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HA

검색결과 640건 처리시간 0.031초

DHA를 첨가한 마요네즈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DHA Added Mayonnaise)

  • 김재욱;심중환;김종수;한승수;유무영;허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9-183
    • /
    • 1996
  • 본 연구는 DHA를 첨가한 마요네즈와 첨가하지 않은 시판 마요네즈의 산화안정성을 비교하고, DHA를 첨가한 마요네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안정한 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온$(25^{\circ}C{\pm}1^{\circ}C)$에서 보관할 경우, DHA가 첨가된 시판 마요네즈는 DHA가 첨가되지 않은 시판 마요네즈보다 더 빨리 산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HA가 첨가된 마요네즈의 관능적인 품질은 제조일로부터 5개월 이후부터 현저히 감소되었다. 냉장온도$(4^{\circ}C{\pm}1^{\circ}C)$에서 보관할 경우에도, DHA를 첨가한 시판 마요네즈는 DHA가 첨가되지 않은 시판 마요네즈보다 더 빨리 산화되었다. 그러나, 두가지 마요네즈는 모두가 냉장조건에서 8개월 이내에는 외관상 및 관능상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요네즈가 상온에서 유통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할 때, DHA가 첨가된 시판 마요네즈는 DHA가 첨가되지 않은 시판 마요네즈보다 유통기한을 2내지 3개월 정도 단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사료의 EPA 및 DHA 필수성 (Essentiality of Dietary Eicosapentaenoic Acid and Docosahexaenoic Acid in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상민;이종윤;허성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12-726
    • /
    • 1994
  • 조피볼락 사료의 EPA 및 DHA 필수성과 적정 EPA/DHA 비를 구명하기 위해, 기본 지질을 우지로 하여 EPA와 DHA를 각각 $0{\sim}1.75\%$ 첨가한 사료와 EPA/DHA 비를 다르게 첨가한 사료 18종을 제조하여 조피볼락 치어(평균 체중 2.1 g)를 대상으로 5주간 사육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간증중율(EPA 사료: $2.39{\sim}3.66\%$, DHA 사료: $2.39{\sim}3.72\%$)과 사료효율(EPA 사료: $73{\sim}97\%$, DHA 사료: $73{\sim}100\%$)은 EPA 및 DHA 사료 모두 사회중의 함량 $1.0\%$까지만 증가하고 그 후에는 일정한 값을 나타내어, EPA 및 DHA 요구량이 모두 $1.0\%$로 추정되었다. 단백질축적효율(EPA 사료: $23.3{\sim}32.6\%$, DHA 사료: $23.3{\sim}35.9\%$)과 지질축적효율(EPA 사료: $82.2{\sim}109.5\%$, DHA 사료: $82.2{\sim}112.1\%$)도 사료의 EPA 또는 DHA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EPA 사료에서보다 DHA 사료에서 전반적으로 좋은 반응을 보였으며, EPA/DHA 사료에서도 EPA에 대한 DHA 비가 1.0 이상인 사료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전어체의 단백질 함량은 큰 변화가 없었지만 지질 함량은 사료의 EPA 및 DHA가 증가할수록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중량비는 사료의 EPA 및 DH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DHA 사료가 EPA 사료보다 대체로 낮은 값을 보였다. 사료의 EPA가 증가함에 따라 간 극성지질의 EPA ($0.4{\sim}4.3\%$) 함량은 증가하였으나DHA ($0.2{\sim}l.0\%$) 함량은 거의 증가하지 않았고, 사료의 DHA 증가와 더불어 간 극성지질의 DHA ($1.0{\sim}6.4\%$)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EPA ($0.2{\sim}0.5\%$) 함량은 증가하지 않았다. 반면, 간 비극성지질의 지방산조성은 사료 지방산조성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변화 폭이 적었다.

  • PDF

쥐에서 임신기, 수유기 및 이유후에 식이로 섭취한 어유가 뇌조직의 DHA 분포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Fish Oil at Different Life Cycle on the Incorporation of DHA into Brain in Rats)

  • 박기호;박현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7호
    • /
    • pp.1100-1111
    • /
    • 1998
  • The incorporation of docosahexaenoic acid(DHA) and arachidonic acid(AA) into brain and liver lipid has been compared in male pups from binth to 10 weeks old by feeding DHA-rich experimental diets or chow diets to dams from pregnancy in rats. The experimental DHA-rich diets contained 7g fish oil and 3g corn oil per 100g diet. There were three experimental groups, FO-I : Dams were fed DHA-rich diet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and their it pups fed the same diet until 10 weeks old. FO-II Dams fed chow diet during pregnancy and DHA-diet during lactation, and their pups fed the same DHA-diet until 10 weeks. FO-III : Dams fed chow diet during gestation and lactation, and then the pups fed DHA-diet after weaning. The relative % of DHA in hepatic lipid was about 12% with chow diets, but increased rapidly to 20-25% level when DHA-rich diets were supplied after weaning. The AA(%) of FO-III group was relatively high when a chow diet containing higher amount of linoleic acid was give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fter feeding on a DHA-rich diet. When the DHA-rich diet was supplied from pregnancy(FO-I), the relative % of DHA in brain lipid was 13.7% at birth and continuously increased to a maximum level(17.2%) at 3-weeks and then was sustained until 5 weeks old. Similar levels of DHA incorporation were observed when DHA-rich diet was supplied from lactation(FO-II). However, the pups of FO-III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DHA incorporation(72%) at birth. These livels slowly increased and reached an 87% level of FO-I at 10 weeks when the pups ate DHA-rich diets after weaning. The relative % of AA in brain lipid was 10.4% in the FO-I group at birth,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fter feeding DHA-rich diets in all groups. The Ah(%) level increased to maximum(11-12%) at 3-weeks and then was slightly reduced and was sustained at about 10% after S-weeks. Total amounts of DNA in the whole brain rapidly reached maximum level at 3-weeks and then was sustained at a constant level after S-weeks. DNA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at birth, but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O-I and FO-II groups than in FO-III group at 3-weeks. However, DNA content in FO-III group was continuously increased to 80% level of FO-I at 10-weeks after feeding DHA-rich diet since weaning. In conclusion, the DHA(%) in whole brain was most effectively deposited when DHA-rich diet had been supplied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in rats. However, DHA supplementation after weaning also improved the incorporaton of DHA into brain and content of DNA even though brain development was almost completed, which suggests that DHA supplementation might be necessary to improve brain development in humans during infancy as well as pregnancy and lactation. (Korean J Nutrition 31(7) 1100-1111, 1998)

  • PDF

필수 지방산 조성이 다른 식이의 docosahexaenoic acid 투여가 흰쥐 뇌 및 간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tment with Docosahexaenoic Acid into N-3 Fatty Acid Deficient and Adequate Diets on Rat Brain and Liver Fatty Acid Composition)

  • 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417-1423
    • /
    • 2009
  • 선행된 연구에서 나타난 n-3 지방산 결핍 식이에 DHA 첨가는 뇌 기능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나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에 DHA 첨가는 유의적 뇌 기능 향상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본 연구에서는 필수 지방산 함량이 다른 식이, 즉 n-3 지방산 결핍 및 적절군에 각각 DHA를 첨가하여 뇌 및 간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N-3 지방산이 결핍된 식이군(Def)의 체중 및 뇌의 무게는 DHA를 첨가한 식이군(Def+DHA)이나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군(Adq) 및 DHA 첨가군(Adq+DHA)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뇌의 지방산 조성 결과에서 n-6계 지방산들 중 특히 22:5n-6의 함량이 n-3 지방산 결핍군(Def)에서 현저히 높았으며 20:4n-6 및 22:4n-6의 함량도 이 식이군(Def)에서 높았으나 18:2n-6 및 20:3n-6의 함량은 낮았다(p<0.05). 총 n-3계 지방산 및 22:6n-3의 함량은 예상했듯이 n-3 지방산 결핍군(Def)에서 가장 낮았으며 다른 식이군들과 비교했을 때 약 64% 감소됨을 살펴볼 수가 있었다. 또한 n-6/n-3의 비도 n-3 지방산 결핍군(Def)에서 3.35로 식이군들 중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흥미로운 것은 n-3 지방산 결핍에 DHA를 첨가한 식이군(Def+DHA)의 경우, 뇌의 22:6n-3 함량이 13.1%로 n-3 지방산 적절군(Adq) 및 DHA 첨가군(Adq+DHA)과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간의 지방산 조성 결과에서 뇌의 지방산 조성과 유사하게 n-6 지방산들 중 특히 22:5n-6의 함량이 n-3 지방산 결핍군(Def)에서 현저히 높았으며(p<0.05), n-3 적절군(Adq)의 경우, DHA 첨가군(Adq+DHA)과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n-6계 지방산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N-3 결핍군에 DHA의 첨가군(Def+DHA)은 총 n-3계 지방산 및 22:6n-3의 함량이 n-3 결핍군(Def)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p<0.05). 특히 이 식이군(Def)의 22:6n-6의 함량은 n-3 적절군(Adq) 및 DHA 첨가군(Adq+DHA)보다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n-3 지방산이 결핍된 동물(Def)의 간에서 18:3n-3의 함량을 거의 찾을 수가 없었으나 DHA 첨가군(Def+DHA)의 경우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n-3 지방산 결핍군(Def)의 경우 거의 모든 18:3n-3가 생체 내에서 고도로 불포화된 지방산으로 전환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n-3 지방산이 결핍된 군의 경우 DHA 첨가로 인하여 뇌 DHA 함량 증가와 더불어 뇌 기능이 개선되었음을 살펴 볼수가 있었다. 반면 이미 뇌의 DHA가 포화상태인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의 경우 DHA의 부가적인 첨가는 뇌기능 향상면에서는 유의적 효과가 나타내지 않았음을 뇌의 지방산 조성으로 확인 할 수가 있었다.

DHA의 산화방지를 위한 Vitamin C/alginate Gel-entrapped Liposome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Vitamin-C/alginate Gel-entrapped Liposome for Resistance of DHA Autoxidation)

  • 한성철;허은정;김연주;이기영;김진철
    • KSBB Journal
    • /
    • 제18권3호
    • /
    • pp.229-233
    • /
    • 2003
  • PC 리포솜에 최대로 포함되는 DHA의 양은 PC : DHA의 비율이 1 : 0.8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적재 효율은 약 91 %였고 AVDL의 경우에는 약 17 %이었다. DHA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vitamin C/alginate 리포솜에 병합시킬 수 있었고 TEM을 통하여 제조된 다양한 리포솜의 형태와 크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TBARS 분석법에 의해 $40^{\circ}C$에서 DHA가 포함된 PC 리포솜과 AVDL에 포함된 DHA의 산화정도를 분석하였고, 결과적으로 자연 상태에서 리포솜에 포함된 DHA는 밀도가 높아질수록 산화에 안정하며, vitamin C를 포함한 alginate gel 리포솜은 DHA의 산화를 크게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VDL은 실험에서와 같은 산화조건에서 DHA의 산화를 초기 3일까지는 거의 완전히 억제하였고 그 이후에도 항산화 효과가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다랭이 안와조직으로부터 DHA의 추출 및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DHA from Skipjack Orbital Tissue Oil)

  • 정보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29-537
    • /
    • 1993
  • 가다랭이 안와유로부터 docosahexaenoic acid(DHA)를 정제하기 위해 기존의 방법들을 적용하여 비교 검토하고, DHA의 효과적인 정제를 위해 조작방법을 개량하였다. 가다랭이 안와조직의 총지질은 $55.4\%$였으며, 이 중 DHA는 $23.7\%$였다. 저온분별결정법과 요소결정법을 적용한 결과 순도에서 각각 약 $46\%$$61\%$의 DHA가 얻어졌다. 이들 방법들은 순도면에서는 다소 떨어지나, 정제조작이 단순하여 다량의 DHA 분리에 적합하였다. 질산은 수용액법은 상기 2가지 방법에 비하여 순도면에서는 약간 개선되었으나, 회수율이 대단히 낮았다($10\%$ 이하). 질산은 함침 실리카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은 고순도 DHA의 정제방법으로써 적합하였다(순도 $98\%$ 이상, 회수율 $90\%$ 이상). 결과적으로 저온분별결정법과 질산은 함침 실리카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조합한 개량법(2단계 정제법)이 가다랭이 안와유로부터 고순도 DHA($99.9\%$)의 정제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 PDF

Effects of Docosahexaenoic Acid on Neurotransmission

  • Tanaka, Kazuhiro;Farooqui, Akhlaq A.;Siddiqi, Nikhat J.;Alhomida, Abdullah S.;Ong, Wei-Yi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0권2호
    • /
    • pp.152-157
    • /
    • 2012
  • Docosahexaenoic acid (DHA) is the major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in the brain and a structural component of neuronal membranes. Changes in DHA content of neuronal membranes lead to functional changes in the activity of receptors and other proteins which might be associated with synaptic function. Accumulating evidence suggests the beneficial effects of dietary DHA supplementation on neurotransmission. This article reviews the beneficial effects of DHA on the brain; uptake, incorporation and release of DHA at synapses, effects of DHA on synapses, effects of DHA on neurotransmitters, DHA metabolites, and changes in DHA with age. Further studies to better understand the metabolome of DHA could result in more effective use of this molecule for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or neuropsychiatric diseases.

DHA와 EPA에 대한 초임계 유체의 분할추출 (Fractional Extraction of DHA and EPA by Supercritical Fluid)

  • 허병기;노덕우
    • KSBB Journal
    • /
    • 제14권6호
    • /
    • pp.655-660
    • /
    • 1999
  • 초임계유체를 사용하여 네 종류의 추출조건에서 EPA가 20%, DHA가 15%인 물고기 기름을 구성하는 지방산에스터의 혼합물에 대하여 네 단계 분할추출실험을 수행하여 분할단계별 extract와 raffinate내의 성분무게조성, 추출되는 양, 누적추출량의 변화특성을 규명하였다. 네 가지 추출조건중 온도 60$^{\circ}C$, 압력 101 bar, 유속 1.0 mL/min, 추출시간 50 min, 추출평형시간 15 min인 경우에 extract와 raffinate내로 DHA와 EPA가 분리 농축되는 경향이 가장 뚜렷하였다. 이 경우 네 번째 단계의 추출에서 extract내로 EPA가 50%까지 농축되었으며 raffinate내로 DHA가 40%까지 농축되었다. 이때 extract내로 추출되는 EPA의 양은 초기 주입양의 34%이였으며, raffinate내로 농축되는 DHA의 양은 초기 주입양의 73%이였다. 동일한 추출조건으로 DHA의 무게 조성이 34%인 혼합물은 네 단계 분할 추출한 경우 최종 단계의 raffinate내에 DHA가 70%이상으로 농축되었으며 그 양은 초기 주입양의 80%이상이었다.

  • PDF

종류가 다른 식용유지에 첨가된 고DHA(Docosahexaenoic Acid) 어유가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ocosahexanoic Acid-Rich Fish oil Added to Different Dietary Fats on Lipid Metabolism in Rat)

  • 이경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8권4호
    • /
    • pp.268-281
    • /
    • 1995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lucidate the effect of DHA-rich fish oil (DHA-rich oil) added to different dietary fats on lipid metabolism. Rats were fed perilla oil, sesame oil and beef tallow with or without DHA-rich oil for 12 weeks. The weight gain was higher in groups with DHA-rich oil than that of groups without DHA-rich oil, with DHA-rich oil, while weight of epididymal fat pad was lower in perilla oil and beef tallow groups with DHA-rich oil. The contents of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in plasma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fat types, but that of total and HDL cholesterol in plasma were higher in sesame oil group than perilla oil and beef tallow groups without DHA-rich oil. The contents of total lipid,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 cholestrol and LDL cholesterol in plasma were decreased by DHL-rich oil addition. The contents of total lipid,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the liver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fat type. The content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the liver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fat type. The contents of total lipid and TG in liver were not affected by DHA-rich oil addition while hepatic cholesterol increased by DHA-rich oil addition. The activities of glucose 6-phosphate dehydrogenase and malic enzyme were highest in beef tallow group without DHA-rich oil and decreased by DHA-rich oil addition. Peroxisomal ${\beta}$-oxidation had an inverse relationship against the activities of lipogenic enzymes. In conclusion, dietary DHA-rich oil decreased fat accumulation and had hypolipidemic effect, especially in beef tallow group. Also groups with DHA-rich oil showed more hypolipidemic effect than perilla oil group. And DHA-rich oil addition to diets resulted in increasing dietary n-3/n-6 ratio. Therefore increase in n-3/n-6 ratio as well as dietary DHA were considered to be responsible for the hypolipidemic effect resulted from DHA-rich oil addition.

  • PDF

장기간에 걸친 DHA 보충이 영아의 신체발육 및 두뇌발달에 미치는 영향 (Long-Term Effects of the DHA Supplementation on Physical and Brain Development in Full-Term Infants)

  • 정현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8호
    • /
    • pp.1295-1306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정상으로 출생한 영아를 대상으로 DHA가 첨가된 분유 및 이유식을 섭취시켰을 때 영아의 신체발육 및 두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영아의 체중, 신장, 체위 , 두위 등 신체 발육은 소 아발육 기준치의 50th percentile에 해당하였으며. 모두 정상범위에 속하였다. 2) 혈중 총 지방질 농도는 470.4~542.9mg/dl,중성 지방은 107.0c-128.8mg/dl,총콜레스테롤 147.6-169.Omg/dl, LDL-콜레스테롤은 74.7~104.9mg/dl로 모 두 정상범위에서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영아의 혈중 지방산 수준을 살펴본 결과 식이 섭취 에 따른 군간의 DHA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적혈구내의 D DHA는 Breast十DHA(+) 군에서 5.26%. DHA(+ 군에서 4.20%, Breast +DHA( -) 군에서 3.98%. 그리고 DHA(-) 군에서 2.85%로 섭취에 따라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AA는 7.1O~8.93의 수준으로 군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총 n-3계 지방산은 5.82~7.75%. 총 n-6계 지방산은 27.62~30.29%의 수준으로 역시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4) 영아의 두뇌 발달 생태를 flash VEP 검사를 통하여 실시한 결과 모든 군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자극에 대해 가장 빨리 반응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잠복기 $N_1$ 와 경우, 오른쪽 눈이 82.8~89.8ms, 왼쪽 눈이 84.8~94.4ms의 수준을 나타냈으며, 자극에 반응하는 증폭 $N_1-P_2$의 경우는 오른쪽 눈은 $-11.5~-18.3\mu\textrm{V}$, 왼쪽눈은 $-11.2~-19.1\mu\textrm{V}$, 의 수준을 나타냈다. 5) 생후 48주에 영아와 지능발달과 행동발달을 살펴 본 결과 지능 발달지수는 90.3~96.3로 정상수치라고 할 수 있는 $100\pm16$ 범위에 속하였다. 행동발달지수의 경우에도 93.9~101 수준으로 지능발달지수와 마찬가지로 정상범위에 속하였고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