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Gajisan to Neungdongsan in the Nakdong-jeongmaek  

Kim Dong-Pil (밀양대학교 조경학과)
Choi Song-Hyun (밀양대학교 조경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v.18, no.3, 2004 , pp. 279-28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section of Nakdong-jeongmaek from Gajisan to Neungdongsan, fifty plots of 100$m^2$ at ten locations were set up.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of DCA(detrended correspondance analysis), which is an ordination technique, the sites were chosen contiguously with each other. The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showed Quercus dentata, Pinus densiflora, Q. mongolica to be the major species at canopy layer,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t the layer below the canopy and Tripterygium regelii at the shrub level. Shannon's diversity index was 1.5315~2.4005 per unit area of 500$m^2$. It appeared that the Quercus dentata forest of this ridge section of Nakdong-jeongmaek is about 30 or 40 years old.
Keywords
DCA; QUERCUS DENTATA; TREE RING 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국토연구원 녹색연합(1999) 백두대간 개념복원과 관리방향 모색을 위한 심포지엄, 113쪽
2 산림청(2001) 백두대간 보전. 관리 기본계획 (안), 20쪽
3 산림청, 한국환경생태학회(2001) 백두대간 자연생태계 보전 및 훼손지 복원방안 조사연구, 306쪽
4 산림청, 한국환경생태학회(2003) 백두대간 관리범위 설정 및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연구, 252쪽
5 양보경(1997) 조선시대 '백두대간' 형성. 진단학보 83: 85-106
6 임덕순(1999) 백두대간식 산맥표기에 대한 역사.지리적 고찰. 백두대간 개념복원과 관리방향 목색을 위한 심포지엄, 1-22쪽
7 최송현(2002) 백두대간 청옥산지역 능선부의 식물군집국조. 한국환경생태학회 15(4):344-353
8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DOI   ScienceOn
9 임업연구원(2003) 백두대간 생태계 현황 및 관리범위 선정 420쪽
10 산림청, 대한지리학회(1997) 백두대간 실태 및 합리적인 보전방안 연구, 263-271쪽
11 김인택(1998) 가지산 식물상. 한국생물상 연구지 3: 57-91
12 최송현, 오구균(2002) 백두대간 정령치-복성이재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16(4): 421-432
13 국토연구원(2002b)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 관리방안 중심 (2차연도) 세미나. 97쪽
14 백재봉, 최송현, 조재우(2000) 석남사 지역의 식생경관 관리를 위한 삼림구조 분석, 한국정원학회 18(4) : 68-76
15 국토연구원(2001) 백두대간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연구: 관리범위 설정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001 심포지엄 자료, 64쪽
16 국토연구원(2002a)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II: 관리방안 수립을 중심으로 (2차연도), 환경부, 323쪽
17 김인택, 송만섭, 이지훈 (1996) 가지산 도립공원의 식물상: I. 석남사지역. 창원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논문집. 5: 101-136
18 HilI, M.O.(1979) DECORANA-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52pp
19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20 박석곤, 오구균 (2002) 백두대간 피재-도래기 재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15(4): 330-343
21 산림청, 한국환경생태학회(2002) 백두대간 자연생태계 조사 및 관리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279쪽
22 오구균, 박석곤(2002) 백두대간 피재-도래기재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15(4): 330-343
23 김인택, 송만섭. 이지훈 (1997) 가지산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창원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논문집. 6: 43-72
24 산림청(1996) 백두대간 관련 문헌집, 21-77쪽
25 송만섭(1997) 가지산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쪽
26 Whittaker, R.H.(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ogical Monographs 26: 1-80   DOI   ScienceOn
27 산림청, 녹색연합(1999) 백두대간 산림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602쪽
28 Pielou, E.C. (1977) Mathematical ecology. John WiIey&Sons, N.Y. 165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