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tochrome %24b_5%24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8초

MPP+로 유도된 신경 독성에 대한 녹각의 보호 효과 (Neuroprotective Effects of Cervi Cornu in MPP+ Treated SH-SY5Y Cells)

  • 여수정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7권2호
    • /
    • pp.97-103
    • /
    • 2020
  • Objectives : Parkinson's disease, a progressive neurodegenerative disease, is caused by the loss of dopaminergic neurons in the substantia nigra. There is no clear treatment or remedy for Parkinson's disease;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novel therapies related to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is requir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water extracts from Cervi Cornu (CC) in dopaminergic cells. Methods : We studied effects of CC on apoptosis, cell death and inflammation in SH-SY5Y neuroblastoma cells treated by methylpyridinium ion (MPP+). SH-SY5Y cell line was treated with CC for 24 hours and then 500 μM MPP+ for 18 hours. Results : Cervi Cornu treatment inhibited the decrease in tyrosine hydroxylase (TH) expression and decreased the activation of inflammatory factors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COX2) and inducible NO synthase (iNOS) against MPP+ neurotoxicity. Apoptosis factors BCL2 associated X, apoptosis regulator (BAX) levels were decreased and B-Cell CLL/Lymphoma 2 (BCL2) levels were increased.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CC treatment had neuroprotective effects in the SH-SY5Y neuroblastoma cells against toxicity induced by MPP+. The results suggest new possibilities of CC for the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제주 연안해역 어란의 분자동정과 분포양상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Pattern of Fish Eggs Collected around Jejudo Island)

  • 한송헌;김맹진;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84-292
    • /
    • 2015
  • 이 연구는 제주도 주변 4개의 정점에서 채집된 어란의 월별 종조성 및 출현량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는 2006년 8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봉고네트를 이용하여 월별로 표층채집을 하였으며, 종동정은 채집된 어란의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b 유전자 (cyt b) 염기서열을 성어 염기서열과 상호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채집된 어란은 총 43개의 분류군으로 분류되었고, 이중 34종 (6목 24과 33속)은 종 (species)까지 동정이 이루어졌다. 나머지 9종 가운데 4종은 과 (family)까지 동정할 수 있었고, 5종은 미동정되었다. 지역별로 제주항 근해에서는 23개의 분류군으로 가장 많은 분류군이 나타났고, 성상포 근해에서 21개, 서귀포항 근해에서 19개, 차귀도 근해에서는 18개의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시기별로는 2006년 9월에 15개의 분류군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12월과 7월에 3개의 분류군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동정이 이루어진 34종 중 멸치 (E. japonicus)와 노랑벤자리 (C. japonicus)가 가장 높은 출현 빈도를 보였으며, 멸치는 표층수온 $14.0{\sim}28.6^{\circ}C$에서, 노랑벤자리는 $14.9{\sim}20.5^{\circ}C$에서 출현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cyt b 유전자의 PCR 증폭 성공률은 68.3%였으며, 종동정률은 79.1%였다.

Echinacea 추출물이 단구와 단구유래 수지상세포의 유전자발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chinacea Extract on the Gene Expression of Monocytes and Monocyte-derived Dendritic Cells)

  • 박준은;김성환;최강덕;함대현;서종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7호
    • /
    • pp.779-788
    • /
    • 2005
  • 목 적 : Echinacea는 면역증강제로 이미 사용되고 있는 재래 식물로서 최근에 Echinacea의 추출물로 단구를 중심으로 면역세포들에 의한 면역증강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단구와 수지상세포에서 Echinacea에 의해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는 면역관련 유전자들을 cDNA microarray chip을 사용하여 선별하고 이들을 토대로 Echinacea의 면역증강 효과에 대한 연구를 할 때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실험 1과 2는 3명의 공여자의 말초혈 단구로 실험하였는데 실험 1은 단구에 최종 농도가 $50{\mu}g/mL$ 되게 Echinacea를 첨가하여 1일간 배양하였고, 실험 2는 실험 1의 대조군으로서 Echinacea를 첨가하지 않고 배양하였다. 실험 3과 4는 2명의 공여자의 단구로 실험하였는데 실험 3은 GM-CSF와 IL-4를 첨가하여 5일간 배양시켜 수지상세포로 분화시킨 뒤 Echinacea를 첨가하여 1일간 더 배양시켰고, 실험 4는 실험 3의 대조군으로서 수지상세포로 분화시킨 뒤 Echinacea를 첨가하지 않고 1 일간 더 배양하였다. Echinacea에 의한 단구와 수지상세포의 유전자발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cDNA microarray chip을 이용하여 대조군에 대한 실험군의 각 유전자의 발현비를 구하였다. Echinacea를 첨가하지 않은 단구(실험 2의 단구)에 대한 Echinacea를 첨가한 단구(실험 1의 단구)의 각 유전자들의 발현 비를 구하였고, Echinacea를 첨가하지 않은 수지상세포(실험 4의 수지상세포)에 대한 Echinacea를 첨가한 수지상세포(실험 3의 수지상세포)의 각 유전자들의 발현비를 구하였다. 여기서 실험 1과 2에서는 세 공여자의 단구에서 나온 유전자 발현비의 결과를, 실험 3과 4에서는 두 공여자의 수지상세포에서 나온 유전자 발현비의 결과를 평균하여 그 발현비가 2.5 이상 되는 것을 의미있게 발현된 유전자로 보았다. 결 과 : Echinacea를 첨가하지 않은 단구를 대조군으로 하여 Echinacea를 첨가한 단구의 유전자 발현비가 2.5 이상으로 증가한 것들 중 면역과 관계된 유전자들은 17개였다. Echinacea를 첨가하지 않은 수지상세포를 대조군으로 하여 Echinacea를 첨가한 수지상세포의 유전자 발현비가 2.5 이상으로 증가한 것들 중 면역과 관계된 유전자들은 24개였고, 실험에 사용한 수지상세포들은 모두 미성숙 수지상세포의 특징적인 표면항원들을 가지고 있음을 유세포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Echinacea가 단구와 수지상세포 둘 다에서 의미있게 유전자발현비가 증가된 것들이 7개 있었는데, 이들은 CD44, IFI 30, MRC 1, CCR 7, CLK 2, syntenin,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VIII 등의 유전자들이었다. 특히 발현비가 3.5 이상으로 높은 유전자들을 그 발현비 순으로 나열하면 단구에서는 IFI 30, CLK 2, syntenin, superoxide dismutase 2 등 4개의 유전자들이 있었고, 수지상세포에서는 somatomedin A, methyl-CpG binding domain protein 3, IFI 30, small inducible cytokine subfamily A(Cys-Cys), member 22, ubiquitin-conjugating enzyme E2L 6, hexosaminidase B, nuclear factor of kappa light polypeptide gene enhancer in B-cells inhibitor epsilon, CCR 7 등 8개의 유전자들이 있었다. 결 론 : 본 연구는 Echinacea가 $CD14^+$ 단구 및 수지상세포에서 발현을 증가시키는 면역관련 유전자들을 cDNA microarray chip을 이용하여 검색하였고, 향후 이 유전자들을 기초로 정량적이고 기능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Pharmacokinetic Interaction between Nisoldipine and Repaglinide in Rats

  • Choi, In;Choi, Dong-Hyun;Yeum, Cheul-Ho;Choi, Jun-Shik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9권4호
    • /
    • pp.498-50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isoldipine on the pharmacokinetics of repaglinide in rats. The effect of nisoldipine on cytochrome P450 (CYP) 3A4 activity and P-glycoprotein (P-gp) were evaluated.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repaglinide were also determined in rats after oral (0.5 $mg{\cdot}kg^{-1}$) and intravenous (0.2 $mg{\cdot}kg^{-1}$) administration of repaglinide to rats without or with nisoldipine (0.3 and 1.0 $mg{\cdot}kg^{-1}$). Nisoldipine inhibited CYP3A4 enzyme activity with a 50% inhibition concentration of 5.5 ${\mu}M$. In addition, nisoldipine significantly enhanced the cellular accumulation of rhodamine-123 in MCF-7/ADR cells overexpressing P-gp. Compared to the oral control group, nisoldipin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UC_{0-{\infty}}$ and the $C_{max}$ of repaglinide by 46.9% and 24.9%, respectively. Nisoldipine also increased the absolute bioavailability (A.B.) of repaglinide by 47.0% compared to the oral control group. Moreover, the relative bioavailability (R.B.) of repaglinide was 1.16- to 1.47-fold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Nisoldipine enhanced the oral bioavailability of repaglinide, which may be attributable to the inhibition of the CYP3A4-mediated metabolism in the small intestine and/or in the liver and to inhibition of P-gp in the small intestine rather than to reduction of renal elimination of repaglinide by nisoldipine. The increase in the oral bioavailability of repaglinid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of potential drug interactions when co-administering repaglinide and nisoldipine.

Anti-breast cancer activity of Fine Black ginseng (Panax ginseng Meyer) and ginsenoside Rg5

  • Kim, Shin-Jung;Kim, An Ke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9권2호
    • /
    • pp.125-134
    • /
    • 2015
  • Background: Black ginseng (Ginseng Radix nigra, BG) refers to the ginseng steamed for nine times and fine roots (hairy roots) of that is called fine black ginseng (FBG). It is known that the content of saponin of FBG is higher than that of BG.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antitumor effects against MCF-7 breast cancer cells to target the FBG extract and its main component, ginsenoside Rg5 (Rg5). Methods: Action mechanism was determined by MTT assay, cell cycle assay and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from MTT assay showed that MCF-7 cell proliferation was inhibited by Rg5 treatment for 24, 48 and 72 h in a dose-dependent manner. Rg5 at different concentrations (0, 25, 50 and $100{\mu}M$), induced cell cycle arrest in G0/G1 phase through regulation of cell cycle-related proteins in MCF-7 cells. As shown in the results from western blot analysis, Rg5 increased expression of p53, $p21^{WAF1/CIP1}$ and $p15^{INK4B}$ and decreased expression of Cyclin D1, Cyclin E2 and CDK4. Expression of apoptosiserelated proteins including Bax, PARP and Cytochrome c was also regulated by Rg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g5 stimulated cell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at G0/G1 phase via regulation of cell cycle-associated proteins in MCF-7 cells. Conclusion: Rg5 promotes breast cancer cell apoptosis in a multi-path manner with higher potency compared to 20(S)-ginsenoside Rg3 (Rg3) in MCF-7 (HER2/ER+) and MDA-MB-453 (HER2+/ER)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and this suggests that Rg5 might be an effective natural new material in improving breast cancer.

Regulation of CYP1A1 and Inflammatory Cytokine by NCOA7 Isoform 4 in Response to Dioxin Induced Airway Inflammation

  • Cho, Sung-Hwan;Park, Shin Young;Lee, Eun Jeong;Cho, Yo Han;Park, Hyun Sun;Hong, Seok-Ho;Kim, Woo Ji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8권2호
    • /
    • pp.99-105
    • /
    • 2015
  • Background: Aryl hydrocarbon receptor (AhR), a ligand-dependent transcription factor, binds to a wide variety of synthetic and naturally occurring compounds. AhR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inflammatory response during acute and chronic respiratory diseases. We investigated whether nuclear receptor coactivator 7 (NCOA7) could regulate transcriptional levels of AhR target genes and inflammatory cytokines in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treated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s. This study was based on our previous study that NCOA7 was differentially expressed between normal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lung tissues. Methods: BEAS-2B and A549 cells grown under serum-free conditions were treated with or without TCDD (0.15 nM and 6.5 nM) for 24 hours after transfection of pCMV-NCOA7 isoform 4. Expression levels of cytochrome P4501A1 (CYP1A1), IL-6, and IL-8 were measured by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The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CYP1A1 and inflammatory cytokines were strongly induced by TCDD treatment in both BEAS-2B and A549 cell lines. The NCOA7 isoform 4 oppositely regulated the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CYP1A1 and inflammatory cytokines between BEAS-2B and A549 cell line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NCOA7 could act as a regulator in the TCDD-AhR signaling pathway with dual roles in normal and abnormal physiological conditions.

Zanthoxylum schinifolium잎의 methylene chloride 추출물의 화학적 조성 및 암세포에 대한 세포자살 유도활성과 그 작용기전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tumor Apoptogenic Activity of Methylene Chloride Extracts from the Leave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 김준석;전도연;우미희;이인구;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46-554
    • /
    • 2006
  •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는 산초 (Zanthoxylum schinifolium) 잎에 함유된 항암활성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산초잎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각 추출물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 및 세포자살 유도 활성을 조사하였다. Methanol,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n-butanol로 추출한 각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인체 급성백혈병 Jurkat T 세포주, estrogen receptor-positive 유방암 세포주 MDA 361과 estrogen receptor-negative 세포주 MDA 438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이 methylene chloride 추출물 (SL-14)에서 주로 확인되었다. Methylene chloride 추출물 (SL-14)의 Jurkat T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의 기전은 mitochondria로부터cytochrome c 방출, 이에 뒤이은 caspase-9 및 caspase-3의 활성화, PARP 분해, jnternucleosomal DNAfragmentation등의 일련의 생화학적 과정을 통해 유도되며 또한 Bcl-xL의 ectopic overexpression에 의해서는 negative regulation되는 세포자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SL-14를 GC-MS 분석하여, 9,19-cyclolanost-24-en-3-ol (15.1%), 2-a-methyl-17, b-hop-21-ene (15.1%), 15-methyl-2,3-dihydro-1H benzazepin (11.95%), phytol (10.38%), lupeol (9.92%), 12-methylbenzofuran (8.23%) 등을 포함한 22가지의 구성성분과 그 조성비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식용 산초잎에 함유된 항암 활성으로서의 세포자살유도 활성의 규명과 이해에 유익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과산화수소 엽면 처리에 의한 수수에서 한발 스트레스 완화 효과 (Mitigation Effects of Foliar-Applied Hydrogen Peroxide on Drought Stress in Sorghum bicolor)

  • 심두보;이승하;정종일;김민철;정정성;이영훈;전승호;송기은;심상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2호
    • /
    • pp.113-123
    • /
    • 2020
  • 본 논문은 과산화수소 엽면 처리를 통해 수수에서 한발 스트레스 완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과산화수소 처리에 따른 생육 및 생리적 특성 변화와 단백질 변화를 분석하였다. 1. 포장 실험에서 한발 스트레스는 수수 생장을 감소시켰으나, 과산화수소 처리구에서는 과산화수소 무처리구보다 생육이 우수하였다. 또한 한발 조건에서 과산화수소 처리는 무처리에 비해 수량 관련 형질들의저하를 막는 효과를 보였다. 2. 엽 녹색도(SPAD) 및 엽록소 형광(Fv/Fm), 광합성 형질 조사에서 과산화수소 처리가 과산화수소 무처리보다 높았고, 포장 실험에서 엽내 과산화수소 함량은 적습+H2O2 처리가 적습+H2O 처리보다 과산화수소 함량이 227.8 µmol·g-1 높았고, 한발 조건에서 엽내 과산화수소 함량은 한발+H2O2 처리가 한발+H2O 처리보다 16.7 µmol·g-1으로 낮았다. 3. 한발 조건에서 과산화수소 처리는 여러 단백질의 발현을 변화시켰으며, 특히 광합성 관련 단백질인 ATP synthase deltal chain, cytochrome b6-f complex iron-sulfur subunit, ATP synthase subunit gamma, putative uncharacterized protein Sb02g002690, Sb07g027500와 Superoxide 라디칼을 제거해주는 superoxide dismutase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단백질 보호와 복원에 관련된 heat shock protein의 발현 증가도 확인되었다. 종합적으로 과산화수소 엽면 처리가 한발 하에서 광합성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와 기공 개도를 높여 광합성 능력을 향상시켰다. 특히 엽내에 축적될 수 있는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항산화 능력이 높아져 한발 스트레스 대한 내성을 높여 수수의 생육과 수량성 저하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