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J-1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61초

식이유도 비만 Mice에서 된장 및 무염된장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Salted and Unsalted Doenjang Supplementation in C57BL/6J Mice Fed with High Fat Diet)

  • 배초롱;권대영;차연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036-1042
    • /
    • 2013
  • 본 연구는 된장과 된장 제조시 염을 제거한 무염된장이 고지방식이로 비만/제2형 당뇨가 유도되는 C57BL/6J mice에 항비만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체중 증가량 및 부고환지방은 된장첨가식이군(DJ)이 고지방식이군(HD) 및 무염된장첨가식이군(NS)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혈중 중성지방은 고지방식이군(HD)에 비해 된장첨가식이군(DJ) 및 무염된장첨가식이군(NS)에서 유의적으로 낮아졌고, 그중 된장첨가식이군(DJ)이 무염된장첨가식이군(NS)보다 28.12%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식이군(HD)과 비교하여 된장첨가식이군(DJ) 및 무염된장첨가식이군(NS)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HDL-콜레스테롤 비율(HDL-C/TC(%))은 된장첨가식이군(DJ)과 무염된장첨가식이군(NS)이 고지방식이군(HD)보다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혈중 insulin 농도는 된장첨가식이군(DJ)이 무염된장첨가식이군(NS)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leptin 농도는 고지방식이군(HD)과 비교시 된장첨가식이군(DJ) 및 무염된장첨가식이군(NS)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에서의 지방산 합성 및 산화 관련 유전자 발현 수준을 측정한 결과, $PPAR{\gamma}$ mRNA 발현수준은 모든 실험군(HD, DJ 및 NS)에서 증가하였으며, ACC mRNA 발현 수준은 무염된장첨가식이군(NS)보다 고지방식이군(HD) 및 된장첨가식이군(DJ)에서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또한 $PPAR{\alpha}$ mRNA 발현 수준은 된장첨가식이군(DJ)에서 고지방식이군(HD) 및 무염된장첨가식이군(NS)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PT-1 mRNA 발현수준은 고지방식이군(HD) 및 된장첨가식이군(DJ)이 무염된장첨가식이군(NS)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결과, 된장이 무염된장보다 항비만 효과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된장이 무염된장보다 더 유의적인 결과를 보인 점은 미생물의 생육과 발효 시 무기질의 공급원이기도 한 염이 무염된장 제조 시 탈염과정에서 항비만에 관여하는 무기질과 함께 제거되면서 된장의 항비만 효능이 감소되었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탈염과정 및 식염이 비만에 미치는 메커니즘을 심도 있게 연구하여 소금섭취를 줄이면서 기능성을 유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Pseudomonas sp. strain DJ77에 존재하는 Glutathione S-Transferase 아미노 말단잔기의 Site-directed Mutagenesis

  • 우희종;박용춘;김성재;정용제;정안식;김영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4-378
    • /
    • 1997
  •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was purified from Pseudomonas sp. DJ77, and its N-terminal sequence was determined to be MKLFISPGACSL. A specific tyrosyl residue in the vicinity of the N terminus is conserved in all the known cytosolic GSTs and has been shown to function as a catalytic residue in $\alpha$, $\mu$, $\pi$ class GSTs from mammals. However, Pseudomonas sp. DJ77 GST has the Phe-4 and Ile-5 instead of Tyr in N-terminus. Its replacement with tyrosin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enzyme activity. Results from in vitro biochemical analyses were confirmed by the in vivo activity-based CDNB growth inhibition analyses. Our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GST of Pseudomonas sp. DJ77 has a novel reaction mechanism different from that of mammalian GSTs.

  • PDF

Catechol 처리에 의한 Pseudomonas sp. DJ-12의 생화학 및 세포학적 변화 (Biochemical and Cytological Changes of Pseudomonas sp. DJ-12 Cells in Response to Catechol Treatment)

  • 고연자;임재윤;김치경;이기성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9-145
    • /
    • 1999
  • 방향족 탄화수소 화학물질들은 자연계에 오염되면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미미하여 장기 축적됨으로써 생명체에 독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방향족 탄화수소가 준치사 수준의 농도로 미생물에 노출되면 stress-shock 단백질을 합성하거나 세포 구성물질에 생화학적 변화가 일어나 적응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Pseudomonas sp. DJ-12를 여러 가지 농도의 catechol 로 처리했을 때 나타나는 stress-shock 단백질의 합성양상과 함께 세포의 형태와 생존을 위한 내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Pseudomonas sp. DJ-12는 0.5~1mM 의 catechol 이 6시간 배양 후 60% 이상이 분해되었으나, 3mM 도는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전혀 분해되지 않앗고 생존 세포수는 30시간 처리 했을 때부터 \10^2$ cell/ml 또는 그 이상이 사멸되었다. DnaK는 1mM 이상의 catechol 로 10분간 처리할 때 유도 생성되었고, GroEL은 0.5 mM 이상에서 생성되었다. 10mM 의 catechol로 처리한 Pseudomonas sp. DJ-12 의 세포는 세포벽에 구멍이 생겼으며 간균의 형태가 일그러지는 변화가 관찰되었다. 준치사 농도인 1mM의 catechol 이나 benzoate 또는 4-chlorobenzoate 로 전처리한 Pseudomonas sp. DJ-12는 stress-shock 단백질이 합성되었을 뿐 아니라, 치사 농도인 10mM 의 catechol에서 tolerance를 나타내었다.

  • PDF

Comamonas sp. Strain DJ-12로부터 Protocatechuate의 분해에 관여하는 pmcABCDEFT 유전자군의 구조 분석 (Structure Analysis of pmcABCDEFT Gene Cluster for Degradation of Protocatechuate from Comamonas sp. Strain DJ-12)

  • 강철희;이상만;이경;이동훈;김치경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95-200
    • /
    • 2005
  • Comamonas sp. strain DJ-12의 pmcABCDEFT 유전자군은 protocatechuate (PCA)의 분해과정에 관여하는 PCA 4,5-dioxygenase, 4-carboxy-2hydroxymuconic semialdehyde (CHMS) dehydrogenase, 2-pyrone04,5-dicarboxylate(PDC) hydrolase, 4-oxalomesaconate (OMA) hydratase, 그리고 4-oxalocitramalate (OCM) aldolase 등의 효소들을 생산하는 유전자들과 transporter의 역학을 하는 유전자로 각각 확인되었다. 이 유전자군은 Comamonas sp. strain DJ-12의 chromosomal DNA로부터 얻은 PCR 산물들을 T-vector에 ligation하여 재조합 플라스미드 pMT1, pMT2, pMT3, pMT4, pMT5, pMT6, pMT7, pMT8, pMT9, pMT10을 제조하였다. 이들 재조합 플라스미드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PCA 4,5-dioxygenase 유전자는 alpha(pmcA)와 beta(pmcB) 두 개의 subunit으로 구성 되어있으며, 각각 450 bp와 870 bp이었다. CHMS dehydrogenase 유전자(pmcC)는 960 bp, PDC hydrolase 유전자(pmcD)는 918 bp이였으며, OMA hydratase 유전자(pmcE)는 1029 bp, OCM aldolase 유전자 (pmcF)는 689 bp, 그리고 transporter 유전자(pmcT)는 1,398 bp이였다. 이들 pmc 유전자들은 pmcT-pmcE-pmcF-pmcD-pmcA-pmcB-pmcC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었다. Comamonas sp. strain DJ-12의 pmcABCDEFT 유전자산물의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한 결과, Comamonas testosteroni BR6020 및 Psedomonas ochraceae NG.J1와 $94{\~}98\%$의 높은 유사성을 보였고, 그 유전자들의 배열 순서도 동일하였다. 그러나 Sphingomonas paucimobilis SYK-6, Sphingomonas sp. LB126, 그리고 Arthrobacter keyser 12B와는 아미노산 서열이 $52{\~}74\%$의 유사성을 보였고, 그 유전자의 배열 구조도 상이하였다.

Pseudomonas sp. DJ77에서 Glutathione S-transferase를 암호하는 phnC 유전자의 염기서열과 상동성 분석 (Nucleotide Sequence and Homology Analysis of phnC Gene Encoding Glutathione S-transferase from Pseudomonas sp.DJ77)

  • 우희종;신명수;김성재;정용제;정안식;박광균;김영창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6-91
    • /
    • 1997
  • Pseudomonas sp. DJ77로부터 클로닝된 glutathione S-transferase 유전자(phnC)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603bp의 open reading frame(ORF)이 존재하였고 개시코돈 앞에서 Shine-Dalgarno sequence를, 종결코돈 뒤에서는 terminator sequence를 발견하였다. phnC 유전자에서 만들어지는 phnC 단백질은 21,416 Da으로 SDS-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 결과와 일치하였다. PhnC는 Bulkholderia cepacia LB400, Cycloclasticus oligotrophus RB1의 GST와 각각 53.7%, 49%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냈다. 아미노산 서열의 상동성과 필수잔기들의 존재유무로 판단할 때 PhnC GST는 theta class GSTs와 진화적으로 유연관계가 높았지만 alpha, mu, pi, sigma class GSTs에서 구조적, 기능적으로 중요하다고 알려진 아미노산 잔기들이 PhnC GST에도 보존되어 있었다. 또한, phnC 유전자의 위치가 C. oligotrophus RB1, B. cepacia LB400 등의 GST 유전자 위치와 유사하다는 점에서 PhnC 효소는 난분해성 방향족 탄화수소의 분해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Nucleotide Sequence and Secondary Structure of 5S rRNA from Sphingobium chungbukense DJ77

  • Kwon, Hae-Ryong;Kim, Young-Chang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1호
    • /
    • pp.79-82
    • /
    • 2007
  • The 58 rRNA gene from Sphingobium chungbukense DJ77 was identified. The secondary structure of the 199-base-long RNA was proposed. The two-base-long D loop was the shortest among all of the known 5S rRNAs. The U19-U64 non-canonical pair in the helix II region was uniquely found in strain DJ77 among all of the sphingomonads.

Pseudomonas sp. DJ-12의 pcbCD 유전자의 클로닝과 Escherichia coli에서의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pcbCD Genes in Escherichia coli from Pseudomonas sp. DJ-12)

  • 김치경;성태경;남정현;김영창;이재구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0-46
    • /
    • 1994
  • Polychlorinaed biphenyls(PCBs) 와 biphenyl을 분해하는 Pseudomonas sp. DJ-12에서는 그 초기 분해과정에 pcb ABCD 유전자들이 관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그 중 pcbCD와 pcdD 유전자를 E. coli XL1-Blue에 클로닝하여 E. coli CU103 과 CU105 균주를 각각 제조하였다. E. coli CU103은 2,3-dehydroxybuphenyl dioxygenase(2,3-DHBP)와 meta-cleavage compound(MCP) hydrolase를 생성하여 2,3-dihydroxybiphenyl을 benzoate로 변환시켜 주었다. E. coli CU1 과 CU103 에서 pcbC 유전자의 산물인 2,3-DHBP dioxygense의 활성도는 Pseudomonas sp. DJ-12에서 보다 약 17배 높았으며, E. coli CU105에서 pcbD의 산물인 MCP hydrolase는 약 3배 더 높게 나타났다.

  • PDF

염화 방향족 탄화수소 분해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a degrading chlorinated aromatic hydrocarbons)

  • 김종우;김치경;김영창;염재홍;이재구
    • 미생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2-128
    • /
    • 1987
  • 분해환경을 형성케하는 평판 고체배지 방법으로 4-CB 분해세균인 DJ-12, DJ-26, FP-6 균주와 2,4,5-T 분해세균인 TP-1균주를 공장폐수로부터 분리하여 각 균주의 분해능고 생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분리균주 중 DJ-12, DJ-26 그리고 TP-1은 Pseudomonas 속으로 동정되었다. Chlroinated aromatic hydrocarbon의 분해는 UV-scanning spectrum을 측정함으로써 조사하였는데 4-CB오 2,4,5-T의 peak는 각각 253nm와 292nm에서 나타났다. 각각의 기험 hydrocarbon을 첨가한 배양약에서 각 분해균주를 배양시킴에 따라 253nm와 292nm의 peak가 감소하는 것으로 이들 균주에 의한 시험 hydrocarbon의 분해능이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 시험균주로부터 plasmid DNA를 조사한 결과 모두 plasmid를 함유하고 있어 hydrocarbon 분해유전자가 plasmid에 존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들 분해유전자의 유전적 특징을 규명하기 위한 curing test 나 transformation 과정에 필요한 marker를 찾아내기 위하여 몇가지 항생물질에 대한 저항성을 조사하였다.

  • PDF

토모테라피 Edge 모드를 이용한 임상적 유용성 고찰 (Dosimetric and clinical review on the application of TOMO_edge mode)

  • 김이지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7-182
    • /
    • 2014
  • 목 적 : 토모테라피(Tomotherapy)의 두 가지 빔 모드(fixed jaw, dynamic jaw)에 따른 선량 분포 특성과 치료 시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dynamic jaw(DJ)를 이용한 Tomo_edge 모드의 임상적 유용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토모테라피를 이용하여 치료받은 환자 7명을 대상으로 임상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fixed jaw(FJ)를 이용하여 치료 계획을 수립하였다. 각각의 환자에서 모두 동일한 선량계획조건을 부여하였고, 토모테라피의 치료계획 인자인 Modulation Factor(MF), Pitch를 동일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1) 동일한 조사면을 적용하고 FJ 와 DJ를 적용한 치료 계획을 비교하였다. 2) FJ를 적용한 치료 계획과 한 단계 큰 조사면과 DJ를 적용한 치료 계획을 비교하였다. 각 실험의 결과는 선량분포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종양체적 내 최소값(Dmin)과 선량 조형지수(CI=$V_{95%}$/TV)를 비교하고 표적을 포함한 조사영역 내 체적의 누적선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임상적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빔 조사시간과 MU의 증감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동일한 조사면을 적용하고 FJ와 DJ를 적용한 경우, $V_{75%}$은 1.04%, $V_{50%}$은 4.75% 감소하였고, $V_{25%}$은 7.6%, $V_{10%}$은 11.91% 감소하였다. FJ를 적용한 치료계획보다 한 단계 큰 조사면과 DJ를 적용한 경우에 Dmin은 0.72%, CI는 1.25% 줄어들었고, 동일 조사면을 적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V_{x%}$는 저선량 영역으로 갈수록 크게 감소하여 $V_{10%}$이 6.13%의 감소 값을 나타냈다. 빔 조사시간과 누적 MU는 동일 조사면 적용 시 각각 3.66%와 3.77%의 값으로 증가하였으나, 한 단계 큰 조사면을 적용한 경우, 빔 조사시간이 31.55%로 누적 MU는 32.28%으로 크게 감소하였음을 보여준다. 결 론 : 동일한 조사면을 사용하면서 DJ를 사용하는 경우, 표적의 선량분포를 거의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환자의 용적선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보다 큰 조사면을 사용하는 것과 동시에 DJ를 사용하는 경우는 일부 선량조형성의 저하를 나타내었으나 환자의 용적선량이 감소하고 치료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Tomo-edge 모드는 임상적으로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2,3-Dihydroxybiphenyl 1,2-Dioxygenase Gene (phnQ) of Pseudomonas sp. DJ77: Nucleotide Sequence, Enzyme Assay, and Comparison with Isofunctional Dioxygenases

  • Kim, Seong-Jae;Shin, Hee-Jung;Park, Yong-Chjun;Kim, Young-Soo;Min, Kyung-Hee;Kim, Young-Chang
    • BMB Reports
    • /
    • 제32권4호
    • /
    • pp.399-404
    • /
    • 1999
  • 2,3-Dihydroxybiphenyl 1,2-dioxygenase (2,3-DHBD), which catalyzes the ring meta-cleavage of 2,3-dihydroxybiphenyl, is encoded by the phnQ gene of biphenyl- and phenanthrene-degrading Pseudomonas sp. strain DJ77. We determined the nucleotide sequence of a DNA fragment of 1497 base pairs which included the phnQ gene. The fragment lncluded an open reading frame of 903 base pairs to accommodate the enzyme. The predicted amino acid sequence of the enzyme subunit consisted of 300 residues. In front of the gene, a sequence resembling an E. coli promoter was identified, which led to constitutive expression of the cloned gene in E. coli.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the PhnQ enzyme exhibited 85.6% identity with that of the corresponding enzyme in Sphingomonas yanoikuyae Q1 (formerly S. paucimobilis Q1) and 22.1% identity with that of catechol 1,2,3-dioxygenase from the same DJ77 strain. PhnQ showed broader substrate preference than previously-cloned PhnE, catechol 2,3-dioxygenase. Ten amino acid residues, considered to be important for the role of extradiol dioxygenases, were conserv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