;Pae, Se-Jin;Park, Heung-Sik;Kim, Choong-Gon
Ocean and Polar Research
/
v.29
no.3
/
pp.273-282
/
2007
For an efficient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marine biodiversity information, we made an attempt to develop the Korea Marine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KoMBIS), building a species name inventory of Korea marine organisms. The inventory includes 17 organism groups: phytoplankton, zooplankton, algae and halophyte, sponges, cnidarians, rotifers, nematodes, bryozoans, brachiopods, molluscs, echiurans, annelids, arthropods, echinoderms, urochordates and fish. The species names were collected from 37 different references and reviewed for validity by taxonomists, which resulted in 9,798 valid names in addition to 1,845 synonyms. The Korea marine species inventory is the first one of this kind, for previous Korean species name inventories were mostly composed of terrestrial and freshwater organisms. KoMBIS, the information system developed, contains not only the species name but also information on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distribution, DNA barcode, and references. This system is convenient for the inputting of new data and servicing users through the internet, so that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the biodiversity information is more efficient. Linking the DNA barcode data with species information provides an objective measure for identification of a species, which accommodates the recommendation of Consortium for the Barcode of Life, and makes the Korea marine biodiversity information compatible with international databases. Considering the frequent exchange of marine organisms internationally via ballast water and such issues as climate change, this information system will be useful in many areas of marine biodiversity.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