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MZ restoration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7초

DMZ 내 생태교란지 식물복원 연구 (A Study on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Disturbed area in DMZ(Demiltarized zone))

  • 정지영;김상준;안종빈;이아영;황희숙;박기쁨;박진선;송진헌;윤호근;정수영;신현탁;이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6-26
    • /
    • 2019
  • DMZ 일원은 정전협정으로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가 설정된 이래 민간인의 출입이 엄격히 금지된 채로 외부의 간섭에서 벗어난 독보적 공간으로 보전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일부 지역은 자연재해 및 군사적 목적으로 훼손되어 생태적으로 교란된 지역이 발생하여 생태적 건강성이 저하되고 있다. 무엇보다 군사분계선 남쪽 2km에 설치된 남방한계선은 군사적 목적에 따라 시계확보를 위해 불모지작전을 수행하여 생태적 교란 및 토양침식에 의해 생태계가 열악한 실정이다. DMZ 내 생태교란지 식물복원 연구는 DMZ내 생태교란지를 하나의 특수한 생태계로 간주하여, 향후 DMZ내 생태교란지에 특화된 식생복원 체계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MZ 155마일(248km)에 대해서 위성영상분석을 수행하여 생태교란지 유형화분류 연구를 수행하여 7개 유형(저지대초지, 서부저지대산지, 저습지 및 수공간 지역 등)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DMZ 생태교란지에 적합한 식물종 선정을 위하여 DMZ 전역을 대상으로 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여, 분포가 확인된 종을 대상으로 도입 가능종의 검토, 종자 수집 및 채종원 조성을 실시하였다. 추후 DMZ 생태교란지 식물복원에 적합한 공법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시계확보를 위해 수행되는 불모지 작전에 적합한 종의 선정, 선정된 종을 대상으로 유사환경 조성에 따른 공법 적용, 적용된 공법에 따른 관리 방안 연구를 함께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DMZ 일원에 특화된 공법개발이 이루어진다면 불모지 작전 및 관리 최소화가 이루어지고, 무엇보다 우리나라 종자 및 야생화 산업의 활성화와 현재 파편화 되어 있는 생태축이 하나의 축으로 연결 될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 PDF

자생식물 적용을 통한 DMZ 불모지 복원공법 연구 (Study on the Restoration Method of DMZ Barren Land through the Application of Native Plants)

  • 김영은;김동학;조형복;허미영;김상준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5-65
    • /
    • 2022
  • 지속가능한 DMZ 일원의 생태복원 추진을 위해 DMZ 생태교란지에서 복원공법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강원도 인제군, 철원군 및 경기도 연천군의 DMZ 내(450m2)에서 진행되었으며, 흰민들레, 구절초, 매발톱, 질경이, 꿀풀이 공시식물로 사용되었다. 각 대상지의 식생유형별 시공방법에 따른 침입종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22년 4월부터 9월까지 일반식생기반재와 특수식생기반재로 처리된 실험구의 전체 피도, 도입종 피도, 침입종 피도, 초장, 출현종 등을 측정하였다. 전체 피도는 세 곳 모두 일반 기반재보다 특수기반재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나 대상지에 따라 침입종 피도가 미치는 영향은 달랐다. 도입종의 피도는 인제, 철원, 연천에서 동일하게 흰민들레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특수기반재에서 보다 높은 피도를 보였다. 폭염 및 폭우로 6월 이후 흰민들레가 감소하면서 구절초, 매발톱의 피도가 점차 증가하였으며 기반재 간의 큰 차이는 없었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구절초 피도가 특수기반재보다 일반기반재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든 지역에서 질경이와 꿀풀의 생장은 미미하였다. 같은 처리를 했음에도 대상지별로 소재식물의 출현 여부, 생장률, 침입종의 피도 등이 다른 것으로 보아 복원지의 환경 여건에 따라 적용해야 하는 종, 시공방법, 주변 완충지역의 범위 등에 차이를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민통선.비무장지대(DMZ)일대의 식생에 관한 연구 - 동해 북부선 지역을 중심으로 - (Study of Vegetation of Civilian Control Line.DMZ Area - Focusing on the Donghae Bukbu Line -)

  • 김창환;김귀곤;최영은;김상식;신중열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63-74
    • /
    • 2010
  • In this study, wetlands and forest vegetation surrounding rail, road of DMZ area and Civilian Control Line were studied as follows: Plant communities hierarchical system of forest veget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hytosociological methods of Braun-Blanquet (1964) a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mongolic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Quercus acutissima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etland vegetation major communities; Scirpus wichurae community, Scirpus fluviatilis community,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community, Typha orientalis community, Typha angustata community, Juncus alatus 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Hragmites communis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Alnus japonica community, Alnus japonica community,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Salix koreensis community, Prunus padus community, Alnus japonica community, Zizania latifolia community and Amorpha fruticosa community were surveyed.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in a DMZ area and the Civilian Control Line was mainly characterized by; Carex pumila, Elymus mollis, Carex kobomugi, Rosa rugosa, Calystegia soldanella, Lathyrus japonica and Aster hispidus, species that are of typically sand dune vegetation.

차광처리가 벌개미취와 구절초의 생장 및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a (Maxim.) Kitam. and Aster koraiensis Nakai by Shading Treatment)

  • 김동학;김영은;김상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1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차광처리가 벌개미취와 구절초의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대조구(0%)와 3개의 서로 다른 차광처리구(50%, 75%, 95%)를 설치하고 엽록소 함량, 생장 및 광합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벌개미취와 구절초 모두 차광수준이 높아질수록 낮은 광도에 적응하기 위해 광합성에 대한 빛의 흡수 효율이 높은 잎이 형성되었다. 또한 차광수준이 높아질수록 낮은 광도에서 광합성을 수행하기 위해 암호흡속도의 저하와 광보상점의 감소가 나타났고, 광합성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엽록소 함량과 순양자수율이 증가하였다. 광합성 속도는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고 차광수준이 높아질수록 저하하였다. 대조구에서는 강광에 의한 수분손실을 막기 위해 기공전도도와 증산속도가 감소하였다. 50% 차광처리구의 기공전도도와 증산속도는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나, 75%와 95% 차광처리구에서는 더 낮게 나타나 광합성 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이용효율 또한 광합성속도와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고, 차광수준에 따라서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벌개미취는 전천광보다 낮은 광 조건에서 생육할 시 광합성 능력이 저하하는 것으로 보이며, 구절초의 경우 50% 차광처리까지는 광합성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벌개미취와 구절초는 광을 제한하여 차광 상태를 지속하게 되면 생육에 불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벌개미취와 구절초의 생육특성은 상층임관이 존재하지 않은 DMZ 불모지와 같은 환경에 도입시키기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백산차(Ledum palustre var. diversipilosum) 종자의 형태적 특성 및 발아조건 분석 (Analysis on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Germination Conditions of Seeds in Ledum palustre var. diversipilosum)

  • 최영민;조승주;이현지;김명자;성정원;윤정원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23-23
    • /
    • 2023
  • The Hairy labrador tea (Ledum palustre L. var. diversipilosum Nakai) is a evergreen small shrub, belonging to the Ericaceae and mainly distributed along the alpine areas of Hamgyeong-do in North Korea. Through seed physiological research on North Korean plants, we intend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ass propagation methods and use them for vegetation restoration. The internal and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seed were observ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r stereoscopy, and full seeds were selected through X-ray test. Seeds were cultured on a growth condition at 15/6℃ and 25/15℃ to examine the germination response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the number of germinated individuals was examined every 24 hours to calculate germination percentage and mean germination time. Low-temperature treatment (4℃) and hormone treatment (GA3)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ormancy breaking,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perform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SAS 9.4. The seeds of the Hairy labrador tea were elliptical-narrow in shape, and the epidermal cell wall pattern was reticulated. The final germination rate (FGP) was the highest at 58.9% under the condition of low temperature treatment at 25/15℃. The average number of days to germination (MGT) was the highest at 25.1 days without treatment at 15/6℃, and the average of the last germination days was confirmed to be about 13 days. As a result of low temperature treat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final germination rate (FGP) increased by 43.3%. The significance of the final germination rate (FGP) was verified according to the pretreatment at 25/15℃.

  • PDF

한반도 특산식물 꼬리말발도리의 분포와 생육환경특성 (Geographical distribution range and growth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Deutzia paniculata Nakai, a Korean Endemic Plant)

  • 정지영;안종빈;윤호근;정수영;신현탁;손성원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6
    • /
    • 2020
  • The current status of geographical distribution range of Deutzia paniculata, one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species distribu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f the geographical range used for analysis includes all the published references to the distribution of D. paniculata, herbarium specimens in Korea National Arboretum (KH) including its online database: http://www.nature.go.kr, and field research. Although, D. paniculata was firstly recorded in Wonsan, Hamgyeongnam-do, North Korea, this research revelaved that D. paniculata is mainly distributed in Gyeongsangbuk-do and Gyeongsangnam-do,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map, this species was estimated on distribution edge of in Anyang region of Gyeonggi-do, Mt. Naejang of Jeollabuk-do and Mt. Taebaek of Gwangwon-do on the distribution edge. However, it was made use of intensive field survey to identify the natural population of the species in these regions. D. paniculata habitat was mainly distributed between 290 meters and 491 meters in altitude, but it was also found ranged from 936 to 959 meters in Gun-wi, Gyeongsangbuk-do, South Korea. The distribution slope was 5° to 35° and the north, N, NE and NW in the aspect.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D. paniculata habitats was listed in 137 taxa: 54 families, 103 genera, 120 species, 2 subspecies, 12 varieties and 3 forms while Korean endemic plants were found in three taxa, Stewartia koreana, Weigela subsessilis and D. Paniculata. Based on a collection of non-biological environment and biological environment data, D. paniculata population were discussed to make strategy and basic research methods for sustainable preservation.

비무장지대(DMZ) 자연유산 남북 공동협력의 의의와 과제 (South and North Korean Collaboration for Natural Heritage Conservation across Demilitarized Zone : Its Significance and Challenges)

  • 제종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1호
    • /
    • pp.242-257
    • /
    • 2019
  •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 : DMZ)는 군사분계선(Military Demarcation Line : MDL)을 경계로 남북으로 각각 2km씩을 비무장지대로 설정하기로 협정으로 정했지만 지난 65년 동안 무장이 가득한 지대로 유지되어왔다. 남쪽의 경우 민간인 통제선(Civilian Control Zone : CCZ) 이북 지역과 그 배후의 접경지역은 사람들의 출입이 오랫동안 제한되어 오히려 비무장지대보다 자연이 상대적으로 더 잘 보전되어왔다. 자연유산(natural heritage)은 자연생태계의 보호할 가치가 있는 생물과 그 서식지, 그리고 무생물 자원으로 정의된다. 비무장지대에서는 다양한 생물들과 습지를 비롯한 서식지와 지형들이 있음이 여러 조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비무장지대는 완벽하고 보전이 잘 되어 있는 서식 공간은 아니었다. 하지만 한반도에서 그만한 다양성과 규모를 가진 공간이 없고, 향후 관리 방향에 따라 복원이 가능한 최적의 장소로서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비무장지대와 잘 보호된 일부 민통선 이북 지역을 포함한 그 일원의 서식지 유형(habitat type)을 파악하고 지도를 만들어 관리한다면 한반도에서 멸종 위기에 있는 종들이나 멸종한 종들을 서식하게 하는 최적 장소가 될 것이다. 이때 한강 하구와 동해의 석호(lagoon) 등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무장지대 일원의 조사와 보호 노력을 남북 공동으로 진행해야 하므로, 특히 비무장지대 내부를 남북 과학자와 국제 전문가를 포함하여 국제 과학조사를 추진하고 장기 계획을 세워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식물생장조절물질이 산뽕나무 종자의 발아 및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Mountain Mulberry Seeds (Morus bombycis Koidz))

  • 송민정;김경훈;허영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1-109
    • /
    • 2016
  • This is the fundamental research on restoring damaged vegetation areas in the vicinity of DMZ using local native plant species. This research is aimed at identifying effective plant growth regulators (PGR) for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mountain mulberry, and developing effective methods for managing its germination and growth. Mountain mulberry seeds were collected from the regions in the DMZ vicinity, and tests with seven treatments using four PGRs including $GA_3$, kinetin, ABA and NAA, were conducted. The germination rate was calculated in two different ways of both in a growth chamber and in a greenhouse after seven days observation, and the growth characters such as leaf width/length, seedling width/length and fresh/dry weight, have been surveyed in a greenhouse for three months. Although in the growth chamber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was shown at a group with the kinetin treatmen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Groups with ABA or NAA presented relatively low germination rates. As for the greenhouse test, the germination rates of all groups ranged 20~30%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each other, the reason of which might be due to low absorption by the effect of a soil drench method used in this study. The entire growth characters with the treatments of $2.15mg{\cdot}L^{-1}$ of kinetin and $10mg{\cdot}L^{-1}$ of $GA_3$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o the control. NAA treatment only showed better growth of seedling width compared to the control. Consequently, the most effective PGRs for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mountain mulberry near the DMZ was kinetin. Further research on examining the most effective concentration of them was needed.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불모지 초본식생구조 특성 (Characteristics of Herbaceous Vegetation Structure of Barren Land of Southern Limit Line in DeMilitarized Zone)

  • 유승봉;김상준;김동학;신현탁;박기쁨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5-153
    • /
    • 2021
  • 비무장지대는 한반도 동-서 248km를 횡단하는 군사분계선을 기준으로 남, 북 각각 2km씩 무장이 금지된 지역이다. 그 중 남쪽으로 2km 떨어진 경계를 남방한계선이라고 한다. 비무장지대는 정전협정 이후 자연천이과정을 거치며 독특한 생태계를 형성한 지역으로 보전가치가 높다. 그러나 남방한계선 철책주변과 일부 지역은 군작전수행을 위한 각종 시설이용과 제초작업으로 인한 훼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훼손된 불모지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불모지 식생구조 파악을 위해 지표종을 중심으로 식생군락을 분류한 결과 뱀딸기군락, 비비추군락, 기린초-돌나물군락, 가락지나물군락, 양지꽃군락, 꿀풀군락, 구절초-그늘사초군락, 산구절초군락, 질경이-토끼풀군락, 좀씀바귀-매듭풀군락 등 10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남방한계선 내 불모지는 군사적 활동으로 인한 토양침식, 지형변화, 산불 등 인위적인 교란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교란된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높은 종을 중심으로 식생이 발달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분류된 군락 내 우점종은 대부분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하는 종으로 길 또는 길가, 나지, 훼손지, 초지 등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비무장지대 불모지 식생은 나지에서 초본식생으로 발달하는 천이 초기의 형태를 보인다. 불모지 내 분포하는 우점종은 특별한 유지·관리 없이도 자생할 수 있으므로 향후 복원소재 개발에 활용하거나 복원 종 선정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습지 유형별 분류특성에 관한 연구 -내륙 습지를 대상으로- (Classifying a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Wetlands in Korea -Cases on the Inland Wetlands-)

  • 구본학;김귀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25
    • /
    • 2001
  • A wetland is an ecosystem which is the most useful and highly-energetic transition area.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classify and identify the various types of wetlands in Korea.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are 1) defining and classifying of wetlands, and 2) identifying the wetlands characteristics, and 3) studying cases on the natural wetlands such as Han river, DMZ(Demillitarized Zone), Upo wetland and Yong(Dragon) wetland. The results as follows: 1) Development of the indices for identifying and classifying wetlands in encompassing in such as Ramsar Conference, US NWI(National Wetlands Inventory), Hydrogeomorphic system. 2) Development on the classifying method on the wetlands in the level of supersystem, system, subsystem, class and subclass. The systems include Palustrine and Riverine, and the subsystems are Seasonal, Permanent(Palustrine) and Impersistent, Lower perennial, Impersistent (Riverine). 3) Finally, we find out Young wetland is Palustrine/Permanent/Slope/Persistent, and Upo wetland consists of various types of wetlands, those are, Palustrine/Permanent/Depression/Forest Deciduous, Palustrine/Permanent/Depression/Shrub Deciduous, Palustrine/Permanent/Depression/Persistent, Palustrine /Permanent/Depression/Hydrophytes, and Lacustrine/Permanent/Openwater/Hydrophytes. The taxonomy of this study stems from identifying and classifying wetlands with indices mainly based on hydrologic features and substrates. So, it is needed that consequent studies are to be performed with various viewpoints. And the studying cases were limited because of the restricted entrance into the DMZ, And, we selected only 10 crucial sites in Han river as the subject for wetlands regulation and creation. And, for advanced studies, drawing up inventory and mapping are necessa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