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

검색결과 1,749건 처리시간 0.037초

공공삼각점 위치자료를 이용한 DEM의 위치 정확도 향상 (Accuracy Improvement of DEM Using Ground Coordinates Package)

  • 이효성;오재홍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67-575
    • /
    • 2021
  • 고해상도 스테레오 위성영상에서 제공되는 초기 RPC의 보정과 이로부터 생성된 DEM 보정을 위해서는 지상기준점 획득이 선행되어야 한다. 기준점 획득은 현장답사와 GPS 측량, 지상기준점에 대응하는 영상좌표 독취 등을 수행해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다. 그리고 접근이 힘들거나 불가능한 지역(갯벌, 극지대, 화산지대 등)에는 기준점 설치와 측정이 힘들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WorldView-2 위성영상과 초기 RPC로부터 제작된 DEM 보정을 위해 기준점의 지상좌표와 영상좌표 측량을 피하고 기 구축된 지상좌표 패키지만을 활용한 3차원 표면매칭 기법을 제안한다.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정보플랫폼에서 공공삼각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제작된 DEM과 3차원 표면매칭을 실시하여 DEM을 보정하였다. 3차원 표면매칭으로 얻은 3축 이동과 회전량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검사점으로 확인한 결과 평면오차는 2 m, 수직오차는 1 m 이내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DEM 해상도에 따른 홍수범람해석 검토 (A review of DEM resolution based on flood inundation analysis)

  • 임재덕;박수희;박찬희;유상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223-223
    • /
    • 2022
  • 최근 도시지역의 홍수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홍수방어대책이 중요해지고 있다. 제방 축조 및 배수시설 개선 등의 구조적 대책이 우선되어야 하나, 계획빈도 이상의 호우로 인한 피해 발생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비구조적 대책 또한 중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비구조적 대책 수립을 위해 하천 제방 붕괴로 인한 홍수범람 해석을 수행하였다. 도시지역의 홍수범람 해석은 일반적으로 확산형의 흐름 특성을 가져, 홍수의 잠재성이 크다고 판단되는 도시지역에 대해 확산형 범람 해석을 통해 홍수의 전파양상을 심층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Flumen 모형을 적용하였다. "홍수위험지도 작성에 관한 지침(2020, 환경부)"에서는 2차원(확산형) 홍수범람 분석시 LiDAR 기반 1m급 DEM 자료를 권장하고 있으나, 영산·섬진강권역(제주도 포함) 내 1m급 DEM 자료는 약 11,320km2가 구축되어 전체면적(17,756km2) 대비 64%만 구축되어 도시지역 전체 적용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과 농경지가 포함된 도시지역(농촌형 도심지역)을 대상으로 1m급 DEM과 5m급 DEM을 구분하여 2차원(확산형) 홍수범람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시지역으로는 지방하천 순천동천이 관류하는 순천시가지를 선정하였고, 농촌형 도심지역으로는 지방하천 광치천이 관류하는 남원시가지를 선정하였다. 2차원 홍수범람 해석을 위해 주요 지점별 파제 시나리오는 각 지구별 동일하게 작성하였으며, DEM 자료에 따른 검토 결과, 도시지역의 경우 지하차도 등과 같은 시설로 인한 차이가 발생하였으나, 농촌형 도시지역의 경우 DEM 해상도에 따른 침수양상 및 면적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검토되어 농촌형 도시지역의 경우 5m급 DEM 자료의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추후 전국 지방·도시하천에 대한 홍수위험지도 제작이 완료된다면 홍수로 인한 침수피해에 대해 사전에 대비하고, EAP, 재해지도 제작, 수해방지대책 수립 등 관련 계획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PDF

PC 기반 수치사진측량시스템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수치지도, DEM, 정사영상 제작을 중심으로- (A Study on Application of PC Based Digital Photogrammetric System - Focusing on Producing Digital Map, DEM and Orthophoto -)

  • 박병욱;서상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03-31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l/5,000 항공사진을 12000pi와 6000pi로 자동독취한 영상에 대하여 저가의 PC 기반 수치사진 측량시스템을 사용하여 수치지도, DEM, 정사영상 등의 제작을 수행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정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비숙련자가 PC 기반 수치사진측량시스템을 사용하여 12004pi의 항공사진영상을 도화한 결과, 등고선 삽입은 불가능하였지만 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l/l,000 수준의 수치지도 제작 가능성을 나타냈으며, 자동 DEM 제작에 있어서는 자동독취 해상도 및 격자간격이 DEM의 정확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있었다. 정사영상의 제작에 있어서는 DEM의 격자간격이 커질수록 정확도가 저하되지만 그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이보다는 원 영상의 자동독취 해상도가 정사영상의 품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동일한 검사점에 대하여 정사영상과 수치지도 제작 결과를 비교한 결과 정사영상의 정확도가 수치지도보다 더 좋게 나타나,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정사영상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민간 부문에서 항공사진영상과 PC 기반 수치사진측량시스템이 GIS분야의 자료 수정 및 갱신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M 해상도가 지반분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M Resolutions in Site Classification)

  • 강수영;김광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1-28
    • /
    • 2011
  • 지진, 산사태, 액상화 등으로 인한 지질재해 규모는 지역적 지반상태에 따라 크게 변화하므로, 지질재해예측시스템(Geologic Loss Estimation System)을 구축 운용하기 위해서는 연구대상 전 지역에 대한 지반분류 정보가 필요하다. 이는 GIS에서 지질도 또는 지형도 등을 이용한 간접적인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DEM에서 추출한 경사도는 지반분류 고려사항의 하나로 사용될 수 있고, 이때 DEM의 해상력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르게 산출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동남부 지역을 고해상도와 저해상도의 DEM으로부터 추출된 경사도를 토대로 지반분류한 결과, 두 해상도 간에 지반분류 C(매우 조밀한 토사 또는 연암) 지반과 E(연약한 토사) 지반의 면적에서 현저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지반분류 B(보통암)와 E 지역의 면적은 고해상도의 DEM을 바탕으로 구축한 지반분류도에서 크게 산출되었고, 지반분류 C와 D(단단한 토사) 지역의 면적은 저해상도의 DEM을 바탕으로 구축한 지반분류도에서 크게 산출되었다. GIS에서 다시 제작한 여러 개의 상이한 해상도의 DEM을 이용해 수행한 지반분류 결과에서도 같은 현상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에서 경사도를 지반분류 시 고려사항의 하나로 사용할 경우, 지형의 변화가 심하고 인구나 산업시설이 밀집된 재해 고위험군 지역은 고해상도의 지도를 이용하여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

지구통계학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수륙경계선 기반 간석지 DEM의 오차 분석 및 확률론적 침수 취약성 추정 (Error Analysis of Waterline-based DEM in Tidal Flats and Probabilistic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using Geostatistical Simulation)

  • 김예슬;박노욱;장동호;유희영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85-99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다중 시기 원격탐사 자료로부터 추출한 수륙경계선을 이용하여 제작된 간석지 수치표고모델(DEM)에 포함된 오차의 공간 분포 분석 및 침수 취약성 추정에 있다. 오차의 전역적인 통계값만을 제시했던 기존 연구와 달리, 이 연구에서는 지구통계학적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확률론적 관점에서 오차의 공간 분포를 정량적으로 해석하였다. 바람아래 간석지를 대상으로 2010년대 다중 시기 Landsat 자료로부터 추출된 수륙경계선과 보정 조위값을 이용하여 초기 DEM을 생성하였다. 현장 고도 측정 자료와 비교하였을 때, 생성된 DEM은 대체로 실제 고도를 저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이후 오차의 공간 자기상관성 정보를 기반으로 순차적 가우시안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다량의 대안적 오차 공간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이 오차 공간 분포도를 이용하여 오차가 보정된 대안적 DEM을 생성한 후에, IPCC SERS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에 따른 침수 취약성의 확률 분포도를 제작하였다. 지구통계학적 시뮬레이션 기반 오차분석 방법론은 오차 추정의 불확실성 및 오차 전파 문제를 확률론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적용한 오차 분석 방법론은 수륙경계선 기반 간석지 DEM의 오차 추정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주제도에 포함된 오차의 확률론적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M을 이용한 분체 유동 해석 (Analysis of Granular Flow Using DEM)

  • 사종엽;최정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8권3호
    • /
    • pp.256-264
    • /
    • 2004
  • The granular flow has been numerically studied by using DEM(Discrete Element Method). The eve교 particle is checked if it collides neighbor particles, and the next motion of the particle is predicted. The computing time has been drastically reduced by improving the collision check against neighboring particles. The comparison of the present method with ail experiment for the vibrating floor problem shows the good accuracy. The broken tower problem has been calculated to show the good comparison with the other computational result. This DEM(Discrete Element Method) can be a useful tool for constructing the constitute equation of the continuum approach of the granular flow.

GPS를 이용한 SPOT 영상의 GCP 및 DEM 정확도 평가 (A Study on the GCP and DEM Accuracy Evaluation of SPOT Image Using GPS)

  • 윤희천;이용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3-80
    • /
    • 2004
  • 본 연구는 GPS를 이용하여 위성 영상의 입체 해석으로 산출된 SPOT영상의 기준점 및 수치표고모델의 평가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삼각점 및 상시관측소를 고정으로 한 GPS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정지측량과 이동측량의 정확도를 비교함으로써 위성 영상의 기준점과 수치표고모델의 평가를 위한 측량 방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SPOT영상의 해상력을 고려할 때, SPOT 위성 영상의 입체 해석을 통하여 수치표고모델 제작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DEM interpolation using spectral information

  • Ji, J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99-302
    • /
    • 1999
  • Generation of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in remote sensing is an important application. The process of DEM generation often requires interpolation. This paper is aimed to introduce a class of interpolation algorithms using spectral information, which is widely used in geophysical applications, an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method to DEM interpolation. The interpolation process can be explained in two steps. The first step is for finding spectral information from the known data and the second step is finding missing data so as to follow the spectral trend found in the previous step. The interpolation algorithm has been tested for a real DEM data and problems in the DEM interpolation are discussed.

  • PDF

Lineament Extraction from DEM Using Raindrop Tracing Algorithm

  • Yun, Sang-h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90-295
    • /
    • 1999
  • Lineament extraction from mountain area often provides valuable geological information. In many cases, the lineaments correspond to a series of continuous large valleys. This paper introduces a new lineament extraction method from Digital Elevation Model (DEM) using Raindrop Tracing Algorithm (RTA). The main advantage of this algorithm over conventional Segment Tracing Algorithm (STA) is that it utilizes DEM directly unlike the STA Which utilizes the shaded relief of DEM. The RTA simulates the real life of raindrops that converge into a large valley. The simulation has been done by sprinkling the randomized raindrops over DEM and counting the number of raindrop path that follows the negative gradient of the DEM. The large counting number indicates the location of a big valley where the raindrops converge. With the help of the counting number array (accumulator array) recording the flowing path information, RTA can produce perfectly unbiased binary image of the lineament.

  • PDF

DEM축척에 따른 SPOT5영상의 정사보정 정확도 비교 (Comparison of SPOT5 Orthorectification Imagery Accuracy by DEM Scale)

  • 이종수;이상익;이우균;전성우;강병진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9-322
    • /
    • 2006
  • 2002년 5월 촬영이 시작된 SPOTS 영상은 공간해상도가 2.5mX2.5m로 고해상도이면서도 촬영폭이 광역적이어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SPOT5영상을 보다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단순 기하보정 보다는 높은 정확도를 얻을 수 있는 정사보정이 요구된다. 보정영상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지형, GCP, DEM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조건들은 동일하게 하고, 자료 구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DEM(수치표고모델)의 축척만을 달리하여 보정 영상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DEM의 축척 변화가 보정 영상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작업의 효율성을 고려할 경우에 소축척의 DE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