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MP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91초

과잉치 치수유래 줄기세포의 Real-time PCR에 의한 계대간 상아질모세포 발현 특성 (Characterization of Odontoblasts in Supernumerary Tooth-derived Dental Pulp Stem Cells between Passages by Real-Time PCR)

  • 지상은;송솔;이준행;김종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91-301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발거 된 매복 상악 과잉치에서 얻은 치수유래 줄기세포의 초기 계대와 후기 계대의 상아질모세포 유전자의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전신 의과 병력이 없는 6 - 9세 사이의 남녀아이 12명에게서 서면동의를 얻고 모두 상악에 위치한 과잉치를 발거하여 당일 발거된 과잉치의 치수세포를 채취하였다. 12개의 세포를 각각 3계대와 10계대에서 골형성 유도 분화제를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군을 나누어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시행하여 상아질모세포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사용된 유전자는 osteonectin (ONT), alkaline phosphatase (ALP), osteocalcin (OCN), dentin matrix protein 1 (DMP-1), 그리고 dentin sialophosphoprotein (DSPP)였다. 유전자 발현양은, 분화제를 처리하지 않은 군 3계대에서는 ONT, ALP, OCN, DMP-1, DSPP순서로 많이 발현하였다. 분화제를 처리하지 않은 군 10계대에서는 ONT, DMP-1, OCN, ALP, DSPP순으로 ONT, OCN, DSPP의 순서에는 변화가 없지만 ALP, DMP-1의 순서는 서로 바뀌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ALP와 DMP-1은 3계대와 10계대 세포의 분화를 위한 중요한 표지자로 사용될 수 있다. 과잉치 치수유래 줄기세포는 상아질모세포의 특성을 가지며, 또한 과잉치가 어린 나이에 발거되고 10계대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적게 걸린다는 것을 고려하면, 과잉치는 치아 유래 줄기세포의 공여부로서 훌륭한 활용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Functional Requirements of Data Repository for DMP Support and CoreTrustSeal Authentication

  • Kim, Sun-Ta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7-20
    • /
    • 2020
  • For research data to be shared without legal, financial and technical barriers in the Open Science era, data repositories must have the functional requirements asked by DMP and CoreTrustSeal. In order to derive functional requirements for the data repository,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Management Plan (DMP) and CoreTrustSeal, the criteria for certification of research data repositories. Deposit, Ethics, License, Discovery, Identification, Reuse, Security, Preservation, Accessibility, Availability, and (Meta) Data Quality, commonly required by DMP and CoreTrustSeal, were derived as functional requirements that should be implemented first in implementing data repositories. Confidentiality, Integrity, Reliability, Archiving, Technical Infrastructure, Documented Storage Procedure, Organizational Infrastructure, (Meta) Data Evaluation, and Policy functions were further derived from CoreTrustSeal.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the data repository derived from this study may be required as a key function when developing the repository. It is also believed that it could be used as a key item to introduce repository functions to researchers for depositing data.

Photochemical Degradation of Dimethyl Phthalate by Fe(III)/tartrate/H2O2 System

  • Feng, Xianghua;Ding, Shimin;Xie, Fapi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1호
    • /
    • pp.3686-3690
    • /
    • 2012
  • Photochemical degradation of dimethyl phthalate (DMP) in Fe(III)/tartrate/$H_2O_2$ system was investigated utilizing fluorescent lamps as the primary light source. Effects of initial pH, light source, and initial concentration of each reactant on DMP photodegradation was examined. The results show that the system was able to effectively photodegrade DMP utilizing visible light. Fluorescent lamp, halide lamp, UV lamp and sunlight could all be used as the light sources. The optimal pH ranged among 3.0-4.0 for the system. Increases of the initial concentrations of Fe(III) and $H_2O_2$ accelerated the photodegradation of DMP, whereas excessively high initial tartrate concentration resulted in the decrease of photodegradation efficiency and rate of DMP.

GStreamer를 이용한 DMP기반의 DRM시스템 (DRM System using GStreamer based on DMP)

  • 박기철;이주영;안상우;남제호;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45-451
    • /
    • 2008
  • 디지털 미디어의 빠른 기술 발달과 인터넷의 발달로 디지털 콘텐츠는 불법복제와 인터넷을 통한 배포의 피해로 지적 재산권에 대한 보호의 필요성으로 여러 표준화 단체들과 콘텐츠 공급자들이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을 개발하였지만, 상호 DRM 시스템간의 상호운용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GStreamer를 사용하고 DMP (Digital Media Project)에서 제안하는 DRM 표준을 기반으로 상호운용 가능한 DRM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Machine-actionable Data Management Plans Model Analysis and Improvement Direction

  • Kim, Suntae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8권4호
    • /
    • pp.20-28
    • /
    • 2020
  • In this study, the RDA DMP Common Standard (RDCS), a data model for implementing a machine actionable Data Management Plan (maDMP), was analyzed in four aspects. First, the twelve class models proposed by RDCS were analyzed. Second, whether the DMP attribute was included in the class attribute was analyzed. Third, we analyzed the namespace used for RDCS properties. Fourth, the values and identifiers used in RDCS propert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ur directions for improvement were derived. First, it is necessary to add an academic record class to describe information such as papers and reports, which are representative academic documents. Second, the primary research institution, responsibility, resources, option attribute, and additional attributes are needed to describe the researcher's affiliation inform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use a namespace such as Friend of a Friend that can be used universally. Fourth, the use of digital object identifier should be considered to identify academic literature.

리그닌 화합물의 열분해에 관한 기초 연구 (Basic Studies on the Pyrolysis of Lignin Compounds)

  • 황병호
    • 임산에너지
    • /
    • 제20권1호
    • /
    • pp.35-41
    • /
    • 2001
  • 리그닌 모델화합물 Ⅰ-Ⅳ의 시료를 315℃에서 열분해 시킨 결과, 리그닌 모델호합물 Ⅰ, Ⅱ의 열분해에서는 guaiacol이 0.47mol, DMP가 0.57mol로, DMAP는 0.12와 0.23mol로 각각 생성되었으며, 리그닌 모델화합물 Ⅲ, Ⅳ의 열분해에서는 guaiacol의 생성이 0.26mol, DMP가 0.30mol로 TMAP는 0.09mol 과 0.15mol이 각각 생성되었다. 리그닌 모델화합물 열분해 메커니즘으로서는 우선 탈수되고, 이어서 β-O-4 결합이 개열되어 guaiacol, DMP, DMAP와 TMAP가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의 DMP를 적용한 연구기록물 관리 (Research Records Management in Scientific Research Institutes by Applying DMP)

  • 구찬미;김순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1
    • /
    • 2019
  •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의 연구기록물은 연구개발사업 생애주기 전반에 걸친 설명책임을 이행하기 위한 핵심기록이다. 따라서 연구기록물은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보존되어 공유될 수 있어야 한다. 이 연구는 연구기록물 관리 방안으로 DMP의 적용 효용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산 이전단계에서의 연구기록물 관리의 필요성과 연구개발사업과 연구기록물간의 관계정보 관리의 중요성을 발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에서 연구기록물 관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DMP를 적용하여 '연구기록물 관리계획(RRMP)'을 제안하였다.

사파이어 웨이퍼 DMP에서 마찰력 모니터링을 통한 재료 제거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aterial Removal Characteristics by Friction Monitoring System of Sapphire Wafer in Single Side DMP)

  • 조원석;이상직;김형재;이태경;이성범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2권2호
    • /
    • pp.56-60
    • /
    • 2016
  • Sapphire has a high hardness and strength and chemical stability as a superior material. It is used mainly as a material for a semiconductor as well as LED. Recently, the cover glass industry used by a sapphire is getting a lot of attention. The sapphire substrate is manufactured through ingot sawing, lapping, diamond mechanical polishing (DMP) and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process. DMP is an important process to ensure the surface quality of several nm for CMP process as well as to determine the final form accuracy of the substrate. In DMP process, the material removal is achieved by using the mechanical energy of the relative motion to each other in the state that the diamond slurry is disposed between the sapphire substrate and the polishing platen. The polishing plate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material removal characteristics in DMP. Especially, it is known that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polishing platen affects the material removal amount and its distribution. This paper investigated the material removal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s of the polishing platen groove in sapphire DMP. The experiments were preliminarily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apphire material remov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rocess parameters such as pressure, relative velocity and so on. In the experiment, the monitoring apparatus was applied to analyze process phenomena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ing condition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correlation was analyzed among process parameters, polishing phenomena and the material removal characteristics. The material removal equation based on phenomenological factors could be derived. And the experiment was follow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laten groove on material removal characteristics.

DMP 기반의 상호운용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 보호 시스템 (A Interoperable Digital Content Protection System Based on DMP)

  • 학일명;최봉규;윤화묵;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626-629
    • /
    • 2007
  • 동화상 압축 기술과 네트워크의 발달로 빠르게 보급된 디지털 콘텐츠는 불법복제와 인터넷을 통한 유포로 인해 지적 재산권 보호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다양한 표준화 단체들과 콘텐츠 제공업체들이 디지털 콘텐츠 보호를 위한 솔루션을 개발하였고 이 과정에서 서로 다른 독자적인 솔루션 개발로 인하여 이기종 디지털 콘텐츠 보호 시스템간의 상호운용성 결여라는 문제에 봉착하게 되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PEC(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단체에서 이기종간의 상호운용 가능한 IPMP(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and Protection) 기술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하였으나 만족할 정도의 기능을 제시하지 못하면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DMP(Digital Media Rroject) 표준이 제시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MPEG의 IPMP 표준을 분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DMP의 툴팩(ToolPack)을 사용하여 이기종간의 상호운용성 확보가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를 보호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차동 부호화된 MultiPhase Clipped MultiCode CDMA 시스템의 수신 성능 개선을 위한 다중 심볼 차동 검출 방식 연구 (Multiple-Symbol Differential Detection Scheme of Differentially Encoded MultiPhase Clipped MultiCode CDMA System)

  • 이병하;안철용;김동구;조진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10A호
    • /
    • pp.807-815
    • /
    • 2003
  • MultiCode-CDMA(MC-CDMA) 시스템은 채널수가 증가할수록 신호의 PAPR(Peak to Average Power Ratio)이 증가하게 되어 증폭기의 비선형 특성에 의해 시스템 성능이 열화된다. MultiPhase Clipped MultiCode CDMA(MP-CDMA)[1] 시스템은 이러한 증폭기의 비선형 특성에 의한 시스템 성능 열화를 상쇄한다. 본 논문에서는 변조방식을 MPSK가 아닌 차동 부호화된 MPSK 방식을 사용했고 이렇게 변형된 시스템을 DMP-CDMA 시스템이라고 부를것이다. 차동 검출 방식을 적용한 DMP-CDMA 시스템은 위상 보정을 위한 모듈이 필요없고, 파일럿(pilot) 신호를 위한 추가적인 데이터 전송이 필요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동기 검출을 사용한 시스템에 비해서 약 4.0dB의 성능열화를 보인다. 차동 검출 방식을 사용한 DMP-CDMA 시스템의 성능 열화를 보상하기 위해서 다중 심볼 차동 검출 방식을 적용한 결과 차동 검출 방식에 비해서 약 3.6dH의 성능 개선 효과를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