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F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8초

정식 후 주야간온도차에 따른 착색단고추의 초기 생육 (Early Growth of Sweet Pepper by Difference between Day and Night Temperature after Planting)

  • 김호철;구양규;이용범;이정현;최준호;배종향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5호
    • /
    • pp.552-557
    • /
    • 2013
  • 본 연구는 고부가가치 작물인 착색단고추를 대상으로 정식 후 초기 생육에 대한 주야간온도차(DIF)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DIF는-6($20-26^{\circ}C$), 0($23^{\circ}C$), 3($24.5-21.5^{\circ}C$) 및 6($26-20^{\circ}C$)으로 처리하였다. 정식 후 10주 동안 DIF 3과 DIF 6 처리에서 DIF-6과 DIF 0 처리보다 생장 속도가 빨라 초장이 더 길었다. 주당 엽면적은 DIF 3 처리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정식 후 10주째에는 가장 넓었다. 주당 생체중은 DIF-6 처리에서 다른 처리들의 74-77% 수준으로 가장 낮았다. 건물중과 건물률은 DIF 0과 DIF 3 처리에서 DIF-6과 DIF 6 처리보다 높은 경향이었는데, 특히 DIF 6 처리에서는 정식 8주 후부터 건물률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정식 후 잎으로의 건물분배율은 DIF 0과 DIF 3 처리에서는 정식 6주 이후 10주째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한 반면 DIF-6과 DIF 6 처리에서는 정식 8주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리고 정식 후 10주 동안 모든 처리에서 잎으로의 건물분배율이 줄기보다 높았고, DIF가 높은 수준일수록 잎으로의 건물분배율은 낮아지고 줄기로의 건물분배율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착색단고추 재배 시 정식 후 초기에 주간온도와 야간온도 차이를 너무 크게 관리하면 생육이 저하되는데, 특히 주간보다 야간 온도를 높게 관리할 때에 더욱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야 온도차[DIF]와 시토키닌이 '캠벨얼리' 포도의 기내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 and Cytokinins on In Vitro Growth of 'Campbell Early' Crapes (Vitis spp.))

  • 김승희;김선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105-110
    • /
    • 2002
  • 포도 Campbell Early을 공시하여 기내 배양에 의한 대량 증식과 건전묘의 생산시 영향을 미치는 DIF조건과 cytokinin의 종류 (BA, TDZ, zeatin, 2iP, kinetin)및 농도의 최적 조건을 구명 하고자 수행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초생장은 0(25/2$^{\circ}C$)및 +7DIF(25/18$^{\circ}C$) 처리에서 좋았고. -7DIF(25/18$^{\circ}C$)에서는 생장이 전반적으로 나빴다. DIF 처리와 관계없이 BA와 TDZ 처리에서는 생장이 나빴으며 -7DIF 처리는 생육이 억제되었다. 분지수와 총절편체수도 모든 DIF 처리에서 신초 생장이 적었던 BA와 TDZ 처리에서 분지가 많았고, 총절편체수도 BA와 TDZ 처리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DIF와 상관없이 모든 zeatin과 kinetin 처리는 신초형성 효과는 없었고 오히려 억제적으로 작용하였다. 모든 DIF 처리구에서 주온과 야온에 상관없이 대조구와 같거나 약간 낮았다. 0DIF 처리에서 절간수가 증가하였으며 - 및 +7DIF 처리에서는 모든 시토키닌 처리구에서 0DIF 처리보다 낮은 결과를 보였다. 생체중은 0DIF 처리에서만 효과가 좋았으며 모든 DIF 처리의 대조구도 생체중이 상당히 낮았다. DIF 처리는 포도 기내배양의 생체중에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신초 생장과 관계가 깊은 것으로 추정된다.

주야간 온도차(DIF)에 따른 토마토 플러그묘의 생장과 정직후 생육 (Influences of DIF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Plug Seedlings of Lycopersicon esculentum before and after Transplanting)

  • 임기병;손기철;정재동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4-42
    • /
    • 1997
  • 미니 토마토 ‘미니 캐롤’ 품종의 플러그 육묘시 주야간 온도조합 처리에 의한 유묘의 절간신장 및 정식후 화아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묘의 초장신장에는 주간온도가 야간온도보다 크게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같은 일평균기온에서 +DIF가 -DIF보다 절간신장에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엽전개속도는 일평균기온이 증가할수록 빨라지는 경향이었으며, 묘의 충실도(건물중/초장) 지수는 일평균기온이 증가할수록 저하되었다. 제 1화방의 착생절위는 일평균기온이 16$^{\circ}C$에서는 정상적으로 화아분화 되었으나 일평균기온이 증가하면서 제 1화방 착생절위도 증가하여 28$^{\circ}C$에서는 16$^{\circ}C$에 비해 약 4마디가 지연되었다. 정식후 절간신장은 육묘시 절간장과는 상관없이 각 처리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마디수는 정식전의 마디수의 차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육묘시 -DIF 조건에서 초장이 억제된 묘라 할지라도 정식후 정상적인 생장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제 1화방의 착생절위는 일평균기온(16$^{\circ}C$)이 낮을수록 저절위(제9절)가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단고추(피망) 육묘시 주야간 온도차(DIF)가 플러그묘 생장과 정식후 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Difference between Day and Night Temperatures (DIF)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Bell Pepper Plants before and after Transplanting)

  • 임기병;손기철;정재동;김종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5-25
    • /
    • 1997
  • 피망(Capsicum annuum L.) 플러그 육묘시 초장 조절을 위해 주야간 온도차(DIF)에 따른 16조합 처리를 50일간 실시한 뒤 각각의 묘소질에 따른 정식후 생육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주야간 온도차 처리에 따른 피망 플러그묘의 초장은 주간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같은 일평균 온도에서는 -DIF에 의해 억제되고, +DIF에 의해 촉진되었다. 엽전개 속도는 DIF처리 효과보다는 일평균 온도에 의해 좌우되었고, 생체중 및 건물중은 일평균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야간온도에 비해 주간온도가 크게 영향을 미쳤다. 엽면적과 줄기직경은 주야간온도가 16$^{\circ}C$부터 24$^{\circ}C$로 증가할 때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감소하였다. 육묘시 온도처리에 따른 제 1번화의 착생 절위는 일평균 온도가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나 화뢰의 퇴화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피망육묘시 DIF를 조절하여 육묘시 초장조절이 가능하며 -DIF 처리로 초장이 억제된 유묘일지라도 정식후 +DIF 조건에서 재배함으로써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었다. 또한 엽전개 속도(생육속도)와 제 1번 화의 화아 분화도 일평균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조절이 가능하며, 적온 범위 내에서 일평균 온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화아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온도 및 光條件이 더덕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Light intensity on Growth and Yield of Condonopsis lanceolata)

  • 김학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92-396
    • /
    • 1997
  • 더덕재배의 기초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온도, 광(光)처리와 DIF처리를 행하였다. 지상부의 생육은 $20^{\circ}C$$25^{\circ}C$구에서 가장 좋았으며 차광처리에 의해 억제되었다. 지하부의 생체중은 $15^{\circ}C$에서 16.6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30^{\circ}C$구에서 가장 나빴지만 차광 처리에 의해 조금 비대해졌다. 일정온도 및 +DIF 처리구에서 초장은 더욱 신장하였고 엽장(葉長)과 엽폭(葉幅)은 일정온도 및 DIF처리에 의해 큰 영향이 없었다. 지하부의 생체중(生體重)은 $25^{\circ}C$의 일정 온도와 +DIF처리구에서 좋았으나 근(根)의 굵기는 모든 처리구에서 대차(大差)없이 5.3에서 7.2mm 범위였다.

  • PDF

비임균성 뇨도염 환자에서 Chlamydia trachomatis 검출방법에 관한 연구 (배양법, 효소면역법 및 직접면역형광법의 비교 관찰) (A Comparision of the Sensitivities of Culture, Chlamydiazyme and Direct Immunofluorescence Staining for Chlamydia trachomatis in Non-gonococcal Urethritis)

  • 최태열;김춘원;김중환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93-397
    • /
    • 1986
  • Chlamydia trachomatis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 in non-gonococcal urethritis. There are several diagnostic methods for Chlamydia trachomatis; culture method using McCoy cell, enzyme immunoassay and direct immunofluorescence staining etc. We have studied a sensitivities of culture, chlamydiazyme and direct immunofluorescence staining(DIF). 85 male patients previously conformed to non-gonococcal urethritis have been selected in this study. Three samples were concurrently collected in the same patient. First sample was used to inoculation in McCoy cell, 2'nd sample was used to Chlamydiazyme test and 3'rd sample was used to direct immunofluorescence staining method. The results are following. 1. All culture, Chlamydiazyme and DIF positive cases are 15/85(17.7%). 2. Culture and Chlamydiazyme positive but DIF negative cases absent. 3. Culture and DIF positive, but Chlamydiazyme negative cases are 2/85(2.4%). 4. Chlamydiazyme and DIF positive, but culture negative cases are 9/85(10.6%). 5. Culture positive, but Chlamydiazyme and DIF negative cases are 6/85(7.1%). 6. Chlamydiazyme positive, but culture and DIF negative cases are 7/85(8.2%). 7. DIF positive, but culture and Chlamydiazyme negative cases are 3/85(3.5%). 8. All culture, Chlamydiazyme and DIF negative cases are 43/85(50.1%). In summarized, anyone positive cases of culture, Chlamydiazymc and DIF are 42/85(49.9%).

  • PDF

Effects of damping ratio on dynamic increase factor in progressive collapse

  • Mashhadi, Javad;Saffari, Hamed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22권3호
    • /
    • pp.677-690
    • /
    • 2016
  • In this paper, the effect of damping ratio on nonlinear dynamic analysis response and dynamic increase factor (DIF) in nonlinear static analysis of structures against column removal are investigated and a modified empirical DIF is presented. To this end, series of low and mid-rise moment frame structures with different span lengths and number of storeys are designed and the effect of damping ratio in DIF is investigated, performing several nonlinear static and dynamic analyses. For each damping ratio, a nonlinear dynamic analysis and a step by step nonlinear static analysis are carried out and the modified empirical DIF formulas are deriv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 that DIF is decreased with increasing damping ratio. Finally, an empirical formula is recommended that relates to damping ratio. Therefore, the new modified DIF can be used with nonlinear static analysis instead of nonlinear dynamic analysis to assess the progressive collapse potential of moment frame buildings with different damping ratios.

상산(常山)이 Alzheimer's Disease 병태(病態) 모델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Dichroa febrifuga(DIF) Extract on the Alzheimer's Disease Model)

  • 이승희;정인철;이상룡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1-96
    • /
    • 2005
  •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chroa febrifuga(DIF) on the Alzheimer’s disease. The effects of DIF extract on $IL-1{\beta}$, IL-6, $TNF-{\alpha}$ mRNA of THP-1 cell treated by $A{\beta}$ plus LPS and amyloid precursor proteins(APP), acetylcholinesterase(AChE),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GFAP) mRNA of PC-12 cell treated by $A{\beta}$ plus $rIL-1{\beta}$ and AChE activity of PC-12 cell lysate treated by $A{\beta}$ plus $rIL-1{\beta}$ and behavior of memory deficit mice induced by scopolamine and mice glucose, uric acid, AChE activity of memory deficit rats induced by scopolamine were investigated,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DIF extract suppressed APP, AChE, GFAP mRNA in PC-12 cell treated by $A{\beta}$. 2. DIF extract suppressed $IL-1{\beta}$, IL-6, $TNF-{\alpha}$ mRNA in THP-1 cell treated by LPS. 3. DIF extract suppressed AChE activity in cell lysate of PC-12 cell treated by $A{\beta}$. 4. DIF extract increased glucose, decreased uric acid and AChE significantly in the serum of the memory deficit rats induced by scopolamine. 5. DIF extract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hibitory effect on the memory deficit of mice induced by scopolamine in the experiment of Morris water maze.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DIF extract might be usefully applie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and memory deficit.

  • PDF

혁신적 미래인터넷 설계를 위한 Recursive DIF 모델

  • 정희영;전우직
    • 정보와 통신
    • /
    • 제27권10호
    • /
    • pp.19-26
    • /
    • 2010
  • 본고에서는 미래인터넷에 대한 혁신적 설계의 필요성과 이러한 접근 방법의 하나로 최근에 제안되고 있는 방법의 하나인 R-DIF 모델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R-DIF 모델은 현 인터넷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제안되었으며, 메커니즘과 정책의 분리, 연결형과 비연결형의 통합, 토플로지 주소 기반의 새로운 네이밍/어드레싱 및 반복적인 DIF 구조 형성 등을 특징으로 한다.

Oral Lichen Planus and Oral Lichenoid Lesion: Diagnosis and Assessment of Direct Immunofluorescence

  • Lee, Kyung-Eu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1권3호
    • /
    • pp.91-98
    • /
    • 2016
  • Purpose: Oral lichen planus (OLP) has generated many discussions and been associated with much controversy for a long time. A reliable diagnosis of OLP has proven challenging and significant disagreements concerning its diagnosis has continue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pprehend newly proposed diagnostic criteria of OLP and oral lichenoid lesion (OLL) and to evaluate difference of final diagnosis of OLP and OLL in accordance with type of diagnostic criteria. Also, direct immunofluorescence (DIF) was compared to evaluate the value of DIF between two groups. Methods: Fifty-two patients with DIF result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selected patients were classified by the modified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iagnostic criteria of OLP and OLL and by criteria proposed by American Academy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AAOMP). Results of DIF in OLP and OLL were classified by deposition intensity or pattern of fibrinogen. The classification of fluorescence pattern in each specimen was graded as positive, possibly positive or negative. Results: Patients diagnosed as OLP were a few more when the modified WHO diagnostic criteria were used than when criteria proposed by AAOMP were used.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DIF between OLP and OLL by applying the WHO modification criteria or criteria proposed by AAOMP. Conclusions: The final diagnosis of OLP could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ype of diagnostic criteria and difference of DIF between OLP and OLL was not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