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HA supplementation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5초

장기간에 걸친 DHA 보충이 영아의 신체발육 및 두뇌발달에 미치는 영향 (Long-Term Effects of the DHA Supplementation on Physical and Brain Development in Full-Term Infants)

  • 정현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8호
    • /
    • pp.1295-1306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정상으로 출생한 영아를 대상으로 DHA가 첨가된 분유 및 이유식을 섭취시켰을 때 영아의 신체발육 및 두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영아의 체중, 신장, 체위 , 두위 등 신체 발육은 소 아발육 기준치의 50th percentile에 해당하였으며. 모두 정상범위에 속하였다. 2) 혈중 총 지방질 농도는 470.4~542.9mg/dl,중성 지방은 107.0c-128.8mg/dl,총콜레스테롤 147.6-169.Omg/dl, LDL-콜레스테롤은 74.7~104.9mg/dl로 모 두 정상범위에서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영아의 혈중 지방산 수준을 살펴본 결과 식이 섭취 에 따른 군간의 DHA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적혈구내의 D DHA는 Breast十DHA(+) 군에서 5.26%. DHA(+ 군에서 4.20%, Breast +DHA( -) 군에서 3.98%. 그리고 DHA(-) 군에서 2.85%로 섭취에 따라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AA는 7.1O~8.93의 수준으로 군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총 n-3계 지방산은 5.82~7.75%. 총 n-6계 지방산은 27.62~30.29%의 수준으로 역시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4) 영아의 두뇌 발달 생태를 flash VEP 검사를 통하여 실시한 결과 모든 군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자극에 대해 가장 빨리 반응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잠복기 $N_1$ 와 경우, 오른쪽 눈이 82.8~89.8ms, 왼쪽 눈이 84.8~94.4ms의 수준을 나타냈으며, 자극에 반응하는 증폭 $N_1-P_2$의 경우는 오른쪽 눈은 $-11.5~-18.3\mu\textrm{V}$, 왼쪽눈은 $-11.2~-19.1\mu\textrm{V}$, 의 수준을 나타냈다. 5) 생후 48주에 영아와 지능발달과 행동발달을 살펴 본 결과 지능 발달지수는 90.3~96.3로 정상수치라고 할 수 있는 $100\pm16$ 범위에 속하였다. 행동발달지수의 경우에도 93.9~101 수준으로 지능발달지수와 마찬가지로 정상범위에 속하였고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 PDF

Effects of simultaneous supplementation of laying hens with α-linolenic acid and eicosapentaenoic acid/docosahexaenoic acid resources on egg quality and n-3 fatty acid profile

  • Zhang, Pingping;Tang, Chuanqiu;Ding, Zongqing;Huang, Hui;Sun, Y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7호
    • /
    • pp.973-978
    • /
    • 2017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multaneous supplementation of laying hens with alpha-linolenic acid (ALA) resources (flax, perilla, and Eucommia ulmoides [E. ulmoides] seeds) and eicosapentaenoic acid/docosahexaenoic acid (EPA/DHA) resources (Schizochytrium sp.) on egg quality and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profile. Methods: Dietary treatments were as follows: i) diet C (control diet); ii) diet F (diet C+10% flaxseeds); iii) diet P, (diet C+10% perilla seeds); iv) diet E (diet C+10% E. ulmoides seeds); v) diet A (diet C+1.5% microalage); vi) diet AF (diet C+10% flaxseeds+1.5% microalage); vii) diet AP (diet C+10% perilla seeds+1.5% microalgae); viii) diet AE (diet C+10% E. ulmoides seeds+ 1.5% microalage). Results: Egg weight, yolk weight and production ratio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either algae or in combination with seeds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ALA and DHA concentration in eggs between flaxseed, perila, and E. ulmodies seeds supplementation alone (p>0.05). N-3 PUFA in eggs was slightly improved by microalgae supplementation. The best supplementation, a combination of microalgae and perilla seeds, elevated (p<0.05) ALA from 19.7 to 202.5 mg/egg and EPA+DHA from 27.5 to 159.7 mg/egg. Highest n-3 PUFA enrichment (379.6 mg/yolk) was observed with supplementation of a combination of perilla seed and microalgae (362.2 mg/yolk), followed by a combination of flaxseed and microalgae (348.4 mg/yolk). The ALA, EPA, and DHA content obtained with a combination of microalgae and seeds surpassed the total sum of that obtained with microalgae or ALA-seeds alone. Conclusion: It is feasible to enrich eggs with n-3 PUFAs by perilla or E. ulmodies seeds instead of flaxseeds. Simultaneous supplementation of microalgae and seeds helped improve the transfer from EPA and docosapentaenoic acid into DHA.

Fish Oil의 첨가가 한우 거세우의 육성성적, 배최장근의 지방산 조성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sh Oil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Fatty Acid Composition of Longissimus Muscl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Hanwoo Steers)

  • 박병기;신종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51-58
    • /
    • 2007
  • 본 연구는 fish oil의 첨가가 한우거세우의 증체, 배최장근의 지방산 조성 및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평균체중 440.8±32.4kg의 한우거세우 20두를 공시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fish oil을 첨가하지 않는 FO-0구와 fish oil을 3% 첨가하는 FO-3구의 2처리로 하였다. 총 증체량과 일당증체량은 fish oil의 첨가에 관계없이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Fish oil의 첨가는 배최장근의 단백질, 지방 및 회분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배최장근의 isoleucine 및 glycine 함량은 fish oil의 첨가로 감소되었으나(p<0.05), cystein 함량은 증가되었다(p<0.05). Fish oil의 첨가는 배최장근의 myristic acid 및 eicosenoic acid 함량은 감소시켰으나(p<0.05), oleic acid 및 arachidonic acid 함량은 증가시켰다(p<0.05). 또한 배최장근의 EPA 및 DHA 함량은 fish oil의 첨가로 증가되었다(p<0.05). 도체중,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육량지수 및 육량등급은 fish oil의 첨가에 관계없이 두 처리구간에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육색은 fish oil의 첨가로 개선되었으며 (p<0.05), 육질 1등급 이상 출현두수는 fish oil의 첨가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 한우거세우에 대한 fish oil의 첨가는 쇠고기의 지방산 중에서 풍미 및 기호성에 관여하는 oleic acid 함량, 인간의 건강과 관련이 있는 EPA 및 DHA 함량 및 육질 1등급 이상 출현두수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흰쥐에서 임신, 수유, 성장기 동안 DHA가 풍부한 어유의 섭취가 혈장, 간 및 뇌 조직의 지방산 조성과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HA rich fish oil supplementation during gestation, lactation, and growth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issues and learning abilities in rats)

  • 이주희;김지원;이홍미;최혜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대회초록집:노년기의 식사지침과 급식방향
    • /
    • pp.130-130
    • /
    • 1999
  • PDF

한국인 수유부에 어유의 보충 급여 효과에 관한 연구 -1. 수유부의 지방산 섭취, 혈장 지질 농도 및 혈장과 적혈구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에 미친 영향- (Effects of Fish Oil Supplementation to Korean Lactating Women -I. The Effects on Fatty Acid Composition, Plasma Lipid Concentr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sma Phospholipids and Erythrocyte of Lactating Women-)

  • 임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2호
    • /
    • pp.177-187
    • /
    • 1996
  • We studied the effects of fish oil supplementation with low does on the lipid concentration and fatty acid of plasma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sma phospholipid and erythrocyte of lactating women. The subjects, 18 lactating women, who were exclusively breast-fed their babies were classifed into a control group and 2 fish oil groups according to dose; the subjects of fish oil groups were supplemented with 1.96g/d or 3.92g/d of fish oil, respectively for 2 weeks from 10 to 12 weeks postpartum. All subjects consumed their usual diet at home. Blood sample were collected at the final day of experiment. The plasma HDL-cholesterol level increased significantly by fish oil supplementation. The concentrations of DHA (docesahexaenoic acid) and EPA (eicosapentaenoic acid) in the plasma PC(phosphatidylcholine) and PE (phosphatidylethanolamine)of fish oil groups tended to increase, but not significant. However, the concentrations of DHA and EPA of PC and PE in erythrocyte were not affected by fish oil supplement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fish oil supplementation with low dose does not change the concentration of plasma lipid as well as fatty acid composition in plasma PC and PE and red blood cell obviously. However the increase of plasma HDL-cholesterol level, the reduction of atherogenic index(AI) and the tendency of increase of DHA and EPA concentrations in plasma PC and PE indicate that there may be some beneficial effects on maternal lipid metabolism if fish oil intakes were increased.

  • PDF

육계에서 담수녹조류 Euglena 첨가사료가 생산성 및 흉근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Fresh Water Algae Euglena on the Performance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uscle of Broiler Chickens)

  • 최선우;백인기;박봉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73-281
    • /
    • 2004
  • 본 연구는 생물학적 탄산가스 고정화에 사용되는 Euglena를 단세포 단백 사료 자원으로 이용하고, DHA를 강화시킨 변종을 육계의 사료에 첨가하였을 때 그 이용성과 도체지방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1에서는 갓 부화한 육계병아리(Ross) 210수를 반복당 10수씩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에너지 함량과 조단백 질함량이 전기에는 3,150 kcaHg, $22\%$, 후기에는 3,200 kcal/kg, $19\%$가 되도록 한 대조구사료에 EG(Euglena gracilis Z.)를 0.25, 0.50, $1.0\%$ 첨가한 구와 EGBD(Euglen gracilis Z. bleached and DHA enriched)를 0.5, 1.0, $2.0\%$ 첨가한 구의 7처리구로 하였다. 시험 2에서는 육계병아리(Ross) 250수를 반복당 10수씩 5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 사료에 EGD(Euglena gracilis Z. DHA enriched)를 0.5, $1.0\%$ 첨가한 구와 EGBD를 0.5, $1.0\%$ 첨가한 구의 5처리구로 하였다. 사양시험은 5주간 실시하였고 매주 사료섭취량과 증체량, 사료요구율 및 폐사율을 측정하였다. 사양시험종료 후 대사시험을 실시하고, 가슴살을 채취하여 지방산을 분석하였다. 시험 1의 결과를 보면, 증체량은 시험 전 기간 동안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에 비해 Euglena 첨가구들이 좋은 경향이 있었다. 단백질의 이용율은 EG를 첨가한 구들이 EGBD를 첨가한 구들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다. 가슴살 내 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arachidonic acid가 $1.0\%$의 EG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EPA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EGBD를 첨가한 구들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HA는 $2.0\%$의 EGBB를 첨가한 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대조구를 포함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EGBD를 첨가한 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실험 2에서도 증체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사료요구율은 시험 전 기간동안 EGBD를 첨가한 구가 유의적으로 좋았다. 가슴살의 지방산 조성의 결과를 보면 linoleic acid는 대조구가 유의하게 높았다. EP4 DHA와 lignoceric acid는 모두 $1.0\%$의 EGBD를 첨가한 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Euglena를 첨가한 구들 모두가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그중 EGBD를 첨가한 구들이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Euglena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시험 2에선 EGBD의 첨가가 사료효율을 개선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DHA를 강화시킨 Euglena인 EGD나 EGBD의 첨가는 계육 내의 DHA를 비롯한 $\omega$-3 계열의 지방산의 수준을 높이는데, 특히 EGBD는 DHA 강화 효과가 높았다.

산란계에서 담수녹조류 Euglena의 첨가사료가 생산성 및 계란의 품질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Fresh Water Algae Euglena on the Performance and Egg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in Laying Hens)

  • 최선우;백인기;박봉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83-29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탄산가스 고정화에 사용되는 Euglena를 사료자원으로 이용하고, Euglena의 DHA를 강화시켜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하여 그 이용성과 난황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1에서는 32주령의 산란계(ISA-Brown) 280수를 7처리로 나누어 처리당 4반복으로 반복당 10수씩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에너지함량과 조단백질함량이 2,750 kcal/kg과$17\%$인 대조구 사료에 EG(Euglena gracilis Z.)를 0.25, 0.50, $1.0\%$ 첨가한구와 EGBD(Euglena gracilis B bleached and DHA enriched)를 0.5, 1.0, $2.0\%$ 첨가한 구의 7처리구로 하였다. 시험 2에서는 84주령의 산란계 300수를 5처리로 나누어 처리당 5반복으로 반복당 12수씩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사료에 EGBD를 $0.5\%$ 첨가한 구와 EGD(Euglena gracilis Z. DHA enriched)를 0.5, 1.0, $2.0\%$ 첨가한 구의 5처리구로 하였다. 두시험 모두 사양시험은 4주간 실시하였고, 시험기간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로이 섭취케 하고 정상적인 점등관리를 실시하였다. 시험 1의 결과를 보면,c일계산란율과 산란지수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난중은 시험사료 급여결과 $1.0\%$의 EG 첨가구가 가장 무거웠으며, 대조구가 가장 가벼웠다. 난황색은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EG를 첨가한 구들의 난황색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지방산 조성을 보면 $2.0\%$ EGBD 첨가구의 DHA와 EPA의 수준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arachidonic acid의 수준은 가장 낮았다. 시험 2에서도 일계 산란율과 산란지수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난중은 $0.5\%$의 EGD를 첨가한 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를 포함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EGD를 첨가한 구들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 지방산 조성의 결과를 보면 $2.0\%$ EGD 첨가구의 myristic acid, myristoleic acid와 pentadecanoic acid가 모두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DHA는 $0.5\%$%의 EGBD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EGD를 첨가한 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Euglena의 첨가는 산란계의 생산성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EG의 첨가가 난황색의 개선에 효과가 있었고, EG, EGD 그리고 ECBD 모두가 난중을 높여주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Euglena의 DHA를 강화시킨, EGD나 특히 EGBD의 첨가는 난황내의 DHA를 비롯한 $\omega%-3 계열의 지방산의 수준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라고 사료되어진다.

Serum level changes of long chain-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patients undergoing periodontal therapy combined with one year of omega-3 supplementation: a pilot randomized clinical trial

  • Martinez, Gisele Lago;Koury, Josely Correa;Martins, Marcela Anjos;Nogueira, Fernanda;Fischer, Ricardo Guimaraes;Gustafsson, Anders;Figueredo, Carlos Marcelo S.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4권4호
    • /
    • pp.169-177
    • /
    • 2014
  • Purpose: We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nonsurgical periodontal treatment combined with one-year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omega (${\omega}$)-3 on the serum levels of eicosapentaenoic acid (EPA), docosahexaenoic acid (DHA), docosapentaenoic acid (DPA), and arachidonic acid (AA). Methods: Fifteen patients with chronic generalized periodontitis were treated with scaling and root planing. The test group consisted of seven patients ($43.1{\pm}6.0$ years) supplemented with ${\omega}$-3, consisting of EPA plus DHA, three capsules, each of 300 mg of ${\omega}$-3 (180-mg EPA/120-mg DHA), for 12 months.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eight patients ($46.1{\pm}11.6$ years) that took a placebo capsule for 12 months. The periodontal examination and the serum levels of DPA, EPA, DHA, and AA were performed at baseline (T0), and 4 (T1), and 12 (T2) months after therapy. Results: In the test group, AA and DPA levels had been reduced significantly at T1 (P<0.05). AA and EPA levels had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at T2 (P<0.05). The ${\Delta}EP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est compared to the placebo group at T2-T0 (P=0.02). The AA/EPA had decreased significantly at T1 and T2 relative to baseline (P<0.05). Conclusions: Nonsurgical periodontal treatment combined with ${\omega}$-3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PA levels and decreased the AA/EPA ratio in serum after one year follow-up. However, no effect on the clinical outcome of periodontal therapy was observed.

The Plasma Fatty Acid Composition and Cholesterol Levels of Rates Fed Different Sources of $\omega$3 Fatty Acid and Excess DHA during Gestation, Lactation, and Growth

  • Lee, Hongmie;Lee, Juhee;Kim, Jiwon;Park, Haymi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70-175
    • /
    • 200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sources of $\omega$3 fatty acid in the diet with a similar polyunsaturated/saturated (P/S) fatty acid ratio and $\omega$6/$\omega$3 fatty acid ratio as well as excess DHA on the plasma fatty acid composition and cholesterol level of rats. Three experimental diets contained 10% (w/w) dietary lipids. The control diet and one treatment diet were corn oil-based diets with different $\omega$-3 fatty acid sources: perilla (CO) or fish oil (CF), respectively.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excess DHA, the other treatment diet (FO) was a fish oil-based diet with corn oil to supply essential fatty acids at the level of 1.8% (w/w) of the diet. Female Sprague Dawley rats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for 2 weeks prior to mating and throughout gestation and lactation. Pups were weaned to the same diet of dams at 21 days of age. Plasma fatty acid compositions and cholesterol contents were analyzed for pups at 3th, 7th and 10th week after birth. Plasma DHA concentrations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level of fish oil supplementation increased. Three-, seven- and ten-week old rats fed on CO diet which contained only $\alpha$-lino1enic acid as a $\omega$-3 fatty acid Source had Plasma DHA levels of 4.85%, 3.15% ana 2.47%,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rats at this period of development can convert $\alpha$-linolenic acid to DHA. But the ability to form DHA might be limited, since dietary DHA showed to be more effective in raising the plasma level of DHA.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HA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 of the rat plasma at 7th week (r=0.34, p<0.05) and l0th week after birth (r=036, p<0.05), proving the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DHA.

  • PDF

The Effects of Docosahexaenoic Acid Oil and Soybean Oil on the Expression of Lipid Metabolism Related mRNA in Pigs

  • Liu, B.H.;Wang, Y.C.;Kuo, C.F.;Cheng, W.M.;Shen, T.F.;Ding, Shih-Tor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0호
    • /
    • pp.1451-1456
    • /
    • 2005
  • To study the acute effect of dietary docosahexaenoic acid (DHA, $C_{22:6}$) on the expression of adipocyte determination and differentiation-dependent factor 1 (ADD1) mRNA in pig tissues, weaned, crossbred pigs (28 d of age) were fed with either 10% (on as-fed basis) tallow (high stearic acid), soybean oil (high linoleic acid), or high DHA algal oil for 2 d. The plasma and liver DHA reflected the composition of the diet. The adipose tissue and skeletal muscle DHA did not reflect the diet in the short term feeding.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diet containing 10% algal DHA oil significantly decreased the total plasma cholesterol (39%) and triacylglycerol (TG; 46%) in the pigs. Soybean oil significantly decreased plasma TG (13.7%; p<0.05), but did not have an effect on plasma cholesterol. The data indicate that different dietary fatty acid compositions have different effects on plasma lipids. The ADD1 mRNA was decreased (p<0.05) in the liver of DHA oil-treated pigs compared with the tallow-treated pigs. The diet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ADD1 mRNA in adipose tissue. Addition of algal DHA oil in the diet increased acyl CoA oxidase (ACO) mRNA concentration in the liver, suggesting that dietary DHA treatment increases peroxisomal fatty acid oxidation in the liver. However, dietary soybean oil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mRNA concentrations of ADD1 or ACO in the tissues of pigs. Because ADD1 increases the expression of genes associated with lipogenesis, and ACO is able to promote fatty acid oxidation, feeding DHA oil may change the utilization of fatty acids through changing the expression of ADD1 and ACO. Therefore, feeding pigs with high DHA may lead to lower body fat de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