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L 비

검색결과 2,032건 처리시간 0.028초

콩 식이섬유로부터 추출한 헤미셀룰로즈의 식이가 Streptozotocin유도 당뇨 흰쥐의 혈당과 혈청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Dietary Effect of Hemicellulose from Soy Fiber on Blood Glucose and Cholesterol Content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이명예;김미경;신진기;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119-1125
    • /
    • 2004
  • 콩 식이섬유로부터 제조한 헤미셀룰로즈가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당뇨쥐의 혈당과 혈청콜레스테롤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셀룰로즈군(대조군), 헤미셀룰로즈 0.5% 식이군(H-1군), 헤미셀룰로즈 1% 식이군(H-2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한 후 당뇨를 유발시키고 계속해서 1주간 사육하였다. 당뇨유발에 따른 식이섭취량과 체중증가량 및 식이효율은 H-2식이군이 대조군과 H-1군에서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낸 반면 음용수 섭취량은 H-2군에서 낮았다. 간장의 무게는 H-2군이 대조군과 H-1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당은 대조군에서는 212.8 mg/dL, H-1 군에서는 160.5 mg/dL, H-2군에서 는 141.0 mg/dL으로 H-2군은 대조군의 66%수준이었으며 뇨당은 대조군 0.97 mg/dL, H-1군 0.53 mg/dL, H-2군 0.35 mg/dL로 H-1군은 대조군의 55%, H-2군은 대조군의 36%로 헤미셀룰로즈 식 이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청내 중성지질의 함량은 식이에 따른 유의적 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혈청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에서 101.6 mg/dL, 식이군에서는 73.8∼78.4 mgidL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혈청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모든 실험군에서 39.8∼44.7 mg/dL 범위로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HTR과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에서는 각각 0.44 및 1.27로 나타났으나 헤미셀룰로즈 식이군에서는 각각 0.54 및 0.46∼0.85로 대조군보다 낮았다. 이상의 결과, 콩 식이섬유로부터 추출한 헤미셀룰로즈는 항당뇨효과가 높음을 나타내었다.

Kompsat-l EOC 영상을 이용한 남극의 SSM/I 와 AMSR-E 해빙 면적비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SM/I and AMSR-E Sea Ice Concentration using Kompsat-l EOC Images of the Antarctic)

  • 한향선;이훈열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13
    • /
    • 2007
  • 2005년 남극의 해빙을 촬영한 Kompsat-1 EOC 영상을 이용하여 SSM/I와 AMSR-E 해빙 면적비를 비교, 분석하였다. EOC 영상은 남극의 봄철에 해당하는 9-11월 사이에 남극 대륙의 가장자리를 가로지르는 11 개 궤도로부터 총 676개 영상이 획득되었으며, 이 중 대기 및 광량 조건이 양호한 68개 의 영상을 선별하였다. EOC 영상에 감독분류 방볍 을 적 용하여 표면 유형 을 White ice(W), Grey ice(G), Dark-grey ice(D), Ocean(O)로 분류하였고 해빙 면적비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NASA Team Algorithm(NT)으로 계산된 SSM/I 해빙 면적비, NASA Team2 Algorithm(NT2)으로 계산된 AMSR-E 해빙 면적비와 비교하였다. 남극의 봄철에 SSM/I 해빙 면적비는 EOC W+G 면적비와 잘 일치하였고,AMSR-E 해빙 면적비는 EOC W+G+D 면적비와 좋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 시기의 남극 SSM/I NT 해빙 면적비는 W와 G만을 반영하며, AMSR-E NT2 해빙 면적비는 D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MSR-E가 SSM/I보다 높은 해빙 면적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두 수동 마이크로파 해빙 면적비의 차이는 EOC D 면적비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이로부터 EOC 영상에서 분류된 D와 NT2에 서 고려되는 Ice type C가 서로 유사한 해빙 유형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근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한 비침투적 혈당 분석법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Fundamental Investigation of Non-invasive Determination of Glucose by Near Infrared Spectrophotometry)

  • 김효진;우영아;장수현;조창희
    • 분석과학
    • /
    • 제11권1호
    • /
    • pp.47-53
    • /
    • 1998
  • 본 연구는 당뇨병 진단방법의 개선을 위하여 채혈을 직접적으로 하지 않고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근적외선 분광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근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하여 1 mg/dL에서 200 mg/dL 사이의 표준 시료 80개 글루코오스 흡수 스팩트럼을 측정하고 이를 정량하여 표준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을 때 1.8 mg/dL 오차범위에서 매우 우수하였다. 그리고 실제 혈액중에 존재할 수 있는 전해질 및 피부에 의한 산란의 영향을 연구하였을 때 모두 2.8 mg/dL 및 3.8 mg/dL의 표준오차를 나타내었다. 특히 실제 피부에 적용하기 위하여 검량곡선에 비직선성을 유발하는 빛의 산란 현상에 관한 모델링을 통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통계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점농어 Lateolabrax maculatus의 성 성숙에 미치는 광주기의 영향 (Effect of Photoperiods on Sexual Maturation in Spotted seabass, Lateolabrax maculatus)

  • 임상구;김영수;백재민;김종현;한형균;조용철;강용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5호
    • /
    • pp.935-940
    • /
    • 2014
  • 점농어, Lateolabrax maculatus 암컷의 GSI변화는 실험개시시에 $0.51{\pm}0.05%$였고, 사육 90일 후인 실험종료시에는 대조구(자연광주기)에서 $1.07{\pm}0.09%$인데 비해 9L:15D구에서 $1.93{\pm}0.06%$로 가장 높았으며, 15L:9D에서 $0.32{\pm}0.07%$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수컷의 GSI변화는 실험개시시에 $0.16{\pm}0.05%$였으며, 실험종료시에는 대조구의 경우 $0.75{\pm}0.05%$인데 비해 9L:15D에서 $1.89{\pm}0.12%$ 가장 높았으며, 15L:9D에서 $0.22{\pm}0.06%$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암컷의 혈중 E2 변화는 실험개시시에 $125.8{\pm}9.5pg/ml$였으나 실험종료시에 대조구에서 $226.0{\pm}13.62pg/ml$였으며, 9L:15D에서 $296.3{\pm}15.0pg/ml$로 가장 높았고 15L:9D에서 $138.5{\pm}7.9pg/ml$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혈중 testosterone은 실험개시시에 $172.5{\pm}14.5pg/ml$였으나, 실험종료시에 대조구에서 $194.3{\pm}23.6pg/ml$였으며, 모든 실험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혈중 $17a20{\beta}OHP$ 농도는 실험개시시에 $174.0{\pm}28.5pg/ml$였으나 실험종료시에 대조구에서 $193.5{\pm}13.4pg/ml$였으며, 대조구가 나머지 실험구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다. 혈중 testosterone의 농도는 실험개시시에 $125.0{\pm}5.1pg/ml$였으며 실험종료시에 대조구에서 $259.3{\pm}33.1pg/ml$였으며, 9L:15D에서 $370.5{\pm}27.5pg/ml$로 가장 높았고 15L:9D에서 $112.3{\pm}8.7pg/ml$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수컷의 혈중 $17a20{\beta}OHP$ 농도는 실험개시시에 $205.3{\pm}15.1pg/ml$였으며, 실험종료시에 대조구에서 $196.3{\pm}17.0pg/ml$였으며, 다른 실험구에 비해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소성힌지를 고려한 최적설계법 제안 (Proposal of a New Design Method of the Pile-Bent Structure Considering Plastic Hinge)

  • 안상용;장심섬;김재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91-10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소성힌지를 고려한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수평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Beam-Column 해석모델을 토대로 단일 현장타설말뚝 기초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고, 소성힌지를 고려한 최적설계법을 제안하였다.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소성힌지를 지상부로 유도하기 위한 최적의 기둥-말뚝의 직경비를 분석하기 위해, 변단면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단면조건에 따른 균열 휨모멘트를 산정하고 지반조건과 수평하중에 따른 말뚝의 거동을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최적의 단면 조건은 기둥/말뚝 직경비($D_c/D_p$)와 정규화된 수평균열하중($F/F_{Dc}=D_p$)의 관계를 나타내는 이중직선의 변곡점 이하 부분에서 산정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최적의 단면 조건을 제안하였다. 또한 실제 시공사례 분석을 통해, 깊이별 휨모멘트를 바탕으로 최소철근비 적용이 가능한 구간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말뚝길이($L_p$)로 정규화된 최소 철근비 적용이 가능한 한계깊이($L_{As=0.4%}$)는 말뚝 직경으로 정규화된 말뚝길이($L_p/D_p$)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였으며, $L_p/D_p=17.5$ 이후부터는 일정한 값(${\simeq}0.3$)에 수렴함을 알 수 있었다.

50세 이상 한국 성인에서 비만과 부갑상샘호르몬의 관련성 -2011 국민건강영양조사에 근거하여 (The association of abdominal obesity, obesity and parathyroid hormone in Korean adults (aged≥50 year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1)

  • 이규수;윤요상;윤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882-3888
    • /
    • 2015
  • 본 연구는 국가자료인 201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50세 이상 성인에서 비만이 PTH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 참여자수는 8,518명이었고, 이중 50세 이상 성인 3,305명을 최종분석 대상자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PTH 평균값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수(연령, 성별, SBP, DBP, 25(OH)D)를 보정 후, 정상군 (BMI, < $23.0kg/m^2$; $66.25{\pm}0.89ng/dL$)에 비하여 과체중군(BMI, $23.0-24.9kg/m^2$; $67.83{\pm}1.07 ng/dL$), 비만군(BMI,${\geq}25.0kg/m^2$; $70.71{\pm}0.94ng/dL$)의 PTH 평균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03), Non-abdominal obesity군($66.63{\pm}0.74ng/dL$)에 비하여 Abdominal obesity군($69.30{\pm}0.80ng/dL$)의 PTH 평균값이 증가하였다(p=0.017). 결론적으로 비만과 복부비만은 PTH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

Tragacanth gum 의 신다당류(新多糖類) C 의 화학구조(化學構造) - Tragacanth gum의 신다당류(新多糖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二報) - (Studies on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New Polysaccharide C - (The New Polysaccharides of Gum Tragacanth. II) -)

  • 이성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권
    • /
    • pp.25-48
    • /
    • 1962
  • tragacanth gum의 화학구조(化學構造)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미국(美國) 약전(藥典)의 tragacanth gum 분말(粉末)을 가지고 다음의 실험(實驗)을 통(通)하여 이의 성분(成分)의 하나인 polysaccharide C를 분리(分離)하여 이의 화학구조(化學構造)를 밝혔다. (1) tragacanth gum을 85% 주정(酒精)으로 처리(處理)해서 중성다당류(中性多糖類)로 polysaccharide C를 분리(分離)하였으며 구성당(構成糖)으로 L-rhamnose, D-xylose, L-arabinose 및 D-galactose를 paper chromatography와 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다. 이의 molar ratio는 2:1:17:9이며 비선광도(比旋光度)는 $[{\alpha}]^{30}_D-72.2이다. (2) 구성당(構成糖)의 결합위치(結合位置)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해 Hawarth 법(法)과 Purdietldir(試藥)을 가지고 methyl화(化)시켜 methyl화(化) polysaccharide C를 얻었으며 비선광도(比旋光度) $[{\alpha}]^{22}_D-102를 보였다. 이것을 가수분해(加水分解)시켜 paper chromatography와 column chromatography를 통(通)해 methyl화단당(化單糖)으로 1,3,5-tri-O-methyl-L-arabofuranose, 3,4-di-O-methyl-L-rhamnose, 2,3-di-O-methyl-D-xylose, 2,3,4-tri-O-methyl-D-galactopyranose, 2,4-di-O-methyl-L-arabopyronose, 2,4-di-O-methyl-D-galactose, 2-O-methyl-L-arabinose 및 L-arabinose를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다. (3) 산(酸)의 각종농도(各種濃度)에 따른 부분적(部分的) 가수분해(加水分解)를 시켜 polysaccharide C의 end group, 측지(側枝) 또는 주쇄(主鎖)를 이루는 구성당(構成糖)을 밝히기 위(爲)하여 0.05 N-HCl로 제1차(第一次) 가수분해(加水分解). 0.1N-HCl로 제2차(第二次) 가수분해(加水分解), 0.3N-HCl로 제3차(第三次) 가수분해(加水分解)를 하여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과 비가수분해물(非加水分解物)에서 각각(各各) 다음과 같은 구성단당(構成單糖)을 검출(檢出)하고 이들의 molar ratio를 측정(測定)하였다. 제1차(第一次)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A)에서 L-arbinose, 비가수분해물(非加水分解物)(A')에서 L-rhamnose, D-xylose, L-arabinose 및 D-galactose; 제2차(第二次)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B)에서 L-arabinose와 D-galactose, 비가수분해물(非加水分解物)(B')에서 L-rhamnose, D-xylose, L-arabinose, 및 D-galactose; 제3차(第三次)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C)에서 L-rhamnose, D-xylose, L-arabinose 및 D-galactose, 비가수분해물(非加水分解物)(C')에서 D-xylose와 D-galactose를 검출(檢出)하였다. (4) 구성당(構成糖)의 형태(形態)와 구조(構造)를 밝히기 위(爲)해 polysaccharide C에 대한 periodate산화(酸化) 실험(實驗)을 하여 $C_5H_8O_4$당(當) periodate의 소비(消費)와 formic acid의 생성량(生成量)을 측정(測定)하였는데 periodate의 소비량(消費量)은 1.23 mole, formic acid의 생성량(生成量)은 0.78 mole이다.

  • PDF

죽력의 in vitro에서의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저해효과와 마우스모델에서 혈행개선효과 (Effects of Bambusae Caulis in liquamen on inhibition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 vitro and blood flow in mouse model)

  • 김춘득;유민정;전형식;최근표;황권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992-999
    • /
    • 2017
  • 대나무 죽력의 ACE 저해효과와 마우스모델에서의 혈행개선 효과를 보았다. 혈전용해능에서 청국장추출물은 2.56 unit, 미정제죽력에서 4.71 unit, 정제죽력에서 4.32 unit를 나타내어 모두가 plasmin 보다 유의하게 높은 활성이 높고, ACE 활성 저해 효과에서는 죽력 원액, 미정제 죽력과 정제 죽력에서 각각 70.25%, 69.01%, 68.23%로 대조군으로 사용된 청국장이 26.56%으로 나타나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마우스모델시험에서 고지방식이군과 함께 고지방식이군+정제죽력 0.01%와 0.05%를 투여, 혈청 중 지질변화에서 triglyceride의 함량은 고지방식이군이 일반식이군(271.1 mg/dL)에 비해 314.4 mg/dL로 증가하였고, 고지방식이+죽력 0.01%군은 301.5 mg/dL로 나타났으며, 고지방식이+죽력 0.05%군은 289.2 mg/dL으로 유의하게 중성지질이 감소를 나타내었고, total-cholesterol 함량은 327.2 mg/dL로 증가하였으며, 고지방식이+죽력 0.01%군은 311.9 mg/dL로 나타났으며, 고지방식이+죽력 0.05%군은 293.7 mg/dL로 고지방식이군에 비교, 유의하게 total-cholesterol이 감소세를 나타내었다. 한편 HDL-cholesterol은 일반식이군이 206.0 mg/dL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고지방식이+죽력 0.01%군 196.6 mg/dL, 고지방식이+죽력 0.05%군 189.2 mg/dL, 고지방식이군 162.2 mg/dL순으로 나타났고, 죽력첨가군 0.01%군과 0.05%군간의 유의성은 없었다. 혈류개선효과에서는 고지방식이에 비하여 고지방식이+죽력 0.05% 군이 고지방식이군, 고지방식이+죽력 0.01%군보다 모두 유의하게 빠르게 모세관을 통과하여 빠른 혈액 유동성을 나타내었다. 혈소판응집 억제능에서는 고지방식이군의 경우 대조군인 일반식이군에 비해 혈소판 응집이 증가한 반면 고지방식이+죽력 0.01%군과 고지방식이+죽력 0.05%군은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혈소판응집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즐 오리피스 형상 및 형상비가 디젤과 바이오디젤 연료의 노즐 내부 및 외부 유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ozzle Orifice Shape and Nozzle Length-to-Diameter Ratio on Internal and External Flow Characteristics of Diesel and Biodiesel Fuel)

  • 박수한;서현규;이창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1권3호
    • /
    • pp.264-272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ozzle orifice shapes and the nozzle length-to-diameter ratio(L/D) on the nozzle cavitation formation inside the orifice and the external flow pattern. The nozzle used in this work was tested the taper orifice nozzle and the rectangular orifice nozzle which was made from the transparent acrylic acid resin. For studying the effect of the nozzle L/D ratio, it was used to three L/D ratios of 3.33, 10, and 20. The cavitation flow of nozzle was visualized by using the ICCD camera and optical system. This work revealed that the flow rate and discharge coefficient($C_d$) of the taper orifice nozzle was larger than those of the rectangular orifice nozzle at the same injection pressure. The cavitation flow was observed in the nozzle orifice at the low injection pressure and the breakup of liquid jet was promoted as the L/D ratio is decreased. The cavitation of biodiesel fuel was formed at the lower injection pressure than that of diesel fuel because of higher viscosity and density.

Rock bridges를 고려한 수치 해석적 수압파쇄 균열거동 연구 (A Numerical Study of Hydraulic Fractures Propagation with Rock Bridges)

  • 최성웅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0권3호
    • /
    • pp.447-456
    • /
    • 2000
  • 일반적으로 암반 구조물의 안정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암반 내의 rock bridges는 일종의 opening-mode fracture로 간주될 수 있다. 초창기에는 재료의 저항 특성을 고려하여 rock bridges 자체의 거동 특성에 대한 연구가 있었으나, 최근에 와서는 수치 해석적 연구를 통해 파괴역학의 개념을 적용하여 rock bridges의 분포특성이 암반 구조물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새롭게 연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ock bridges가 수압파쇄 균열의 분포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rock bridges의 분포형태에 따른 암반 내 응력 분포 특성과 균열의 bridge 현상을 먼저 살펴보았다. 즉 , 균열의 길이에 대한 균열의 간격의 비 (s/L 비) 균열의 길이에 대한 균열의 오버랩의 비 (d/L 비)를 변화시키면서 응력 분포 특성을 수치 해석적으로 살펴본 결과, 2개의 균열만으로도 여러 개의 균열 분포 특성을 대표할 수 있음을 알았고, s/L 비가 감소할수록 또는 d/L비가 증가할수록 암반 내 응력 집중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수치 해석결과를 토대로, 수압파쇄 균열과 rock bridges의 상호 관계를 수치 해석적으로 연구한 결과, rock bridges가 없을 경우 탄성이론에 맞게 발전하던 수압파쇄 균열이, rock bridges의 존재에 의해 수압파쇄 균열의 전파 방향이 왜곡됨은 물론 수압파쇄 균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원거리 응력도 정확히 표현하지 못함을 알았다. 즉 , 수압파쇄 균열 선단에서의 mode I 응력집중계수는 s/L비가 감소할수록 또는 d/L 비가 증가할수록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균열의 분포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노두에서 일반적으로 실시되는 scanline 조사에서 얻을 수 있는 s/L 비와 d/L 비를 통하여 암반 내에 존재하는 응력의 평가 방법이 새로이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로 제안하였다. 본 노천채탄장의 최종사면과 같이 장기적인 유지를 필요로 하는 사면은 사면의 변형거동을 감시하기 위해 보다 체계적인 계측을 필요로 하며, 또한 사면이 많은 비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사면의 풍화와 침식에 대한 대책연구도 수행되어야 한다. 이 값이 감소할수록 Cox-Merz 법칙은 더욱 잘 성립한다.$_{TM4}$/$\bar{p}$$_{TM2}$, $\bar{p}$$_{TM4}$/$\bar{p}$$_{TM1}$, log($\bar{p}$$_{TM4}$/$\bar{p}$$_{TM3}$) 등과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이 소요되었고, 우리 나라 자연환경에서는 5일에서 7월에 주로 이 충체의 유충이 발육되고 전파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러 가지 방법들을 적극 적용하여 금후 검토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잡은 전혀 삭과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종간 교잡종을 자방친으로 하고 그 자방친의 화분친을 사용할 때만 교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여교잡을 통한 종간잡종 품종육성 활용방안을 금후 적극 확대 검토해야 할 것이다하였다.함을 보이고 있다.X> , ZnCl$_{3}$$^{-}$같은 이온과 MgCl$^{+}$, MgCl$_{2}$같은 이온종을 형성하기 때문인것 같다. 한편 어떠한 용리액에서던지 NH$_{4}$$^{+}$의 경우 Dv값이 제일 작았다. 바. 본 연구의 목적중의 하나인 인체유해 중금속이온인 Hg(II), Cd(II)등이 NaCl같은 염화물이 함유된 시료용액에 공해이온으로 존재할 경우 흡착에 의한 제거가 가능하다. 한편 이같은 중금속이온의 흡착실험은 특히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