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MFT Index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2초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칫솔질행태와 구강건강상태 (Toothbrushing Behavior and Oral Health State of Immigrant Workers)

  • 남인숙;윤성욱;김정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1
    • /
    • 2015
  • 본 연구는 다양한 나라에서 우리나라에 이주해 온 외국인 노동자 426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칫솔질 행태와 구강건강상태, 칫솔질과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이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하루 3회 이상 칫솔질 빈도는 여성이 63.0%로 남성보다 높았으며, 교육수준은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칫솔질 빈도가 높았다. 체류기간은 국내에 체류기간이 어느 정도 지난 경우 높게 나타났다. 건강보험은 전반적으로 건강보험이 가입된 경우 빈도가 높았다. 의료비 부담은 무료인 경우 50.0%로 가장 높았고, 친구 또는 정기적인 모임이 있는 경우 칫솔질 빈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칫솔질 부위 중 치아, 잇몸, 혀를 전체적으로 잘 닦는 경우는 연령이 적을수록, 미혼인 경우가 전체적으로 잘 닦고 있었으며 수입은 보통인 경우가 잘 닦고 있었고, 건강보험에 가입한 경우가 잘 닦고 있었다(p<0.05).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칫솔질 소요시간 3분 이상인 집단은 미혼인 경우와 건강보험에 가입된 경우가 칫솔질 소요시간이 길었으며, 칫솔질 교육유무에서는 국내 체류기간이 5년 초과인 경우와 정기적인 모임이 있는 경우가 칫솔질 교육을 많이 받았다. 구강위생용품은 성별은 여성, 학력은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체류기간은 3~5년 사이가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의료비 부담은 무료인 경우와 정기적인 모임이 있는 경우 구강위생용품을 많이 사용한다고 나타났다(p<0.05).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DMFT index의 평균은 6.98, CPITN의 평균은 3.03으로 우리나라 2010년 국민구강건강 실태조사에서 성인 18세에서 44세의 DMFT index 5.9, CPITN은 1.6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DMFT index가 여성이 높았고, CPITN은 남성이 높았다. 연령, 결혼여부, 학력의 CPITN은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결혼여부는 기혼이 낮았다. 학력은 고졸 이하가 낮았다. 동거인이 없는 경우는 DMFT index가 높았고, CPITN은 동거인이 있는 경우가 2.97로 낮았다. 수입은 100만원 미만이 8.17로 DMFT index가 가장 높았고, CPITN은 100만원 미만이 2.75로 가장 낮았다. 건강보험이 있는 경우 DMFT index는 높았고, CPITN은 낮았다(p<0.05). 칫솔질 행태에 따른 DMFT index와 CPITN의 결과는 칫솔질 빈도 3회 이상에서 DMFT index가 8.34로 가장 높았으며, CPITN은 2.96으로 가장 낮았다. DMFT index는 칫솔질 행태가 좋을수록 높았으며 CPITN은 칫솔질 행태가 좋지 않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는 DMFT index에서 칫솔질 빈도와 칫솔질 부위, CPITN에서는 칫솔질 부위와 칫솔질 소요시간이 유의성을 나타냈다(p<0.05).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이주 노동자들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의 예방법으로 가장 기본인 칫솔질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올바른 칫솔질 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2세 아동의 우식경험영구치 Significant Caries(SiC) Index에 대한 조사 연구 (Significant (SiC) index of the 12-year-old child's permanent teeth caries experience)

  • 최승희;성정희;이천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1041-1046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t(SiC) index of the 12 year old children's permanent teeth caries experience. A total of 428 children aged 12 years old were recruited from metropolitan city(215 children) and rural area(213 children) in this study. SiC index was obtained from DMFT index. Data were analyzed by gender, region, and DMFT. Methods : DMFT index and Sic index were analyzed and compared by pit and sealant fissure treatment, dental caries, gender, and areas. A total of 428 children aged 12 years old were recruited from metropolitan city(215 children) and rural area(213 children) in this study. Results : Boy students(6.73) tended to have a higher SiC index than girl students(7.8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p<0.05). DMFT index in urban area was 2.59, and that in rural area was 3.35. In SiC index, rural children showed a higher index(7.77) than urban children(6.72).There existed a significance between DMFT index and SiC index(p<0.05). Conclusions : It is important to educate and to develop the oral disease prevention program for the high risk group children. This study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DMFT index and SiC index in 12 year old children in urban and rural areas.

한국 노인의 DMFS, DMFT 지수와 FS-T 지수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DMFS, DMFT and FS-T Indexes in the Korean Elderly)

  • 신명숙;원영순;권미영;김윤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51-257
    • /
    • 2010
  • 본 연구는 2008년에 실시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한국 노인 1,356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구강보건인식 및 행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구강보건지수인 DMFS, DMFT, FS-T 지수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한국 노인의 평균 DMFS 지수는 26.62면, DMFT 지수는 6.76개, FS-T 지수는 21.51개였다. 2. 한국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교육수준에서는 DMFS(p<0.05)와 FS-T(p<0.001) 지수에서, 경제활동상태에서는 DMFT(p<0.01), DMFS와 FS-T(0.001) 지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한국 노인의 구강보건인식(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 치과진료 필요여부, 구강건강 염려수준, 씹기 문제)과 DMFS, DMFT, FS-T 지수와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한국 노인 구강보건행태 중 1년간 구강검진 여부에서 DMFT(p<0.01), DMFS와 FS-T(p<0.001) 지수에서, 어제 하루 칫솔질 횟수에서는 DMFT와 FST(p<0.01), DMFS(p<0.001) 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치과병의원 방문 시기에서는 FS-T(p<0.01) 지수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서울특별시장애인치과병원 이동검진기관 장애인들의 구강건강조사 (THE MOBILE ORAL HEALTH SURVEY OF THE DISABLED IN FACILITIES IN SEOUL)

  • 이효설;김혜정;남선회;김민선;유혜선;백승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9
    • /
    • 2012
  • Mobile oral exam at th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Seoul is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the disabled who can hardly approach dental clinic. We analyzed 1609 oral exam records at 24 facilities (11 special-education schools, 10 living facilities, 2 mental hospitals, 1 health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in 20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oral health state of the disabled in facilities in Seoul and to compare with the non-disabled in National Survey 2010 and 2008. 1. Special-education school : DMFT index of age 15 is 5.4 which is higher than 3.6 (DMFT index of age 15) of National Survey in 2010. 2. Living facility : DMFT index of ages 35~44 is 8.4 which is higher than 5.2 (DMFT index of ages 35 ~44) of National Survey in 2008. DT rate is higher (31.3% vs 19.2%) and MT rate is lower (7.6% vs 15.5%). 3. Mental hospital : DMFT index of ages 35~44 is 11.3 which is higher than 5.2 (DMFT indext of age 35~44) of National Survey in 2008. DT rate is significantly higher (50.7% vs 19.2%) and FT rate is lower (35.1% vs 65.3%). 4. Health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 DMFT index of ages 65~74 is 7.1 which is slightly lower than 8.7 (DMFT index of ages 65~74) of National Survey in 2008. The number of existing natural teeth is similar (16 vs 18).

뇌성마비인의 우식경험도와 치태지수에 관한 역학조사연구 (A STATISTICAL STUDY ON THE DENTAL CARIES INCIDENCE AND PLAQUE INDEX IN CEREBRAL PALSY PERSON)

  • 송정우;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8-327
    • /
    • 2002
  • 뇌성마비인의 구강위생상태에 관한 조사를 위하여 $3{\sim}48$세의 뇌성마비인 총264명(남153명, 여111명)과 비교군으로 비슷한 연령대의 비뇌성마비인 220명(남125명, 여95명)을 대상으로 구강검사를 시행하고, 우식경험유치율(dft rate), 우식경험유치지수(dft index), 우식경험영구치율(DMFT rate), 우식경험영구치지수(DMFT index), 치태지수(plaque index)를 산출하여 비뇌성마비인과 비교하였으며, 지적, 행동, 언어장애의 정도, 유형 및 이환 부위, 거주형태, 보호자의 직업에 따라 분류,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MFT rate, DMFT index, dft index에서 뇌성마비군과 비뇌성마비군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dft rate는 유의한 차이로 뇌성마비군이 높게 나타났다. 2. 뇌성마비군의 성별, 유형 및 이환 부위별 비교에서 우식경험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DMFT rate와 DMFT index는 각각의 장애의 정도가 심할수록 유의성 있는 차이로 감소하였으며, 거주형태에서는 수용군이 비수용군에 비해 낮았고, 보호자 직업에서는 자영업이 낮게 나타났다. 4. 치태지수에서 뇌성마비군이 비뇌성마비군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고, 거주형태에서는 비수용군이, 보호자 직업에서는 스스로 벌어서 생활하는 경우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5. 치태지수에서 뇌성마비군의 성별, 유형 및 이환 부위, 각각의 장애의 정도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 PDF

포천시 초등학생의 주관적 구강건강인식 및 구강보건 행태와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의 관련성 (An analysis of the associated factors which influence DMFT index of the primary school children's in Pocheon city)

  • 김영남;송윤신;최은정;김영수;최은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3-126
    • /
    • 2011
  • Objectives : We supposed that identifying the influencing factors on DMFT index in the primary school children in Pocheon be indispensible for the primary school children's oral health program establishment in Pocheon. So, to prepare the basic materials for the primary school children's oral health program establishment in Pocheon, we analyzed the associated factors which could have an influence on the primary school children's DMFT index in Pocheon. Methods : We selected 3,676 primary school children in Pocheon, whose age were from 6 to 11, and surveyed those children by a questionnaire and the oral examination based on WHO's oral health survey method. Data were analyzed with a $x^2$-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5.0^{(R)}$. Results : The results of oral survey in the primary school children in Pocheon revealed as follows: DMFT index, National Health Oral health survey of 2006 people nationwide in the results when compared to younger grade children and older grade in the low and the higher.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high of viscosity junk food snacks, fruit, gender, dental visits and humidity, oral health education classes, including the variable of attitude was 6(p<0.05). Their higher awareness of dental health, oral health education classes ever the more positive attitude to DMFT index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Solid in the habit of eating junk food snacks to the students of a liquid relative to student intake was higher DMFT index indices(p<0.05). Conclusions : We could reason that one's oral health recognition and behavior should have a relationship with his(her) DMFT index.

중학생의 구강보건행태가 치아우식증에 미치는 영향 - 수원시 O 중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 (Dental health types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Effects on dental caries - focusing on O middle school students in Suwon -)

  • 김선숙;장종화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83-293
    • /
    • 2000
  •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fter data adjustment and analysis of a study consisting of self-writing, of oral check-ups and questionnaires of 356 students of the O middle school in Suwon in June of 200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effects of the dental health type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dental caries and to understand the specific teeth of dental health types due to educational experience. Based on such data, we want to develop a desirable educational program for middle school dental heath. 1. The DMFT index was higher in females (0.75+4.39) than males(4.99+3.67), 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p=0.000) 2. The DMFT index increased from the ages of 12 (4.69+3.90). 13 (5.69+3.67), 14 (6.18+4.39) and 15(6.98+4.08) an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11). 3.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MFT index regarding the method of brushing, educational experience for dental health, oral hygiene index and plaque index in dental health types. Yet, the more snack-eating increased the higher the DMFT index increased; thus, there was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06). The more fluoride use increased, the lower the DMFT index; thu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48). As for the self-awareness index of dental health, the ones who answered positively had a DMFT index of 2.14+ 1.83 and those who answered negatively had a DMFT index of 7.00+3.94; thu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0). 4. For those who had had educational experience in dental health, a rolling method was used in brushing, and the frequency of fluoride use was high; the self-awareness index of dental health was high as well.

  • PDF

초등학생들의 체중신장지수(WLI)와 치아우식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ight Length Index and Dental Car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선미;김송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5-43
    • /
    • 2003
  • In Korea, changes in children's diet patterns accelerate their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frequent snacking has been presumed to be a major cause of increasing dental caries.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development of growing children and their tooth decay. For this purpose, 632 six-grade children in 4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Urban(Seoul) and Rural(Po-gok, Yang-In)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Weight Length Index(WLI), known to reflect the nutritional conditions of school-age children, and the relationship was analyzed between each group and the variables considered to be related with dental caries.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average weight and height of the male is $44.88{\pm}10.89$ kg, $148.49{\pm}7.33$ cm and female is $43.35{\pm}9.60$ kg, $149.23{\pm}6.73$ cm, respectively, which are in the similar level with the Korean Physical Standard. The classification of the children by the WLI reveals a relatively high distribution of over-weighted child ren - 212 persons, 335% of the entire population. The DMFT Index was a little high in the rural area(3.15 teeth in urban and 3.31, in rural). Among the groups of children classified by the WLI, the over-weight group have the highest DMFT index(3.69 tee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taking in basic nutrients and the DMFT index is also found: the relationship is not evident in case of the foods containing rich calcium, protein, as well as fruits and vegetables. But, in the protein-rich food, higher frequency of its intake means significantly lower DMFT index in the normal-weight group of the urban children. In case of carbohydrate, higher frequency of its intake means significantly higher DMFT index in all the groups of the rural children. The DMFT index has some correlations with the relevant variables: the index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requency of snacking,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economic status. That is, the higher the frequency of snacking is, and the lower the economic status is, the higher the DMFT index may be. In the logistic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with the presence of DMFT as a dependent variable, only the frequency of tooth brushing is turned to be a variable affecting the presence of either decayed, missing, or filled teeth. Based on the above result, the variables affecting the DMFT index are a time spent on eating, frequency of intake of protein and carbohydrate for a week, frequency of snacking, regular dental check-ups, preventive behaviors for oral health(fluoride gargling, tooth brusing after each meal, proper tooth brushing method). These variables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DMFT index, but the degree is somewhat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classified either by the region or by the WLI. Therefore, appropriate nutrition management should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nutritional conditions when the services like nutritional education are provided based on the closely-examined characteristics of each target group. And, at the same time,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and its importance should also be emphasized so that people can pay attention to their own oral health.

  • PDF

성인의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미각인지역치, 타액분비량이 DMFT, OHIP-14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ult's Taste Recognition Threshold and Salivary Flow Amount on DMFT and OHIP-14 depending on Oral Health Behavior)

  • 김기욱;민경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234-2243
    • /
    • 2013
  • 이 연구는 대구지역 40대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6단계의 용액을 이용하여 미각인지역치(단맛, 짠맛, 신맛, 쓴맛), 흡습지를 사용하여 타액분비량을 측정하여 DMFT index와 OHIP-14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구강보건실천은 미각인지역치에, 식습관은 타액분비량에 영향을 주고, 미각인지역치 중 단맛과 신맛, 그리고 타액분비량은 DMFT index에 영향을 주어 구강건강상태가 좋으면 OHIP-14도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강보건실천도와 식습관이 좋은 사람이 미각과 타액분비량, DMFT index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OHIP-14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구강보건실천도를 높여 미각인지역치 감수성을 높이고 식습관을 개선하여 타액분비량을 증가시켜 DMFT index를 감소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지금까지는 개인의 미각인지역치 수준의 평가 없이 일률적인 식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구강보건교육 시 대상자의 미각인지역치를 측정하여 알려줌으로써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근거한 Significant Caries(SiC) Index (Significant Caries(SiC) Index Based on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한지형;안은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29-234
    • /
    • 2011
  • 본 연구는 2009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근거로 6세 이상 인구의 DMFT index(9,271명)를 구하고 그 중 상위 1/3인 고위험군을 분류하여 SiC index(2,517명)를 산출하였다. 이에 치아우식증 고위험군의 존재를 확인하고 고위험군에 대한 예방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통계 분석은 STATA 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분석을 하였다. 1. DMFT index의 연구대상자는 남자가 45.0%(4,174명), 여자가 55.0%(5,097명)이었으며, SiC index 대상자를 산출한 결과 전체 2,517명이었으며, 남자는 36.3%(914명), 여자는 63.7%(1,603명)로 SiC index에서 여자가 더 많았다. 2. DMFT index와 SiC index의 평균을 보면 연령이 증가할수록 두 집단 간 평균의 차이가 컸으며, 특히 13, 14세는 평균 4 이상, 15세 이상부터는 평균 2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3. 성별에 따라 DMFT index를 비교한 결과 14세부터 남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결과는 모든 연령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SiC index는 성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 9세와 14세에서 약 1개 여자가 더 많게 나타났다. 4. 지역별 DMFT index를 비교한 결과 60대와 70세 이상에서 도시보다 전원지역이 더 높았다. SiC index는 60대에서 도시가 15.49, 전원지역이 17.04로 약 1.5개 정도 전원지역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DMFT index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성별의 차이를 보였으나 SiC index는 성별, 지역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위험군은 성별과 지역별 차이 없이 포괄적이고 집중적인 예방관리가 필요하며, 고위험군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구강보건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