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CA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8초

DCA-MOD 법에 의한 High $J_c$ YBCO 박막의 제조 (The Preparation of High $J_c$ YBCO Films by DCA-MOD Method)

  • 김병주;김혜진;이금영;이종범;김호진;이희균;홍계원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제8권1호
    • /
    • pp.59-64
    • /
    • 2006
  • High $J_c\;YBa_2Cu_3O_x$ superconducting films were fabricated by MOD method using fluorine-free dichloroacetic acid(DCA) as chelating solvent for preparing precursor solution. Coating solutions were prepared by dissolving Y-, Ba- and Cu-acetates in DCA solvent followed by drying in rota vapor to obtain the blue gel that is diluted in methanol and 2-methoxyethanol for adjusting the cation concentration. DCA-MOD precursor solution was coated on a single crystal(001) $LaAlO_3(LAO)$ substrate by a dip coating method with a speed of 25 mm/min. Coated films were calcined at lower temperature up to $500^{\circ}C$ in flowing oxygen atmosphere with a 7.2% humidity. Conversion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various temperatures of $780{\sim}810^{\circ}C$ for 2 h in flowing Ar gas containing 1000 ppm oxygen with a humidity of 9.45%. SEM observations showed that films have very dense microstructures for the films prepared at the temperature higher than $800^{\circ}C$ regardless of diluting solvent; methanol or 2-methoxyethanol. X-ray diffraction analysis showed that YBCO grains grew with a (001) preferred orientation. A High critical current density($J_c$) of 1.28 $MA/cm^2$(@77 K and self-field) was obtained id. the YBCO film prepared using 2-methoxyethanol as a solvent.

  • PDF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듀티사이클 조절을 통한 혼잡 제어 기법 (A Congestion Control Scheme Using Duty-Cycle Adjustment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이동호;정광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1B호
    • /
    • pp.154-161
    • /
    • 2010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다대일로 수렴하는 상향 트래픽의 특성으로 인해 네트워크의 혼잡이 빈번히 발생한다. 기존에 제안된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혼잡 제어 기법은 혼잡 발생 시 전송 주기 변경을 통해 혼잡을 회피할 수 있으나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의 듀티사이클 동작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혼잡 제어를 위하여 네트워크의 트래픽에 따라 센서 노드의 듀티사이클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는 DCA(Duty-cycle Based Congestion Avoidance) 기법을 제안하였다. DCA 기법은 듀티사이클 조절을 이용하여 혼잡 발생 시 수신 노드의 패킷 수신율 증가를 통한 리소스 제어를 수행하고 송신 노드의 패킷 전송률 감소인 트래픽 제어를 수행하여 혼잡을 회피한다. 실험을 통해 DCA 기법은 듀티사이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성으로 동작하며 혼잡 제어로 인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향링크 셀룰러 시스템에서 그룹 탐색 기반의 분산동적채널할당 방법 (A Group Search-based Distributed Dynamic Channel Allocation Algorithm in Uplink Cellular System)

  • 유도경;김동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07-413
    • /
    • 2010
  • 주파수 재사용률 1을 사용하는 상향링크 셀룰러 시스템의 동적채널할당 (DCA : Dynamic Channel Allocation) 방법에서는 신규호가 채널 할당을 요구할 때 신규호의 SINR (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이 요구된 SINR 보다 작거나 할당할 채널이 부족한 경우에 신규호 차단이 발생한다. 이러한 차단된 신규호에 대한 추가적인 채널할당을 위하여 인접한 셀에서 채널을 가져오게 된다. 이 경우에 동일 채널 간섭 (CCI: Co-Channel Interference)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기존 호의 SINR이 저하되어 기존 호에 대한 채널 재할당을 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신규호 블록율이 증가할수록 인접한 셀에서 채널을 가져오는 경우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채널 재할당 과정은 복잡한 연산과정이 필요한 NP-hard 문제가 된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차단된 신규호를 감소시킴으로써 추가적인 채널할당을 위하여 인접한 셀에서 채널을 가져오는 횟수를 감소시키고 그 결과로 채널 재할당 횟수가 감소되어 복잡한 연산과정을 피할 수 있는 Group Search-based DCA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신규호의 차단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신규호에 대한 채널할당시 단말이 속해 있는 셀뿐만 아니라 그 주변의 셀까지를 한 그룹으로 묶어서 채널 탐색 범위를 확장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제안한 Group Search-based DCA가 탐색 범위를 단말이 속한 셀로 한정하는 Single Search-based DCA보다 신규호 차단률과 시스템 수율 성능을 향상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릉(光陵) 삼림(森林)의 식물군집구조(植物群集構造)(II) -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방법에 의한 죽엽산지역(竹葉山地域)의 식생분석(植生分析) -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in Kwangnung Forest(II) -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y in Mt. Jookyup by the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 -)

  • 이경재;최송현;조재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214-223
    • /
    • 1992
  • 경기도(京畿道) 광릉(光陵) 죽엽산(竹葉山) 삼림(森林)의 식물군집구조분석(植物群集構造分析)을 위하여 37개소에 조사지(調査地)(1개 조사지당 $10m{\times}10m$ 방형구(方形區) 5개씩을 설치)를 설정하고 식생조사(植生調査)를 실시하여 얻어진 자료에 대해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과 2종류의 ordination(RA, DCA) 방법을 적용하였다. Classification에 의하면 소나무 군집, 소나무-서어나무 군집, 신갈나무-서어나무, 신갈나무-서어나무-갈참나무 군집, 혼효림(混淆林) 군집의 5개 집단으로 조사지가 분리되었다. Ordination에 의한 조사지 분석에서는 DCA가 RA보다 효과적이었으며 5개 집단으로 분리되었다. 종에 대한 두 기법분석에 의해 추정된 천이과정(遷移過程)은 교목상층(喬木上層)에서 소나무${\rightarrow}$서어나무와 소나무${\rightarrow}$신갈나무${\rightarrow}$서어나무의 2가지로 추정되었으며, 교목하층(喬木下層) 및 관목층(灌木層)은 진달래${\rightarrow}$생강나무, 노린재나무, 덜꿩나무, 쪽동백나무${\rightarrow}$회나무, 팥배나무 순이었다. 환경인자(環境因子)의 ordination분석에 의하면 소나무 군집에서 신갈나무, 참나무류 군집으로 갈수록 토양산도, 전질소함량, 치환성 칼륨,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등의 토양성질(土壤性質)들이 양호하여졌다. 소나무와 서어나무는 신갈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와 상이(相異)한 niche에 존재하였다.

  • PDF

Propanil (3',4'-dichloropropionanilide)의 용액중(溶液中) 환경조건(環境條件)에 따른 분해양상(分解樣相) (Degradation Pattern of Propanil (3',4'-dichloropropionanilide) as affected by Environmental Condition of Solution)

  • 신윤교;김장억;홍종욱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5권
    • /
    • pp.33-39
    • /
    • 1987
  • 제초제(除草劑) propanil 이 용액(溶液) 내(內)에서 분해(分解)되는 양상(樣相)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propanil의 분해(分解)에 관여(關與)하는 온도(溫度), pH 및 자외선(紫外線) 조사(照射) 등(等) 환경요인(環境要因)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온도(溫度)가 높을수록 propanil의 분해(分解)가 빨랐으며, 원제(原劑)보다 제품(製品)의 분해(分解)가 다소 빨랐다. 띠라서 분해산물(分解産物)인 DCA의 생성량(生成量)은 온도(溫度)가 높을수록 증(增)가하였으며, 증가(增加)된 DCA는 일정기간(一定其間) 후(後) TCAB로 축합(縮合)되었기 때문에 오히려 감소(減少)하였다. 그러나, 축합(縮合)된 TCAB는 증가(增加) 후(後) 더 이상 분해(分解)되지 않고 일정량(一定量)을 유지(維持)하였다. Propanil은 알칼리성(性) 용액(溶液)에서 빨리 가수분해(加水分解)되었으며, 또한 강산(强酸)에서도 빨리 분해(分解)되었다. 그러므로 분해산물(分解産物)인 DCA는 강산(强酸)이나 강(强)알칼리 조건(條件)에서 그 생성(生成)이 빨랐고, TCAB로도 빨리 축합(縮合)되었다. 자외선(紫外線) 조사(照射)에 의(依)하여 20분(分) 이내(以內)에 90%이상(以上)의 propanil이 분해(分解)되었으며, 10분(分) 후(後)에는 0.3 ppm의 DCA가 생성(生成)되어 조사시간(照射時間)을 통(通)하여 거의 일정(一定)한 양(量)을 나타냈다.

  • PDF

제초제(除草劑) Propanil의 용액중(溶液中) 분해산물(分解産物)의 분리(分離) 및 동정(同定)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Degradation products of Herbicide Propanil in Solution)

  • 김장억;신윤교;홍종욱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5권
    • /
    • pp.27-32
    • /
    • 1987
  • 용액중(溶液中) propanil 분해산물(分解産物)의 분리(分離) 및 동정(同定)을 위해서 2000ppm으로 처리(處理)한 후 2주(週) 간격(間隔)으로 12주(週)까지 일정(一定)한 온도(溫度)로 유지(維持)시키면서 주분해산물(主分解産物)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추출(抽出)한 혼합물(混合物)로부터 benzene을 전개용매(展開溶媒)로 한 TLC에서 분해산물(分解産物)인 DCA와 TCAB를 Rf치(値) 0.65와 0.94에서 분리(分離)할 수 있었다. GC분석(分析)은 column 온도(溫度) $200^{\circ}C$에서 분리(分離)가 가능(可能)하지만 정량적(定量的) 분석(分析)에서 DCA는 $140^{\circ}C$, TCAB는 $250^{\circ}C$로 달리하여 분해경로(分解經路)를 조사(調査)하였다. IR spectrum에서 $3400cm^{-1}$$800cm^{-1}$의 흡수(吸收) band에 의(依)해 DCA의 작용기(作用基)가 결정(決定)되었다. NMR spectrum에서 $6.7{\delta}$$3.7{\delta}$의 peak는 DCA의proton과 일치(一致)하였다. 이와 같이 용액중(溶液中) 혼합추출물(混合抽出物)로부터propanil의 주분해산물(主分解産物)을 TLC로 분리(分離)하여 GC, IR, NMR로 동정(同定)한결과 propanil은 용액(溶液) 내(內)에서 DCA를 거쳐서 TCAB로 분해(分解)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영향도에 기초한 의사결정유형분석 구현을 위한 신경망 응용 (Applied Neural Net to Implementation of Influence Diagram Model Based Decision Class Analysis)

  • 박경삼;김재경;윤형재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7권1호
    • /
    • pp.99-111
    • /
    • 1997
  • This paper presents an application of an artificial neural net to the implementation of decision class analysis (DCA), together with the generation of a decision model influence diagram. The diagram is well-known as a good tool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of complex decision problems. Generating influence diagram model is known to in practice require much time and effort, and the resulting model can be generally applicable to only a specific decision problem.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of modeling decision problems, the concept of DCA is introduced. DCA treats a set of decision problems having some degree of similarityz as a single unit. We propose a method utilizing a feedforward neural net with supervised learning rule to develop DCA based on influence diagram, which method consists of two phases: Phase l is to search for relevant chance and value nodes of an individual influence diagram from given decision and specific situations and Phase II elicits arcs among the nodes in the diagram. We also examine the results of neural net simulation with an example of a class of decision problems.

  • PDF

낙동정맥 가지산~능동산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Gajisan to Neungdongsan in the Nakdong-jeongmaek)

  • 김동필;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9-287
    • /
    • 2004
  • 낙동정맥의 가지산~능동산 구간 능선부 주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10개 조사지에 50개 조사구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Ordination기법 중 DCA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락의 종조성이 유사하여 연속적으로 나타났다. 각 조사지별로 식생구조를 분석한 결과 능선부의 주요 식생은 교목층에서 떡갈나무, 소나무 신갈나무이고 아교목층에서는 철쭉꽃, 관목층에서는 미역줄나무였다. 단위면적당(500㎥) 종다양도는 1.5315~2.4005였으며, 연륜분석결과 약 30~40년생 숲으로 밝혀졌다.

설악산 국립공원 주전골계곡 식물군집구조분석 (Plant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in Jujeongol Valley of Soraksan National Park)

  • 이경재;민성환;한봉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83-296
    • /
    • 1997
  • 계곡부 산림의 군집구조를 분석하여 국립공원 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설악산 국립공원의 주전골계곡지역에 50개의 조사구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대상으로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과 DCA ordination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TWINSPAN과 DCA분석결과 군집은 신갈나무-굴참나무-소나무군집(군집 I), 소나무군집(군집 II), 서어나무군집(군집 III), 졸참나무군집(군집 IV)으로 분리되었다. 군집의 생태적 천이단계는 신갈나무-굴참나무-소나무군집과 소나무군집의 경우 소나무$\$\longrightarrow$ $신갈나무군집, 졸참나무군집의 경우 졸참나무$\$\longrightarrow$ $서어나무군집으로 추정되었으며, 서어나무군집은 계속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