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PA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형 광역보정시스템 테스트베드 가용성 성능 분석 (Availability Performance Analysis of Korean Wide Area Differential GNSS Test Bed)

  • 윤호;기창돈;김도윤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10-516
    • /
    • 2011
  • 위성항법시스템(GNSS)을 민간항공 분야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정한 비행단계별 정확성(Accuracy), 무결성(integrity), 연속성(continuity), 가용성(availability) 성능요구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사용자의 무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보호 수준을 크게 잡아야 하고 가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호수준이 작을수록 좋다. 따라서 주어진 항행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무결성을 확보하면서 보호수준을 최대한 작게 잡아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형 광역보정시스템 테스트베드 중앙처리국 모듈의 현재까지 진행 상황에 대해서 설명하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무결성 관련 알고리듬을 적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무결성 및 가용성 성능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였다. 또한 항법위성의 궤도 및 시계오차에 대한 공분산 행렬을 사용자 무결성 감시에 적용하였을 때의 가용성 향상 정도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하도록 한다.

국내 방산 및 군수조달분야의 지체상금 상한제 설정 방안 연구 (On the Korea defense industry and defense procurement Liquidated Damages set upper limit research)

  • 민원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034-1041
    • /
    • 2013
  • 지체상금은 채무에 대한 이행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채무자가 자신의 귀책사유로 인해 이행하지 아니한때 즉, 이행 지체가 발생한 경우에 채무자가 지급해야 하는 지연 배상금을 말한다. 그런데 현행 국내 업체와의 계약 시 이행 지체가 발생 할 경우, 지연 배상금의 개념이 아닌, Penalty개념으로 지체상금을 무한정 부과 하므로 써 분쟁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방위사업청의 행정낭비와 업체의 비용부담이 가중 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방산 및 군수조달분야의 지체상금 제도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방산 업체에 적용하고 있는 지체상금제도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주요 선진국 제도와 비교하여, 지체상금제도 중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지체상금 상한제 설정 방안을 연구 하고자 한다.

기능 안전 표준 기반의 무기체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관리 매뉴얼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Analysis and improvement of weapon system software development and management manual based on functional safety standards)

  • 김태현;박다운;백옥현
    • 소프트웨어공학소사이어티 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7-12
    • /
    • 2020
  • 최근 기능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기능 안전 표준의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기능 안전 표준은 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 안전 관련 활동들을 정의한 문서이다. 이 표준에 정의된 모든 활동들은 시스템의 위험 분석 및 평가를 통해 산출된 등급 분류 결과에 따라 차등적으로 요구된다. 국내 무기체계 분야에는 방위사업청에서 발간한 무기체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관리 매뉴얼이 존재한다. 이 매뉴얼은 기능 안전 관련 활동으로 소프트웨어 정적 및 동적 분석 활동을 요구한다. 하지만 해당 매뉴얼에는 선행 활동으로 요구되는 위험 분석 및 평가를 통한 등급 분류 활동 관련 내용이 구체적으로 언급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기능 안전 표준들을 기반으로 무기체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관리 매뉴얼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도록 한다.

이종 접합재의 굽힘 및 인장강도에 미치는 시험편 형상의 효과 (Effect of Specimen Geometry on Bending and Tensile Strength of Material Used in Dissimilar Joints)

  • 허장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3호
    • /
    • pp.341-346
    • /
    • 2010
  • 이종 접합재($\beta-Si_3N_4/S45C$)의 굽힘강도와 인장강도에 미치는 시험편 형상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평균 굽힘강도와 평균 인장강도는 원형단면 시험편이 4각형 단면 시험편보다 약간 높았다. 또한, 초음파(AE)를 이용하여 균열발생응력을 성공적으로 측정할 수 있었으며, 균열발생응력은 굽힘강도의 60~80% 이었다. 아울러, 세라믹측 접합계면 근처의 잔류응력 측정을 굽힘강도 시험전에 X선 회절법에 의해 실시하였으며, 굽힘강도와 균열발생응력은 잔류응력 증가와 더불어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장시험에서 굽힘변형률 성분의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인장강도는 굽힘변형률 성분의 증가와 더불어 감소하고 굽힘강도의 약 80%에 해당되었다.

SERVQUAL 모형을 적용한 국방전자조달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분석 (A Study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National Defense Electronic Procurement System Service by Applying the SERVQUAL Model)

  • 민원배;강석중;이범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488-495
    • /
    • 2014
  • 국방전자조달시스템은 방위사업청 및 수요군, 조달업체의 전자입찰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유관정보서비스와의 연계를 통한 다양한 정보 활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방위사업청, 수요군, 조달업체들의 전자입찰업무의 효율적 수행에 있어 많은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급격히 발전하는 첨단 신기술 기반 인프라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증가에 발맞추어 국방전자조달시스템 또한 차세대 버전으로의 업그레이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신속히 대응하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업무담당자들의 국방전자조달시스템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차세대 포털로서 도약하기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무기체계개발에서 시스템 성숙도와 기술적 성능 달성도를 연계한 시스템 성능 측정 방법 (On an Approach to Measuring the System Performance by Utilizing the Combined System Readiness Level and Achieved Technical Performance in Weapon Systems Development)

  • 권일호;이재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163-4170
    • /
    • 2013
  • 최근의 무기체계 연구개발에서 실패의 주요인은 요구되는 핵심성능의 미충족과 기술성숙도 부족이다. 이러한 실패의 가능성에 대한 위험관리를 위해서 기술성능측정 관리와 기술성숙도 평가의 수행이 필요하다. 하지만 일반적인 기술성능측정 관리 기법의 적용은 컴포넌트 수준 이하에 대한 측정으로 시스템 통합의 효과를 반영하는 데는 제한이 있다. 한편으로 시스템 통합에 대한 효과를 반영하기 위한 시스템 성숙도 측정 방법이 제시되었지만 성능과 기술성숙도를 분명하게 연계시키지는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컴포넌트 수준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확대하여 시스템 수준에서의 기술적 성능 달성도 평가방법과 함께 시스템 성숙도를 연계하는 시스템 성능 달성도 측정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무기체계개발에서 위험관리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검증 및 확인(V&V) 절차를 통한 무기체계 M&S 신뢰도 확보에 관한 연구 (Study of Acquiring the Credibility for Weapon System M&S with V&V Process)

  • 김석우;박상혁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1-8
    • /
    • 2015
  • M&S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선진국을 중심으로 개발된 VV&A(검증 확인 및 인정) 절차가 국내에도 소개되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VV&A는 가용한 자원과 필요에 따라 그 절차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도록 가이드라인에 명시되어 있고, 방위사업청 무기체계 개발에 VV&A 관한 규정에도 인정(A)은 필요시 수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V&V 절차를 소개하고, 이를 통해 무기체계 M&S 도구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서술하였다. 또한 체계개발 중인 보병용 중거리 유도무기 '현궁'의 체계통합시뮬레이터에 V&V 절차를 적용하여 신뢰도를 확보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무기체계 소프트웨어 신뢰성 시험을 위한 효율적 시험 환경 구축 방안 (An Efficient Method of Test Environment Setup for Weapon System Software Reliability Test)

  • 최민관;박다운;국승학
    • 소프트웨어공학소사이어티 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7-12
    • /
    • 2019
  • 최근 무기체계에서 소프트웨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됨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품질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무기체계 소프트웨어의 품질 향상을 위해 방위사업청은 무기체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관리 매뉴얼에 소프트웨어 신뢰성을 제도화 하였고, 구체적인 방법 및 절차를 제시하고 있다. 매뉴얼에서 요구하는 소프트웨어 신뢰성 시험의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개발 전(全) 순기에 걸쳐 지속적인 시험을 통해 결함의 검출 및 수정이 필요하지만, 보안을 위한 망분리 환경, 시험 도구 확보를 위한 비용 문제로 인해 적정 수준의 시험 환경을 구축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위산업 분야에서 제한된 개발 환경과 한정된 자원을 활용해 효율적으로 소프트웨어 신뢰성 시험을 수행 할 수 있는 환경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방사업 특성을 고려한 무기체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평가모델(MND-ESPAM) (The Assessment Model of the Embedded Software Process Suitable for Korean Defense Industry)

  • 권경용;양해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271-281
    • /
    • 2009
  • 본 논문은 무기체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평가모델(이하 'MND-EAPAM')의 국방사업 특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2008년, 무기체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평가의 기준이 되는 무기체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평가모델을 개발하였지만, 국방분야에 대한 특성 반영이 미흡하였다. 이에 따라 국내 방위산업체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관리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CMMI 인증을 획득한 방위산업체에 MND-ESPAM을 시범적용하여, MND-ESPAM의 문제점을 도출 및 분석하였다. 도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MND-EAPAM과 방위사업청 소프트웨어 개발프로세스 지침 간 연계가 가능하고, 국방시험성숙도모델(MND-TMM)의 체계적 반영으로 시험활동을 강화하며, 유사 프로세스 영역을 식별, 통합하는 MND-ESPAM의 개선안을 제시한다. 개선안은 CMMI와의 커버리지 검증, ISO/IEC 14598-3의 요구사항에 의한 시험활동 평가, 방위산업체 시범적용을 통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높은 격리도 특성의 W-밴드용 MIMIC 단일 평형 주파수 혼합기의 설계 및 제작 연구 (A Study on Design and Fabrication of High Isolation W-band MIMIC Single-balanced Mixer)

  • 이상용;이문교;안단;이복형;임병옥;이진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4권11호
    • /
    • pp.48-5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branch line coupler와 ${\lambda}/4$ 전송라인을 이용한 94 GHz 발룬 회로를 설계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높은 LO-RF 격리도 특성을 갖는 W-밴드용 MIMIC 단일 평형 주파수 혼합기를 개발하였다. 혼합기는 $0.1\;{\mu}m$ InGaAs/InAlAs/GaAs Metamorphic HEMT 다이오드를 적용하였다. 혼합기에 사용된 MHEMT는 전류이득차단 주파수가 154 GHz, 최대공진 주파수 특성이 454 GHz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제작된 혼합기의 특성 측정 결과 LO 입력 전력이 8.6 dBm일 때 12.8 dB의 변환 손실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입력 및 출력 P1 dB는 각각 5 dBm, -8.9 dBm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LO-RF 격리도 특성은 94 GHz에서 37.2 dB로 높은 격리도 특성을 나타내었다. 격리도 특성을 고려할 때, 본 논문에서 설계 및 제작된 W-밴드용 MIMIC 단일 평형 주파수 혼합기는 기존의 밀리미터파 대역 혼합기와 비교하여 높은 LO-RF 격리도 특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