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B Encryption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초

개인정보 보안강화 및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빅데이터 플랫폼 제시 (The suggestion of new big data platform for the strengthening of privacy and enabled of big data)

  • 송민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155-16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에서 발표된 빅데이터 플랫폼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각 플랫폼에서 개인정보보안에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빅데이터 플랫폼에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NoSQL DB인 HBase에 저장된 빅데이터 개인정보 암호화의 취약점과,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암 복호화 할 때에 시스템에 부하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HBase의 암호화 방법, 암 복호화시 시스템 및 네트워크 통신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방안과 빅데이터 플랫폼의 각 단계에 개인정보관리체계(PIMS)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것이 반영된 새로운 빅데이터 플랫폼을 제안한다. 따라서 제안된 빅데이터 플랫폼은 개인정보보안강화 및 시스템 성능의 효율성 확보로 빅데이터 사용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 판단된다.

NEIS를 위한 PMI 기반의 RBAC 인증과 DB 보안 구현 (Implementation of RBAC Certification & DB Security Based on PMI for NEIS)

  • 유규두;문봉근;전문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7호
    • /
    • pp.981-992
    • /
    • 2004
  • 기존의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은 보안 관리에 많으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 인증에서 PKI 인증만을 사용하여 권한에 따른 접근제어를 실현하지 못하고 있으며, 중앙 집중식 DRMS 운용과 평문화된 데이터의 사용으로 NEIS의 해킹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안전한 관리와 권한 인증을 위하여 새로운 교육행정정보시스템(RNEIS)을 제안한다. 첫 번째, 권한기반관리구조(PMI)의 속성인증서(AC)에 의한 접근 권한과 역할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및 접근제어(RBAC)를 제시한다. 두 번째, DB의 해킹 방지를 위하여 전자서명에 의한 DB암호화를 설계 구현하였다. 세 번째, 일방향 해쉬함수에 의한 SQL 쿼리 위변조 방지 미 안전한 데이터 전송 방식을 제시한다.

통계 데이타베이스의 보호에 관한 조사 연구

  • 김철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4-52
    • /
    • 1994
  • 정보화 사회에서는 가계, 기업, 정보 등의 정보 활동의 주체들이 가진 정보자산은 데이타 베이스(이하DB)와 소프트웨어(S/W)로 대변할 수 있으며, 이중 DB는 정보화 사회의 기반시설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특별히 통계DB는 각 주체들에게는 필수적인 정보를 갖고 있다. 금융자산의 정보, 국방에 관련된 병력, 장비, 군수물자등의 정보, 회계정보 뿐 아니라 인구센서스, 경제계획수립 등등의 다양한 분야에 이 통계 DB는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통계DB는 기존의DB에서의 데이타의 저장, 관리, 추출 기능외에 통계적인 데이타의 분석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통계 처리를 위한 데이타베이스관리 시스템(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은 주로 기존의 DBMS 에 통계처리를 위한 기능을 추가하거나 통계를 위한 DB를 따로 구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DB 보호 기술과 더불어 통계 의 환경을 이해하는 보호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DB 를 보호하는 방법으로는 물리적인 보안(physical security)과 운영체계 보안(operating system security) 이 있으며, 이들과 함께 데이타 암호화(data encryption)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DB 의 보안 방법에 관한 연구 중 George I. Davida 등에 의한 방법은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chinese remainder thorem)를 사용하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레코드(record) 단위의 암호화를 하며, Khamis A. Omar등에 의한 방법은 읽기, 쓰기, 갱신의 3단계의 사용자 등급을 부여하여 DB 접근의 제약을 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본고에서는 특히 그 중요성이 더해가고 있는 통계 의 일반적인 개념을 살펴보며, 특성 지향형 질의 모델(characteristic-specified query model)의 보호기술을 살펴본다. 특별히 본고는 통계 DB의 보호에 대한 일반적인 조사 연구로서 잘 알려진 사실들을 많은 참고 문헌과 더불어 소개하는 내용으로 통계 DB의 보호에 관한 새로운 연구 결과는 아니다.

  • PDF

인트라넷과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암호화 모델 설계 (Designing Database Encryption Models to interwork with Intranet)

  • 임재흥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209-21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조직내의 인트라넷과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암호화할 수 있는 모델을 설계하였다. 웹과 데이터베이스의 연동을 통해 기존의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환경을 대체하려하고 있으며, 인트라넷과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의 보안이 중요한 문제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인트라넷에 접속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증수단인 ID와 패스워드를 통하여 암호화할 수 있는 암호화 키를 생성하고, 그 키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정보를 암호화하는 모델을 본 논문에서 제시한다. 또한 그 키의 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 PDF

RFID 시스템을 위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DB 보안 및 인증기법 (Secure and Efficient DB Security and Authentication Scheme for RFID System)

  • 안해순;윤은준;부기동;남인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4C호
    • /
    • pp.197-206
    • /
    • 2011
  • 일반적인 RFID 시스템에서는 백-엔드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어 있는 대량의 태그 정보들이 암호화되어 있지 않고 평문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이로 인해 외부 해커뿐만 아니라 내부 공격자들에 의해서 태그의 기밀 정보가 쉽게 유출될 수 있다. 만약 태그와 관련된 중요한 정보들이 노출된다면 심각한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다. 최근 DB 보안에 관한 연구가 중요한 보안 이슈로 대두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RFID 시스템에서의 DB 보안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 RFID 시스템 환경에서 DB 보안 기법을 적용하여 태그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백-엔드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한다면 위와 같은 프라이버시 침해와 정보보안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RFID 시스템의 백-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태그 식별자와 비밀키를 안전한 DB 비밀키를 사용하여 XOR 연산 기반 암호화 및 복호화하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DB 보안 및 인증 기법 (S-DB)을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제안한 S-DB 보안 가법은 RFID 시스템 환경의 DB 보안에 적합한 더욱 강력한 보안성과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환자의 프라이버시 보호와 불법 접근 차단을 위한 RFID 기반 UHISRL 설계 (An UHISRL design to protect patient's privacy and to block its illegal access based on RFID)

  • 이병관;정은희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7-66
    • /
    • 2014
  • 본 논문은 RFID를 이용하여 환자, 의료진, 의약품을 관리하는 UHISRL(Ubiquitous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based on Real Time Location)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UHISRL은 환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스마트 폰과 태블릿 PC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 설계된 ERHL(Extended Randomized Hash Lock) 인증 기법을 사용하여 재전송공격과 스푸핑 공격을 차단하였고, 환자의 프라이버시는 CP-ABE(Cipher Text - Attributed based Encryption)기법을 이용하여 UHISRL DB 접근을 속성에 따라 제한함으로써 보안을 강화시켰다. 특히, UHISRL는 만성질환자의 응급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불의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PCI DSS Compliance를 위한 개인정보 암호화 설계 (Design of Personal Information Encryption for PCI DSS Compliance)

  • 우만균;박지수;손진곤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02-705
    • /
    • 2017
  • 최근 들어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개인정보 위협 요소 증가 및 유출 사고 증가 등으로 개인정보 보호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법 발효 및 시행에 따른 기술적 보호 마련을 위하여 외국계 카드 발행사에서 지속적으로 PCI DSS(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의 준수를 요청하고 있다. 카드 소유자의 데이터를 전송, 처리, 저장하는 환경에 대한 인증으로 적격업체 선정의 자격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보안성 심의 기준이 강화되고 있으나 DB 암호화 제품인 TDE(Transparent Data Encryption) 방식의 암호화 방법은 암호화 기능 이외에 접근제어, 키 기밀성 보장을 위한 옵션의 추가 도입 검토가 필요하며, 서비스를 위해서 DB 전용 메모리 영역(SGA)의 Buffer Cache에 평문(Plain Text)으로 복호화한 후 로드하여 사용하므로 예상치 못한 또 다른 심각한 데이터 유출의 위험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정보 암호화 방법을 연구하고 구현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한 해결 과정을 설명하였다.

PMI기반의 RBAC를 이용한 NEIS의 DB 보안 구현 (An Implementation of NEIS′DB Security Using RBAC based on PMI)

  • 유두규;문봉근;전문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31-45
    • /
    • 2004
  • 공개키기반구조(PKI)는 강한 인증을 제공한다. 새로운 인증기술로서 권한기반구조(PMI)는 사용자의 속성 정보를 제공한다. PM의 중요한 기능은 인증이 이루어진 이후에 보다 상세화된 권한과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다. 즉, 전자서명에 의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권한을 부여한다. 본 논문은 DB 보안을 위해 PMI 기반의 역할기반접근제어(RBAC)를 제안하였다. RBAC는 보안 관리에 대하여 보이지 않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기존의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은 PKI 인증 방식을 사용하여 속성에 따른 접근 인증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또한, 평문 데이터의 전송으로 정보 인권의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였다. 제안된 시스템(RENIS)은 속성인증서(AC)를 이용한 RBAC 인증 기능을 가지며, 보안 관리자에서 사용자의 AC에 저장된 역할과 역한 DB의 역할인증서를 검증하여 접근제어를 허가하고 전자서명에 의한 DB 암호화를 제안한다.

GIS 벡터맵의 콘텐츠 기반 선택적 암호화 기술 (Contents Based Partial Encryption of GIS Vector Map)

  • 장봉주;이석환;문광석;권기룡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8권5호
    • /
    • pp.88-98
    • /
    • 2011
  • 최근 대용량의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DB 보안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GIS 네트워크 보안 및 데이터 암호화 기법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법들은 GIS 벡터맵 데이터에 대한 원천적인 불법 복제 및 유통에 취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GIS 벡터맵 데이터의 불법 복제 방지 및 권한제어를 위하여 GIS 벡터맵 압축영역 상에서 레이어 단위의 선택적 암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에서는 벡터공간 상에서 벡터맵 압축 과정에서 생성되는 최소부호단위(minimum coding attribute, MCA)의 중점좌표와 방향 파라미터들에 대한 선택적 암호화를 각각 수행한다. 첫 번째 선택적 암호화에서는 MCA 레코드의 중점좌표 위치를 임의치환 함으로써 위치 암호화를 수행한다. 두 번째 선택적 암호화에서는 각 레코드 내의 좌표값들에 대한 방향 정보를 암호화함으로써 지형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방향성 암호화를 수행한다.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한 벡터맵 데이터 암호화 기법이 낮은 계산복잡도와 대용량 벡터맵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암호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제안 기법이 AES, DES 등의 일반적인 데이터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는 콘텐츠 암호화 기술들에서 발생되는 압축효율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암호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스마트-러닝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Secured Smart-Learning System using Encryption Function)

  • 양재수;홍유식;윤은준;최연준;전상권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95-201
    • /
    • 2013
  • 정부는 2011년부터 스마트 교육 및 디지털 교과서 작업을 위해서 5년 동안 정부가 많은 예산을 출원하고, 민간에서도 훨씬 더 많은 예산을 분담하는 등, 스마트 러닝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이 전국적으로 구축되면,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쉽게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가상대학에 접속하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정보격차를 해소할 수 있으며, 온라인 강의를 언제든지 공부할 수 있고 학점을 취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편리한 시스템도 보안 기능이 취약하면, 해킹에 의해, 학점이 조작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보안이 강화된 가상대학을 구상하였다. 이러한 사이버 대학을 위해, 암호 기법을 이용, 필요한 위치에 적절한 보안 솔루션을 적용하여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모의 실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