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 & R index

검색결과 930건 처리시간 0.031초

거주지역 특성에 따른 어린이의 우식활성과 우식유발요인의 차이 (Differences in caries activity and cariogenic factors in childre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area of residence)

  • 정은영;이광희;김대업;정영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10-627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aries activity and cariogenic factors in children in different residence area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68 kindergarten children who were selected from the downtown area(D), apartment area(A), suburban area(S), and rural area(R) in and around the city of Iksan, Korea. Caries activity was measured as past caries experience (dft index and dfs index) and salivary reductase activity (Resazurin Disc Test scores). Cariogenic factors were investigated by a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Reductase activity S > R > D > A dt index R, S > D, A ft index D - the highest dft index A - the lowest ds index R - the highest fs index D - the highest Toothbrushing frequency A - the highest, R - the lowest Toothbrushing before bed D, A > S, R Toothbrushing by parents S, R > A, D Sweets intake freqeuncy A - the highest, S - the lowest Distance to dental office D < A < S < R Dental treatment experience D - the highest, A - the lowest Flouride application rate D > S > R > A Sealant application rate D > A, S > R Birth order A, S > R, D Age D > S > R, A

  • PDF

우리나라의 R&D 생산성 및 효율성 분석: OECD 국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R&D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Korea: Focused on Comparison with the OECD Countries)

  • 김영훈;김선근
    • 기술혁신연구
    • /
    • 제19권1호
    • /
    • pp.1-27
    • /
    • 2011
  • 본 연구는 1984년부터 패널자료의 확보가 가능한 17개 OECD 국가를 표본으로 하여 R&D 생산성 및 효율성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비교하고 우리나라의 수준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그 성과를 산출(output) 측면과 성과(outcome) 측면으로 구분하고, 맘퀴스트 생산성지수와 자료포락분석방법을 활용하여 R&D경로단계별 생산성 및 효율성과 그 변화추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우리나라는 R&D 투자 대비 산출 생산성은 매우 높은 반면, 평균효율성은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효율성의 시계열 변화추이를 보면 최초 지수 0.10에서 시작하여 최종 0.83까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주요 선진국들 수준에 도달하였다. R&D 산출 대비 생산성은 매우 낮으며, 통합 프런티어에 대한 효율성은 최초 지수 1.00에서 최종 0.057까지 주요 선진국들 수준으로 가파르게 하락하여 왔다. 그리고 상관분석을 통해 R&D 산출 대비 생산성이 곧 R&D 투자 대비 생산성을 가늠하는 지표가 될 수 있음을 보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R&D 생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해서는 R&D 투자 및 산출 증대의 노력이상으로 R&D 산출물의 활용 측면이 보다 강화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효과적인 기술확산 체계 구축, 기술금융시장환경 조성 및 사업화에 성공하기까지 실질적인 인큐베이팅 제공 등 전반적인 기술사업화 시스템의 혁신이 주요 과제임을 시사하고 있다.

  • PDF

국가 연구개발(R&D) 과제 데이터 기반 동적 융합지표에 관한 연구: 생명·보건의료 분야를 중심으로 (Nationally-Funded R&D Projects Data Based Dynamic Convergence Index Development: Focused On Life Science & Public Health Area)

  • 이도연;김근환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5권2_2호
    • /
    • pp.219-232
    • /
    • 202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ynamic convergence index that reflected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convergence phenomenon and utilized the nationally-funded R&D projects data, thereby suggesting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convergence R&D strategy. The dynamic convergence index that we suggested was made of two indicators: persistency and diversity. From a time-series perspective, the persistency index, which measures the degree of continuous convergence of multidisciplinary nationally-funded R&D projects, and the diversity index, which measures the degree of binding with heterogeneous research areas. We conducted the empirical experiment with 151,248 convergence R&D projects during the 2015~2021 time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convergence R&D projects in both public health and life sciences appeared the highest degree of persistency. It was presumed that the degree of persistency has increased agai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Meanwhile, the degree of diversity has risen with combining with disciplinary such as materials, chemical engineering, and brain science areas to solve social problems including mental health, depression, and aging. This study not only provide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dynamic convergence in terms of persistency and diversity for national convergence R&D strategy but also presented dynamic convergence index and analysis methods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for directing public R&D programs.

R&D지출의 효율성 측면에서 특허를 이용한 KPI 개발: 특허효율성지표(PEI: Patent Efficiency Index) (Development of Key Performance Index(KPI) for R&D expenditure activities focusing on efficiency of patent)

  • 이준호;하석태;배병한;유시몬;김대성;한민현
    • 기술혁신연구
    • /
    • 제20권3호
    • /
    • pp.29-55
    • /
    • 2012
  • 본 연구는 BSC의 성공적 구축과 활용에 있어 최근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하고, 기업의 경영활동에서 비재무적 요소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감안하여 무형적 자원의 대표적 요소인 R&D 지출과 관련하여 BSC의 KPI를 개발하고, 개발된 지표의 효용성을 실증분석을 통해 검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BSC의 KPI로써 개발된 PEI(Patent Efficiency Index)는 R&D 지출과 R&D의 output 개념인 특허와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특허의 효율성 측면에서 만들어 졌으며, 기존의 R&D관련 KPI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고, R&D 성과측정에 관한 새로운 KPI개발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지표의 효용성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논문의 관심변수인 PEI는 종속변수인 기업경영성과의 대용치로 나타내어진 ROA(총자산이익률)과 토빈Q에 각각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동안 기존 연구들에서 많은 관심을 가져왔던 R&D 지출보다 R&D의 성과측정지표로서의 설명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결과를 통해 개발된 PEI는 기존의 R&D 지출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데 있어 설명하지 못하는 추가적인 설명력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이 지표를 통해 기업이 얼마나 효율적인 R&D 활동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있으며, 이는 기업의 R&D 활동의 효율성이 높을 때 기업의 가치나 성과가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기업의 R&D 지출과 기업경영성과 간의 관련성을 특허와 R&D 지출의 효율적인 측면을 측정한 PEI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입증함으로써 기존의 R&D 비용 외에 기업의 기업경영성과를 가늠하고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쓰일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D 프로젝트 성과평가를 위한 DEA모형의 타당성 실증분석 : 정규화지표와의 순위상관을 중심으로 (Empirical Analysis of DEA models Validity for R&D Project Performance Evaluation : Focusing on Rank Correlation with Normalization Index)

  • 박성민
    • 산업공학
    • /
    • 제24권4호
    • /
    • pp.314-322
    • /
    • 2011
  • This study analyzes a relationship between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efficiency scores and a normalization index in 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of DEA models. A normalization index concerned in this study is 'sales per R&D project fund' which is regarded as a crucial R&D project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in practice. For this correlation analysis, three distinct DEA models are selected such as DEA basic model, DEA/AR-I revised model(i.e. DEA basic model with Acceptance Region Type I constraints) and Super-Efficiency(SE) model. Especially, SE model is adopted where efficient R&D projects(i.e. Decision Making Units, DMU's) with DEA efficiency score of unity from DEA basic model can be further differentiated in ranks. Considering the non-normality and outliers, two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such as Spearman's ${\rho}_s$ and Kendall's ${\tau}_B$ are investigated in addition to Pearson's ${\gamma}$. With an up-to-date empirical massive dataset of n = 482 R&D projects associated with R&D Loan Program of Korea Information Communication Promotion Fund in the year of 2011, statistically significant (+) correlations are verified between the normalization index and every model's DEA efficiency scores with all three correlation coefficients. Especially, the congruence verified in this empirical analysis can be a useful reference for enhancing the practitioner's acceptability onto DEA efficiency scores as a real-world R&D project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다속성 효용이론을 이용한 평가지표개발 -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사후평가를 중심으로 - (A Multi-attribute Index for Evaluating of National Nuclear R&D Projects: A Case Study of Korea)

  • 곽승준;유승훈;김찬준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발표자료
    • /
    • pp.389-408
    • /
    • 2001
  • Evaluating the results of National Nuclear R&D projects has critical importance in nuclear management aspect. This paper uses multi-attribute utility theory as a basis for obtaining a value Index to assess the results of nuclear R&D projects and applies the theory to a specific Korean case study. To structure and quantify basic values for the . evaluation, we elicited important attributes, then refined and structured them into a hierarchy. A multi-attribute index is constructed as a multi-attribute utility function, based on value judgments provided by a group of technical experts, policy makers, and decision-maker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also discussed. We found that the work and results can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assessment of nuclear R&D consequences.

  • PDF

Cumulative DEA/Malmquist Index 기법을 이용한 정부출연 연구기관 연구개발 효율성 변화 분석 (Analysis of the Change in R&D Efficiency in a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 in Korea : Cumulative DEA/Malmquist Analysis Approach)

  • 이수철;이동호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99-111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a framework to analyze the change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R&D) efficiency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GRIs) in Korea. Cumulative data envelopment analysis/Malmquist index method is utilized to analyze the changes in R&D efficiency of GRIs. Data analysis of the R&D activities of 10 GRIs in Korea Research Council of Fundamental Science & Technology showed that the average R&D efficiency of the 10 GRIs improved from 2009 to 2013. However, the efficiency of a few GRIs decreased in terms of the catch-up index. The proposed framework can help management teams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R&D activities and determine the efficacy of strategic actions by comparing efficiencies in the past.

국가 연구개발(R&D) 투자의 성과 측정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 for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 임선집;김성철;신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148-415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연구개발(R&D) 성과측정지표의 개선안을 새로운 관점을 통해 제시하는 것이다. 정부는 R&D 패러다임을 기존의 추격형에서 선도형으로 전환하고자 하고 있다. 이에 기존 성과평가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기존 문헌 연구를 통해 국내외 연구기관 정부기관의 성과 평가안을 살펴보았다. 특히 국내외적으로 창조 혁신지표군을 참조하였고 국가혁신 및 R&D 생태계라는 개념에 주목하였다. 이론 체계로 D'Aveni의 혁신경쟁이론(Hypercompetition theory)을 차용하여 새로운 성과평가지표를 제시하였으며 국내 R&D 성과평가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표별 우선순위 결과 및 의미는 본문에서 상세히 밝히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관점의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창조 혁신지표군을 참조하여 국가 R&D 성과지표군을 제안하였고 실증적 검증을 거쳐 지표별 우선순위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으로 공헌하고 있다.

Rend 3D R-tree : 3D R-tree 기반의 이동 객체 데이터베이스 색인구조 연구 (Rend 3D R-tree: An Improved Index Structure in Moving Object Database Based on 3D R-tree )

  • 임향초;임기욱;남지은;이경오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78-881
    • /
    • 2008
  • To index the object's trajectory is an important aspect in moving object database management. This paper implements an optimizing index structure named Rend 3D R-tree based on 3D R-Tree. This paper demonstrates the time period update method to reconstruct the MBR for the moving objects in order to decrease the dead space that is produced in the closed time dimension of the 3D R-tree, then a rend method is introduced for indexing both current data and history data. The result of experiments illustrates that given methods outperforms 3D R-Tree and LUR tree in query processes.

게임산업의 권역별 역량 비교분석 - 입지분석과 CT R&D 역량지수 분석을 중심으로 - (The comparative analysis of game capability by region -focus on the analysis of LQ index and CT R&D competence level-)

  • 김연정;양동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3호
    • /
    • pp.133-144
    • /
    • 2011
  •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 산업 중 게임산업의 CT R&D 성과지표의 타당성을 도출하여 권역별 게임산업 관련 기업들의 경쟁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게임산업의 권역별 경쟁력 분석을 위해 권역별 기업체수, 종업원 수, 매출액에 기초한 LQ분석과 R&D 역량 분석을 위해 전국을 7개 권역으로 나누어 게임 CT분야의 R&D 영역 분석을 수행하였다. 권역별 평균 LQ분석 결과, 수도권이 포함된 경우 수도권만 고경쟁력 산업으로 나타났으며, 수도권을 제외한 경우는 대경권, 동남권, 충청권의 순서로 경쟁력이 나타났다. 권역별 게임산업 CT R&D 역량은 수도권이 강세에 있으며, 네트워크 역량, 성과역량을 제외한 역량구성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권역별 게임산업의 R&D 역량은 충청권 수도권 호남권의 순서로 비교우위의 R&D 역량을 보이며, 특히 충청권은 성과역량에서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세에 있는 기업군 네트워크 및 기술력과 이를 지원하는 R&D 기관의 상호호혜적인 벤처생태계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