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pplication of PC Based Digital Photogrammetric System - Focusing on Producing Digital Map, DEM and Orthophoto -

PC 기반 수치사진측량시스템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수치지도, DEM, 정사영상 제작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Digital map, DEM and orthophoto were produced by using PC based digital photogrammetric system and aerial photo images that were obtained with scale of 1/5,000 and scanning density of 1200dpi and 600dpi, and the accuracies of these outputs were evaluated by various methods. Non-skilled operator produced digital map with PC based digital photogrammetric system and aerial photo images scanned by 1200dpi. The results showed that it was impossible to insert contour lines, but the rest elements could be drawn with the accuracy of 1/1,000. In automatic generation of DEM, scanning density of aerial photo and grid interval of DEM didn't affect the accuracy of DEM. In production of orthophoto, we could know that the larger grid interval of DEM, the lower accuracy of orthophoto, but scanning density of original image had more effect on quality of orthophoto. By the way, accuracy comparison between orthophoto and digital map with same check points showed that orthophoto was more accurate than digital map, and orthophoto could be used in more diverse areas. Hereafter in civilian part, aerial photo image and PC based digital photogrammetric system could make practical application of data correction and update in GIS.

본 연구에서는 l/5,000 항공사진을 12000pi와 6000pi로 자동독취한 영상에 대하여 저가의 PC 기반 수치사진 측량시스템을 사용하여 수치지도, DEM, 정사영상 등의 제작을 수행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정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비숙련자가 PC 기반 수치사진측량시스템을 사용하여 12004pi의 항공사진영상을 도화한 결과, 등고선 삽입은 불가능하였지만 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l/l,000 수준의 수치지도 제작 가능성을 나타냈으며, 자동 DEM 제작에 있어서는 자동독취 해상도 및 격자간격이 DEM의 정확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있었다. 정사영상의 제작에 있어서는 DEM의 격자간격이 커질수록 정확도가 저하되지만 그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이보다는 원 영상의 자동독취 해상도가 정사영상의 품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동일한 검사점에 대하여 정사영상과 수치지도 제작 결과를 비교한 결과 정사영상의 정확도가 수치지도보다 더 좋게 나타나,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정사영상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민간 부문에서 항공사진영상과 PC 기반 수치사진측량시스템이 GIS분야의 자료 수정 및 갱신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감래,황보상원,임건혁,박세진 (2004),항공사진에 의한 수변 구역 수치정사영상지적도 제작에 관한 연구,한국측량학회지,제22권,제4호,pp. 349-357
  2. 박병욱 (1991),SPOT 위성데이타를 이용한 수치표고모델 생성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박병욱,김상수,최윤수,차영수 (1999),지적분야에서의 수치정사사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한국측지학회지,제17권,제3호,pp. 233-243
  4. 박병욱,이대근,양경주 (2003),시설물 현황도 작성을 위한 GPS와 토털스테이션 측량의 적용 및 성과분석,한국측량학회지,제21권,제4호 pp. 373-381
  5. 안철호,연상호,박병욱,이병길 (1992),인공위성 데이타를 이용한 정사투영사진 제작에 관한 연구,한국측지학회지,제10권,제1호,pp. 1-7
  6. 유복모, 토니쉥크 (2003),현대 디지털 사진 측량학,피어슨 에듀케이션 코리아, pp. 4-7
  7. 이현직,박경식,구대성 (2002),항공사진영상 데이터베이스의 활용방안,대한토목학회논문집,제22권,제2-D호,pp. 313-321
  8. 이현직,이승호,박홍기 (2000),영상데이타베이스 구축을 위한 항공사진의 최적해상도,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논문집,제8권,제2호,pp. 89-99
  9. 이현직,정수,이승호 (1999),수치사진측량시스템 환경에서의 수치지도의 수정 및 갱신,한국측량학회지,제17권,제4호,pp. 359-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