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T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3초

채윤일의 고문연극 -이현화와의 만남을 중심으로- (Le théâtre de torture chez Chae yoon-il - à travers la rencontre avec Lee hyun-hwa-)

  • 이선형
    • 한국연극학
    • /
    • 제48호
    • /
    • pp.333-368
    • /
    • 2012
  • Dans l'histoire du $th{\acute{e}}{\hat{a}}tre$ $cor{\acute{e}}en$, la position de Chae yoon-il est $tr{\grave{e}}s$ $particuli{\grave{e}}re$. Il a $consacr{\acute{e}}$, dans ses $carri{\grave{e}}res$ de la mise en $sc{\grave{e}}ne$, toute son ${\acute{e}}nergie$ au $th{\acute{e}}{\hat{a}}tre$ sans jamais $fl{\acute{e}}chir$ contre le pouvoir dictatorial. Un critique a dit que son $th{\acute{e}}{\hat{a}}tre$ est semblable au $th{\acute{e}}{\hat{a}}tre$ de la $cruaut{\acute{e}}$. Pourtant, dans la mesure $o{\grave{u}}$ il respecte le texte dramatique, et que son $th{\acute{e}}{\hat{a}}tre$ a des tendances de la politique et qu'il oriente l'engagement du spectateur, il est certain que son $th{\acute{e}}{\hat{a}}tre$ est loin du $th{\acute{e}}{\hat{a}}tre$ de la $cruaut{\acute{e}}$. Ses $proc{\acute{e}}d{\acute{e}}s$ de la mise en $sc{\grave{e}}ne$ sont $tr{\grave{e}}s$ divers et il n'y a pas de $coh{\acute{e}}rences$ au niveau des styles dramatiques. $Malgr{\acute{e}}$ cela, nous pouvons trouver son $originalit{\acute{e}}$ de la mise en $sc{\grave{e}}ne$ dans la rencontre avec Lee hyun-wha. Le metteur en $sc{\grave{e}}ne$ ${\acute{e}}tablit$ son $esth{\acute{e}}tique$ $th{\acute{e}}{\hat{a}}trale$ en montant sur $sc{\grave{e}}ne$ de cinq $pi{\grave{e}}ces$ de Lee hyun-wha. Alors, en effet qu'est-ce que $l^{\prime}esth{\acute{e}}tique$ de la mise en $sc{\grave{e}}ne$ de Chae yoon-il produite par les ${\oe}uvres$ $th{\acute{e}}{\hat{a}}trales$ de Lee hyun-wha? Dans les $pi{\grave{e}}ces$ de Lee hyun-wha, il y a beaucoup de codes symboliques de la violence sexuelle comme le sadisme et le masochisme. L'implusion sexuelle $cach{\acute{e}}e$ dans le subconscient des personnages s'entrecroise avec le $m{\acute{e}}canisme$ du pouvoir politique. Alors, les abus sexuels et les mauvais traitements sur le corps deviennent une sorte de torture. L'expression cruelle des langages $sc{\acute{e}}niques$ n'est autre que la $r{\acute{e}}volte$ contre la $r{\acute{e}}alit{\acute{e}}$ actuelle de la politique. Son $th{\acute{e}}{\hat{a}}tre$ de torture est donc une sorte de $m{\acute{e}}canisme$ de la catharsis pour dissiper le cauchemar et l'inconscient noir. La fantasie sexuelle construite par le monde inconscient de l'auteur dramatique $s^{\prime}{\acute{e}}panouit$ dans le $th{\acute{e}}{\hat{a}}tre$ de Chae yoon-il qui $r{\hat{e}}ve$ toujours l'esprit de la $libert{\acute{e}}$. Une des convictions dramatiques du metteur en $sc{\grave{e}}ne$, c'est que le $th{\acute{e}}{\hat{a}}tre$ tout d'abord doit ${\hat{e}}tre$ choquant. Il dit : "l'art doit ${\hat{e}}tre$ ${\grave{a}}$ la fois ${\acute{e}}mouvant$ et bouleversant. Cependant, dans la mesure $o{\grave{u}}$ le film ou la $t{\acute{e}}l{\acute{e}}vivion$ fait aujourd'hui une vive impression aux spectateurs, la part $donn{\acute{e}}e$ au $th{\acute{e}}{\hat{a}}tre$ est le choc." Pour donner le choc aux spectateurs, le style de la torture est $tr{\grave{e}}s$ utile. $L^{\prime}esth{\acute{e}}tique$ $th{\acute{e}}{\hat{a}}tral$ du metteur en $sc{\grave{e}}ne$ respecte essentiellement l'intention de l'auteur. $N{\acute{e}}anmois$, le respect sur l'original ne se $d{\acute{e}}range$ pas $l^{\prime}interpr{\acute{e}}tation$ de son propre $id{\acute{e}}e$. Dans l'insistance de la torture, l'analyse rituelle sous la base du choc, il projecte le symbole $arch{\acute{e}}typal$ sur $sc{\grave{e}}ne$. Bien $s{\hat{u}}r$, il renforce le $caract{\grave{e}}re$ de la politique dans le $th{\acute{e}}{\hat{a}}tre$ de torture pour inviter des spectateurs de l'engagement. D'ailleurs, il y a l'aspect d'absurde dans le $th{\acute{e}}{\hat{a}}tre$ de torture qui insiste des violences ${\grave{a}}$ travers les langages $sc{\acute{e}}niques$ comme le $m{\acute{e}}tal$ froid, parce que le metteur en $sc{\grave{e}}ne$ $consid{\grave{e}}re$ que $l^{\prime}{\hat{e}}tre$ humain vit dans l'absurde.

도적지유탕이 궤양성 대장염 유발 흰쥐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Treatment Effect of Dojeckjiyu-tang for Ulcerative Colitis)

  • 김승욱;임성우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0-210
    • /
    • 2002
  • Objectives: Dojeckjiyu-tang has been used to treat Hwaseol & Jeokri. The object of this study is examination of the treatment effect of Dojeckjiyu-tang for ulcerative colitis of the mouse descending colon. Methods and Materials : Twenty-one ra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nd treated as follows: the control group was untreated mice. The UCE group was ulcerative colitis elicited mice. The DJT group was Dojeckjiyu-tang treated mice after ulcerative colitis elicitation. The groups were examined with common morphology, paneth cells in intestinal crypt, absorptive cells and goblet cells in epithelium, cell division in mucose, COX-1 as mucosal protector, COX-2 (which appear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inflammation), IL-2R-, ICMA-1-inducing cellular immuno-chainreaction, and the distribution of apoptotic cells. Results: 1. The morphology of colonic mucosa from UCE mice: the disappearance of epithelium and intestinal propria in hemorrhagic erosions were seen, but in the morphology of colonic mucosa from DJT-treated mice, the configuration of epithelium and intestinal propria were the same as normal. 2. The distribution of goblet cells and absorptive cells with microvilli in intestinal propria from UCE mice: a noticeable decrease of goblet cells and absorptive cells with microvilli were seen, but with the distribution of goblet cells and absorptive cells with microvilli in intestinal propria from DJT -treated mice, the configuration of goblet cells and absorptive cells with microvilli were the same as normal. 3.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 for BrdD in colonic mucosa and COX-1 in lamina propria from UCE mice: BrdU positive cells and COX-1 positive cells in the region of hemorrhagic erosion disappeared, but in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 for BrdU in colonic mucosa and COX-1 in lamina propria from DIT-treated mice, BrdU positive cells and COX-1 positive cells were seen. 4.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 for COX-2 in lamina propria, IL-2R-in lamina propria, intestinal propria and submucosa and ICMA-1 in intestinal propria and submucosa from DCE mice: a noticeable increase COX-2, IL-2R-, ICMA-1 positive cells were seen, but in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 for COX-2 in lamina propria, IL-2R-in lamina propria, intestinal propria and submucosa and ICMA-1 in intestinal propria and submucosa from DJT-treated mice, a numerical decrease of COX-2, IL-2R-, ICMA-1 positive cells was observed. 5. The distribution of apoptotic cells in epithelium and lamina propria from UCE mice: a noticeable increase of apoptotic cells in region of hemorrhagic erosion was seen, but in the distribution of apoptotic cells in epithelium and lamina propria from DJT-treated mice, a remarkable decrease of apoptotic cells was seen.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Dojeckjiyu-tang has a moderate effect on ulcerative colitis in descending colon.

  • PDF

인터넷 상에서의 윤리적 인지와 도덕적 행동 관련성 : 대학생의 도덕 판단력과 정보윤리 판단력, 인터넷윤리의식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Relationship of Ethics Consciousness in Internet and Moral Behavior : Analysis of The Relation among Moral Judgement, Information Ethics Judgement and Internet Ethics Consciousness of Undergraduate Students)

  • 장순선;이옥화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1-19
    • /
    • 2014
  • 현재 인터넷윤리교육은 통합적 도덕성을 바탕으로 한 윤리교육 모델에 기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즉 인지적인 영역과 행동적인 영역이 상관관계를 가지고 윤리적 인지가 도덕적 행동으로 실행될 것으로 기대한 학습모델이다. 그러나 인터넷윤리교육이 범국민적으로 추진되고 있지만, 정보화의 역기능으로 인한 문제는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인터넷윤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윤리적 인지와 도덕적 행동이 관련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현실에서의 도덕적 행동에 관한 측정 도구는 '도덕 판단력', 인터넷 상에서의 도덕적 행동은 '정보윤리 판단력', 인터넷에서의 윤리적 인지는 '인터넷윤리의식' 자가진단 도구를 사용하여 수준을 측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의 도덕 판단력과 정보윤리 판단력, 인터넷윤리의식 수준은 전반적으로 현저히 낮았다. 도덕 판단력과 정보윤리 판단력은 약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현실에서의 행동과 인터넷 상에서의 행동은 거의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윤리 판단력, 인터넷윤리의식 간에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즉 인터넷 상에서의 인지와 행동은 상관관계가 없으므로, 인터넷윤리교육은 윤리적인지가 윤리적 행동으로 이어진다는 이론에 근거한 윤리교육학습 모델과는 다른 교육모델을 기반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인터넷윤리교육은 윤리적 인식과 도덕적 행동을 각각 중요한 교수영역으로 다루어야 한다.

  • PDF

윤리교육이 간호사의 도덕판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ics Education on Nurse덕s Moral Judgement)

  • 김용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83-193
    • /
    • 2000
  • This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two different types of ethics education on the moral judgement of clinical nurses. One type was free discussions among nurses with given specific moral issues and the other type was discussions guided by experts on specific moral issues. The study employed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pre test-post test design using two different control groups.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study was derived from the Kohlberg′s Moral Development Theory (1969) and the Greipp′s Ethical Decision-Making Model (1992). The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period of October 14 through December 15, 1998. Sample consists of 32 nurses working in the ICU who met research criteria. 16 nurses were assigned to the free discussion group and 16 nurses to the group for the guided discussion with experts group. For the pre-test, the DIT which was developed by Rest (1984) and JAND by Ketefian (1998) were used with some modification by the author. After the education, only JAND was used to assess the changes in moral judgemen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using SPSS PC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Only difference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was that realistic score on Case 3/Medical Research and Autopsy was higher in the free discussion group. 2. Hypothesis 1: "There will be a difference on the moral judgement of nurses before and after they receive an ethics education". This hypothesis was supported partially. Those who had low scores on moral judgement before the education tended to have higher scores after the education on the same issues. And, after the education, the nurses tend to give lower scores on the dilemmas they had experienced frequently at work; while giving higher scores on those dilemmas they had no prior experience. 3. Hypothesis 2: "The effect of education may differ depended upon the moral development index [P(%)] score of nurses". The effect of education was different depend on moral development level. The group who′s P(%) scores was low at the pretest has higher scores in realistic moral judgement after the education, while the groups with middle or high P(%) scores went down after the education. These chang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ome cases, thus, the Hypothesis 2 was partially supported 4. Hypothesis 3: "The method of ethics education will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moral judgement of nurses". Even though several nurses attended the guided discussion stated that the education program broadend their perspectives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and this hypothesis was not supported. In conclusion, both types of ethics education had helped the nurses to acquire the skills to deal some nursing dilemmas. The effects of ethics education may differ according to the moral development index - P(%) score. However, because of some of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mainly small sample size, short term education, unable to control other variables which may affect moral judgement of nurses, further research is warranted.er research is warranted.

  • PDF

국내 연근해 및 환자로부터 분리된 vibrio vulnificus의 세균학적 특징

  • 신광훈;신영학;이종삼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29
    • /
    • 1992
  • 국내 연안의 어패류, 해구 및 환자 등으로부터 Vibrio vulnificus를 분리동정하여 생화학적 성상, 생장조건, 혈천형, 약제 감수성 시험 등 세균학적 특성을 밝혔다. V. vulnificus 균의 생화학적 성상은 유당을 발효(95%)하고 서당은 발효 (4%)않은 균주가 대부분이었으며, ornithine 발효능, gelatine 액화능, mannitol 분해능 등이 다른 연구자들과 동일한 결롸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 성상이 V. vulnivicus 동정에 그리 유용하지 않다. o 혈청형은 자연계 분리균주의 경우 o2 혈청형이 제일 많았고 (24%) 환자 분리균주의 경우 04 균(42%)이 제일 많았다. V. vulnificus 의 최적 생상조건은 염농도는 306%였고, 온도는 25-35.deg.C, pH는 8로 나타났다. V. vulnificus균은 chloramphenicol, erythromycin, tetracycline, ampicilin 에 높은 감수성을 지니고 있었고 gentamycin 에 대하여는 내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연계 분리균주가 환자 분리균주보다 이들 항생제에 더 높은 감수성을 지니고 있었다. chelating agent EDTA가 V. vulnificus에 대하여 생장억제효과가 있음이 밝혀졌으나 치사적으로 작용치는 않았다.

  • PDF

Hybrid type Na-air battery를 위한 촉매들의 제조 및 전극 계면 반응 성능 비교 (Preparation of Electrocatalysts and Comparison of Electrode Interface Reaction for Hybrid Type Na-air Battery)

  • 김경호
    • 접착 및 계면
    • /
    • 제22권1호
    • /
    • pp.1-7
    • /
    • 2021
  • 신재생 에너지 발전을 통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대용량 에너지 저장 장치의 중요성이 최근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차세대 이차 전지인 Na-air battery (NAB)는 풍부하고 저렴한 원재료를 통해 대용량을 구현할 수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ybrid type Na-air battery를 위한 활성탄 기반 촉매들을 제조하여 이들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자원 재활용의 관점에서 버려진 오렌지 껍질을 사용하여 활성탄(Orange-C)과 이를 질소를 이용하여 도핑한 활성탄(N-doped-Carbon, Nd-C)을 제조하였으며, 널리 사용되고 있는 Vulcan카본과 성능을 비교하였다. 또한, 제조한 활성탄(Nd-C)이 지지 촉매로 활용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수정된 폴리올법을 사용하여 Pt/C 촉매(homemade-Pt/C, HM-Pt/C)를 합성하였으며, 상용화된 Pt/C 촉매(Commercial Pt/C)와 전기화학적 성능을 비교하였다. 제조된 Orange-C와 Nd-C는 전형적인 H3 타입 BET isotherm을 보였으며, 이는 마이크로 기공과 메조기공이 존재한다는 증거이다. 또한, HM-Pt/C의 경우, 활성탄(Nd-C) 지지 촉매 위에 Pt 입자가 고르게 분포하고 있음을 TEM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HM-Pt/C 기반의 NAB의 경우, 1st galvanostatic charge-discharge 시험에서 가장 작은 Voltage gap (0.224V)과 우수한 Voltage efficiency (92.34%)를 보였다. 또한, 20사이클 동안 진행한 사이클 성능 시험에서도 가장 안정적인 성능을 보였다.

위치통사론을 통해 살펴 본 몇 가지 통사론의 본질적 문제 (Certains problemes fondamentaux de la syntaxe $reconsid{\acute{e}}r{\acute{e}}s$ du point de vue de la syntaxe positionnelle)

  • 임재호
    • 인문언어
    • /
    • 제7집
    • /
    • pp.271-289
    • /
    • 2005
  • Dans cet article, nous discutons de certains $probl{\grave{e}}mes$ syntaxiques en ayant recours $\grave{a}$ la $th{\acute{e}}orie$ linguistique de Milner. Nous remettons en question $l'ind{\acute{e}}pendance$ et $l'identit{\acute{e}}$ de la structure syntaxique, la relation entre le plan syntaxique et le plan lexical, le $caract{\grave{e}}re$ de la $g{\acute{e}}om{\acute{e}}trie$ de la syntaxe, etc.. La discussion est non seulement linguistique mais aussi interdisciplinaire et ${\acute{e}}pist{\acute{e}}mologique$, dans la mesure $o{\grave{u}}$ nous examinons la nature de $l'entit{\acute{e}}$ syntaxique et la $m{\acute{e}}thode$ "scientifique" de la syntaxe qui donne $acc{\grave{e}}s$ $\grave{a}$ $l'entit{\acute{e}}$ syntaxique. Selon Milner, il faut distinguer la place du terme lexical avec la position syntaxique qui est $l'entit{\acute{e}}$ syntaxique. La $premi{\grave{e}}re$ n'est pas syntaxique $\grave{a}$ strictement parler, mais elle, observable contrairement $\grave{a}$ la seconde, sert $\grave{a}$ conjecturer la dimension syntaxique, $c'est-\grave{a}-dire$ le $syst{\grave{e}}me$ positionnel. Le dispositif $th{\acute{e}}orique$ dans la $th{\acute{e}}orie$ linguistique de Milner n'est rien d'autre que l'ensemble des propositions qui permet, en absence d'observatoire, de conjecturer le $syst{\grave{e}}me$ positionnel sur la base du $syst{\grave{e}}me$ des places. Dire $l'ind{\acute{e}}pendance$ de la structure syntaxique revient $\grave{a}$ dire qu'il y a une coupure entre le $syst{\grave{e}}me$ positionnel et le $syst{\grave{e}}me$ des places. Autrement dit, sans cette coupure, on ne peut parler de $l'ind{\acute{e}}pendance$ de la structure syntaxique. Ainsi $distingu{\acute{e}}s$, les deux $syst{\grave{e}}mes$ en cause se mettent en relation soit naturels soit non naturels ou par distorsion $d'apr{\grave{e}}s$ Milner. La relation naturelle est une relation lexico-syntaxique $n{\acute{e}}e$ au moment $o{\grave{u}}$ un terme lexical occupe une position syntaxique dont la $cat{\acute{e}}gorie$ est identique $\grave{a}$ celle de son occupant. A la $diff{\acute{e}}rence$ de cette relation d'occupation naturelle $suppos{\acute{e}}e$ chez Milner comme une tendance du langage naturel, la relation d'occupation non naturelle est "paradoxale" dans le sens $o{\grave{u}}$ elle est produite dans la rencontre plus ou moins "anomale" entre l'occupant lexical et $l'occup{\acute{e}}$ syntaxique. Le $degr{\acute{e}}$ de l'anomalie qu'une langue autorise peut ${\hat{e}}tre$ $mesur{\acute{e}}$ empiriquement et doit ${\hat{e}}tre$ $vari{\acute{e}}$ en fonction de la langue $concern{\acute{e}}e$. Le $caract{\grave{e}re$ $g{\acute{e}}om{\acute{e}}trique$ de la syntaxe $am{\grave{e}}ne$ ${\grave{a}}$ remettre en cause, entre autres, $l'empiricit{\acute{e}}$ et la $mat{\acute{e}}rialit{\acute{e}}$ de la $g{\acute{e}}om{\acute{e}}trie$ syntaxique. En ce qui concerne ces sujets, nos $th{\grave{e}}ses$ sont les suivantes : la nature de la $g{\acute{e}}om{\acute{e}}trie$ syntaxique n'est pas a priori mais empirique ; la $g{\acute{e}}om{\acute{e}}trie$ de la syntaxe peut et doit ${\hat{e}}tre$ construite $\grave{a}$ l'aide de la logique "empirique".

  • PDF

당뇨 흰쥐에서의 참마 $H_2O$ 분획물과 Selenium 보충시 혈당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r $H_2O$ Fraction or Dioscorea japonica Thunb with selenium on plasma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 김명화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9호
    • /
    • pp.1377-1384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횐쥐에게 methanol로 추출하여 분획한 참마의 $H_2O$ 분획물을 경구투여하고 selenium은 식이로 보충하여 당뇨시 14일간 혈당과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당뇨대조군은 당뇨로 인한 대사상의 변화로 정상군과는 다른 대사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전 실험 기간 중 횐쥐의 체중변화는 정상군에 비해 당뇨실험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DJT-Se군에서 다른 당뇨실험군보다 적은 양의 체중감소를 보였다. 참마와 Se 보충식이에 따른 식이효율도 DJT-Se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지만 다른 당뇨실험군에 비해 높았다. 장기 의 무게를 체중 100g당으로 환산하였을 때 간장과 신장의 무게는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비대해졌으며 비장은 당뇨실험군 모두에서 정상군보다 무게가 낮게, 췌장은 높게 나타났다. 혈장 포도당 수준은 당뇨실험군 중 DJT-Se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인슐린의 함량 수준은 당뇨실험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DJT-Se군에서 약간 높았다. 혈장단백질 수준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당뇨실험군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혈장 지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혈장 cholesterol의 경우 당뇨대조군과 당뇨실험군 간의 큰 차이는 없었으나 당뇨실험군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HDL-cholesterol 수준은 모든 당뇨실험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중성지방의 경우는 DJT-Se군과 Se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유리지방산 함량은 정상군과 당뇨실험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ST와 ALT 활성도는 군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당뇨대조 군에 비해 DJT군에서는 유의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참마나 Se를 독립적으로 섭취하는 것 보다는 병용하여 보충하는 것이 항산화 작용의 상승효과를 보여주어 고혈당과 지방대사산물에 작용하여 혈당강하효과를 보일 것으로 생각된다. 참마의 혈당강하에 영향하는 생리활성성분과 Se보충에 의한 대사적인 변화에 대하여 더 구체적인 생화학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청소년의 가정환경과 도덕발달단계가 행동장애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AMILY ENVIRONMENT AND MORAL DEVELOPMENT TO CONDUCT DISORDER IN ADOLESCENTS)

  • 진태원;김사준;이흥표;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2호
    • /
    • pp.163-174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소년원군, 행동장애군, 일반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정상군을 대상으로 하여 가정환경과 도덕발달단계가 행동장애에 미치는 영향 및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DSM-III-R 기준에 따라 선별된 행동장애군 47명과 소년원군 173명 및 남녀 중고등학생 113명을 대상으로 가정환경설문과 주제정의검사설문을 실시하였다. 가정환경은 한국판 가정환경척도(신윤오와 조수철 1994)를 사용하였고 도덕발달단계는 Rest의 주제정의검사(문용린 1986)를 사용하였다. 또한 가정환경과 도덕발달의 행동장애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상관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시행하였으며 Scheffe test에 의한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1) 소년원군의 교육수준은 중학교 2, 3학년이 많았던 데 비하여 행동장애군에서는 고등학교 수준이 가장 많았다. 세 집단 모두 사회경제적 수준이 중류층이라고 지각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사회경제적 수준과 부모의 신체적 학대에 대한 지각에서도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소년원군에서 부모의 이혼이나 별거가 가장 많았으며 행동장애군에서도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특히 소년원군의 경우에는 영유아기와 초등학교의 어린 시기에 부모의 이혼과 별거를 경험하였다. 2) 가정환경요인의 비교결과 표현성, 독립성, 지적-문화적 추구, 도덕적-종교적 강조, 조직화 및 조절성 등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가족내 응집력은 정상군이 소년원군보다 높았으며 가족갈등은 소년원군과 행동장애군이 정상군보다 월등하게 많았다. 또한 성취 지향성이 소년원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던 반면 능동적 여가활용성에서는 정상군이 월등하게 낮았다. 3) 도덕적 발달단계를 비교한 결과, 소년원군과 행동장애군이 하위 도덕발달단계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소년원군의 반체제 지향성이 정상군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윤리와 도덕적 가치를 강조하는 가정환경과 청소년의 도덕성 발달간에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는 비행이 체벌이나 사회경제적 변인보다 부모의 이혼과 별거 등으로 인한 가족구조의 붕괴와 관련이 높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혼과 별거의 조기발생이 높을수록 비행에 일찍 노출될 가능성이 많았다. 또한 가족구성원간의 정서적 응집력과 가족구성원들의 충동 및 감정통제능력이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었다. 행동장애군과 소년원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학업부담과 성취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유희와 즉각적 욕구만족을 우선하는 경우가 많았고, 대개 도덕발달 수준이 낮았으며 사회적 규범에 대한 반항성이 정상군보다 높았다.

  • PDF

키르케고르: 죽음에 관한 진지한 사유와 죽음의 형이상학적 의미 (La pensée sérieuse sur la mort et le sens métaphysique sur la mort chez Kierkegaard)

  • 이명곤
    • 철학연구
    • /
    • 제131권
    • /
    • pp.303-330
    • /
    • 2014
  • 죽음에 대한 철학자들의 입장은 자신들의 세계관에 따라서 다양하게 달라지고 있다. 죽음을 무시함으로서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자 하기도 하며, 오히려 죽음에 대한 명상을 통해서 보다 진정한 삶을 살고자 하기도 한다. 키르케고르의 사상 안에서 죽음의 개념은 매우 중요한 키워드처럼 등장하는데, 이는 죽음이라는 주제를 통해서 보다 밀도 있고 진정한 삶을 말하고자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의 사상에서 죽음이란 세속적인 삶으로부터의 죽음 혹은 자기부정을 말하고 있다. 그 이유는 인간은 근원적으로 문제적인 존재임과 동시에 영원적인 것을 함께 지니고 있는 존재라는 그의 인간관 때문이다. 인간의 현재의 삶에 대한 절망은 영적인 죽음을 의미하는 '죽음에 이르는 병'에 이를 수도 있고, 또한 '자기부정'을 통해 단독자로서 절대자 앞에 나아갈 수도 있다. 인간이 자기부정을 통해서 진정 실존적으로 될 수 있는 것이 곧 '진지함'을 의미하는데, 진지함의 부재(不在)는 정신적 존재 혹은 영적인 존재로서의 '자기 자신'의 부재(不在)를 의미한다. '죽음에 대해 진지한 사유'란 죽음을 자신의 현존재의 일부처럼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사유를 의미하며, 이러한 '진지함'을 '영원과 맞닿아 있는 현실의 삶'이라는 '현재에 충실함'을 가능하게 하는 에너지원처럼 이해하고 있다. 이러한 죽음에 대한 그의 사유는 육체적인 죽음이 영원성으로서의 생명에 비하면 아주 사소한 일에 불과하고, 오히려 죽음 이후에 진정으로 의인들이 갈망하였던 그러한 삶이 충만하게 실현될 것이라는 종교적인 확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키르케고르의 사유는 죽음에 대한 '체험된 실재'라는 차원에서 '죽음에 대한 형이상학적 의미'를 말해주는 것이며, 또한 '철학이란 죽음을 배우는 것'이라는 고대철인들의 지혜를 그리스도교적 관점에서 해명하는 사유라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