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clohexene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3초

2-아릴-5,6,7,8-테트라히드로-3-신놀린온들의 합성 (Synthesis of 2-Aryl-5,6,7,8-tetrahydro-3-cinnolinones)

  • 안용현;이윤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1-66
    • /
    • 1985
  • 2-치환 5,6,7,8-테트라히드로-3-신놀린온 합성에 이용할 2-(2,2,2-트리클로로에틸리덴) 시클로헥산온(1)을 시클로헥산온과 클로랄의 엔아민축합으로 얻고자 하였다. 그러나 1-모르폴리노-1-시클로헥센(2)과 클로랄을 축합한 결과 2-(1-히드록시-2,2,2-트리클로로에틸)시클로헥산온(3)이 생성되었으며, 이것을 탈수시킨 결과 2-(2,2-디클로로비닐)-2-시클로헥센온(4)이 얻어졌다. 화합물 1대신에 ${\alpha}$-(4-모로폴린일)-${\alpha}$-(2-옥소시클로헥실)아세트산 모르폴린일륨(5)을 사용하여 아릴 하드라진들과 반응시킴으로써 2-아릴-5,6,7,8-테트라히드로-3-신놀린올들을 합성할 수 있었다.

  • PDF

大豆油의 말레酸化生成物의 分別에 關한 硏究 (Studies on the Separation of Maleic Anhydride Adducts of Soybean Oil)

  • 박서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7-72
    • /
    • 1977
  • 말레酸化大豆油의 附加生成物의 分別과 그 特性을 究明하기 위하여 大豆油 助成 成分인 올레酸과 리놀酸을 말레酸無水物과 反應시켜, 이를 TLC에 依하여 分別하였다. 展開溶劑로서는 石油에테르 : 디에틸에테르 = 7 : 3∼5 : 5(vol/vol)에서 가장 分別이 잘 되었으며, 4區分으로 各各 分別되었으며, 이中에서 主生成物인 第 2區分을 IR 및 UV에 依하여 儉素한 結果는 올레酸附加物과 리놀酸附加物은 succinic acid 型 附加를 하고 있으며, 짝지은 디엔 $C_{18}$ 脂肪酸은 cyclohexene型의 附加를 이루고 있음을 確認 하였다.

  • PDF

아로마테라피용 배초향(Agastache rugosa) 줄기의 방향성 정유 성분 (Flavoral Essential Oil Components in the Stems of Agastache rugosa for Aromatherapy)

  • 김정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17-324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avoral essential oil components in the stems of Agastache rugosa. These components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elective detector (GC-MSD). The stems of Agastache rugosa were contained alcohols, aldehydes, ketones, fatty acid esters, and terpenoids. The peak area (%) of estragole was highest among its oil components and the next were pulegone and menthone. The terpenoid alcohols found were 1-octen-3-ol, chavicol, spatulenol, 3-hexen-1-ol, 2-cyclohexen-1-ol, methyl eugenol, and octaethyllene glycol. The stems also contained ketones such as pulegone, menthone, cis-isopulegone, 2-cyclohexene-1-one, 3-octanone, 1-cyclohexanone, isoindole-1-one, t-ionone, inden-2-one, as well as the aldehydes of 4-methoxycinnam and benzaldehyde. The following esters were also detected 1-isopulegone-3-yl acetate, caryophyllene oxide, acetate and benzendicarboxylic acid ester. The terpenoids in the stems were identified as caryophyllene, limonene, cyclohexasiloxane-D, germacrene-D, anethole, cadinene, muurolene, and bourbonene. Overall Agastache rugosa contained several functional oil components including phenylpropanoids and terpenoids as flavoral essential oil components for natural aromatherapy.

Cashew Nut Oil: Extraction, Chromatographic and Rheological Characterisation.

  • Vincent Okechuwku ANIDIOBU;Chioma Oluchi ANIDIOBU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9권4호
    • /
    • pp.11-18
    • /
    • 2023
  • Oil was extracted from cashew nuts. The physicochemical parameters of the oil were determined. A chromatographic assay of the oil was carried out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eventeen compounds were detected: Phenol, Phenol 2-methyl-, Cyclohexene 4, 4-dimethyl-, m-Fluoro-2-diazoacetophenone 4-dimethyl-, Tetradecanoic acid, Phenol 4-octyl-, n-Hexadecanoic acid. Others are 9, 12-Octadecadienoic acid (Z, Z) - methyl ester, Hexadecanoic acid methyl ester, Methyl stearate, Dodecanoic acid methyl ester, 9, 12, 15-Octadecatrienoic acid methyl ester, 9, 12, 15-Octadecatrienoic acid (Z, Z, Z)-, Oleic acid, Octadecanoic acid, Tetracosanoic acid and 9-Octadecenoic acid methyl ester. Among the components are omega three and omega six essential free fatty acids. The rheological profiling and flow properties of cashew nut oil were determined using a Programmable Rheometer. Cashew nut oil exhibits slight dilatant behaviour at the low end of shear rate. The long chain and high molecular weight of its constituents controlled its rheology. Long-chained 9-Octadecenoic acid methyl ester, 9, 12-Octadecadienoic acid (Z, Z) - methyl ester, Tetracosanoic acid and methyl stearate, coupled with their high molecular weights are responsible for the shear thickening effect observed. Two models, Carreau-Yasuda and Ostwald-de Waele Power Law were employed to fit the rheological data. The Carreau-Yasuda model followed well the data.

다마스콘 및 관련 향료물질의 합성 : 베타다마스콘 (Synthesis of Damascones and Related Flavoring Compound : ${\bdta}$-Damascone)

  • 이우영;박정미;남기홍;장세영;박외숙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83-487
    • /
    • 1986
  • 방향을 지니는 천연물인 베타다마스콘(I)을 2,2,6-트리메틸시클로헥산온(II)으로부터 출발하여 합성하였다. 아세틸렌의 THF포화용액을 2차 부틸리튬으로 처리하여 얻은 모노아세틸화 음이온을 -78${\circ}C$에서 (II)와 반응시켜 에틴일하고, 이 때 생긴 에틴일카르비놀(III)을 옥살산 또는 포름산과 함께 끓여서 이성질화시켜 일종의 아세틸시클로헥산(IV)을 얻었다. (IV)를 2차 부틸리튬으로 처리하여 생성되는 엔올화 음이온을 잘 건조시킨 아세트알데히드와 반응시켜서 생성되는 베타히드록시케톤(V)을 파라톨루엔술폰산으로 탈수하여 트란스-2,2,6-트리메틸-1-크로톤일-1시글로 헥센, 즉 다마스콘(I)을 합성하였다.

  • PDF

Cr(VI)-6-Methylquinoline을 이용한 치환 벤질 알코올류의 산화반응과 속도론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Kinetics and Oxidation Reaction of Substituted Benzyl Alcohols Using Cr(VI)-6-Methylquinoline)

  • 박영조;김영식
    • 공업화학
    • /
    • 제26권3호
    • /
    • pp.372-376
    • /
    • 2015
  • 6M HCl 용매 하에서 6-메틸퀴놀린과 chromium(VI) trioxide의 반응을 통하여 6-MQCC(크롬(VI)-6-메틸퀴놀린) 착물을 합성하였다. 적외선분광광도법(IR), 유도결합 플라즈마(ICP) 등으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여러 가지 용매 하에서 6-MQCC을 이용하여 벤질 알코올의 산화반응을 측정한 결과, 용매의 유전상수 값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수율이 증가했다. 그 순서는 DMF > 아세톤 > 클로로포름 > 시클로헥센이었다. 산($H_2SO_4$) 촉매를 이용한 DMF 용매 하에서, 6-MQCC은 벤질 알코올(H)과 그의 유도체들($p-OCH_3$, $m-CH_3$, $m-OCH_3$, m-Cl, $m-NO_2$)을 효과적으로 산화시켰다. 전자받개 그룹들은 반응속도가 감소한 반면에 전자주개 치환체들은 반응속도를 증가시켰고, Hammett 반응상수(${\rho}$) 값은 -0.69 (308 K)이었다. 본 실험에서 알코올의 산화반응 과정은 속도결정단계에서 수소화 전이가 일어났다.

4-비닐시클로헥센을 이용한 방향족 니트로 화합물의 환원반응 (Catalytic Hydrogen Transfer Reduction of Aromatic Nitro Compounds with 4-Vinylcyclohexene)

  • 김홍석;김동일;김청식;주영제
    • 공업화학
    • /
    • 제5권5호
    • /
    • pp.871-877
    • /
    • 1994
  • 부타디엔의 고분자반응 또는 운반 및 보관과정에서 이량화되어 생성되는 4-비닐시클로헥센(VCH)을 이용하여 방향족 니트로화합물을 Pd/C 촉매하에서 촉매 전달 수소화반응시켜 높은 수율의 아닐린유도체로 합성하였다. 니트로벤젠고리에 치환기가 치환된 오르토-니트로톨루엔, 오르토-니트로페놀, 오르토-니트로아니졸의 경우는 파라-니트로톨루엔, 파라-니트로페놀, 파라-니트로아니졸의 반응보다 반응 소요시간이 길었다. 4-비닐시클로헥센-에탄올-Pd/C계에서 오르토, 메타, 파라-클로로니트로벤젠, 파라-니트로벤즈알데히드, 파라-니트로벤질알코올, 파라-니트로벤질 아세테이트 등의 화합물에서는 환원반응뿐만 아니라 가수소 분해반응도 진행되어 파라-톨루이딘이 생성되었다.

  • PDF

크롬(VI)-피라진 착물을 이용한 알코올류의 산화반응과 메카니즘 (Mechanism for the Oxidation Reaction of Alcohols Using Cr(VI)-Pyrazine Complex)

  • 박영조;김영식
    • 공업화학
    • /
    • 제27권1호
    • /
    • pp.110-114
    • /
    • 2016
  • 6M HCl 용매 하에서 피라진과 chromium (VI) trioxide의 반응을 통하여 PZCC (크롬 (VI)-피라진 착물)을 합성하였다. 적외선분광광도법(IR), 유도결합 플라즈마(ICP) 등으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여러 가지 용매 하에서 PZCC을 이용하여 벤질알코올의 산화반응을 측정한 결과, 용매의 유전상수 값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수율이 증가했다. 그 순서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 아세톤 > 클로로포름 > 시클로헥센이었다. 산($H_2SO_4$) 촉매를 이용한 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매 하에서, PZCC은 벤질알코올(H)과 그의 유도체들($p-OCH_3$, $m-CH_3$, $m-OCH_3$, m-Cl, $m-NO_2$)을 효과적으로 산화시켰다. 전자받개 그룹들은 반응속도가 감소한 반면에 전자주개 치환체들은 반응속도를 증가시켰고, Hammett 반응상수(${\rho}$)값은 -0.70 (308 K)이었다. 본 실험에서 알코올의 산화반응 과정은 속도결정단계에서 수소화 전이가 일어났다.

향유와 꽃향유의 향기성분 조성 비교 (The Comparison of Flavor Components Extracted from Elsholtzia ciliata and Elsholtzia splendens)

  • 이재곤;곽재진;임홍빈;정재훈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9-116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of flavor components of Elsholtzia ciliata and Eisholtzia splendens in order to obtain basic inform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tobacco and food industry. Flavor components extracted were divided into three fractions ; essential oil, absolute and oleoresin from E. ciliata and E. splendens. Essential oil was extrac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SDE), absolute and oleoresin were extracted by $100\%$ n-hexane and $50\%$ ethanol, respectively. Yields of the essential oil, absolute and oleoresin fractions from E. ciliata were $0.34\%,\;11.34\%\;and\;15.24\%,$ and those from E. splendends were $0.28\%,\;12.45\%\;and\;9.95\%$, respectively. The major components of essential oil of E. ciliata were naginata ketone$(29.37\%)$, elsholtzia ketone$(14.37\%)$ and rosefuran$(11.76\%)$. The major components of essential oil of E. splendens were 2-cyclohexen-1-one$(26.81\%)$, elsholtzia ketone$(13.46\%)$ and naginata ketone$(5.26\%).$ The composition of flavor components showed a slight difference between essential oils of E. ciliata and E. splendens. The major components of absolute fraction from E. ciliata were linoleic acid$(12.07\%),$ palmitic acid$(10.46\%)$ and 2-cyclohexene-1-one$(5.39\%).$ And those from E. splendens were linoleic acid$(12.38\%),$ palmitic acid$(9.47\%)$ and naginata ketone$(8.86\%).$ Ethyl linoleolate was a major component in oleoresin of E. ciliata and E. splendens.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디올의 수분산 폴리우레탄에 응용 (Application of Polycarbonate Diol Prepared with Carbon Dioxide in the Field of Waterborne Polyurethane)

  • 임재우;오형진;김영조;정광은;임진형;고영수
    • 폴리머
    • /
    • 제34권6호
    • /
    • pp.507-510
    • /
    • 2010
  • 이산화탄소와 에폭사이드를 크롬계 전이 금속촉매를 이용하여 교대 공중합하여 poly(cyclohexane carbonate) diol(PCCD)을 분자량 별로 제조하였다. 이산화탄소를 기반으로 한 폴리카보네이트(PCCD)의 응용분야 탐색을 위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PUD) 제조를 위한 전구체로 적용하여 보았다. 상업화되어 사용중인 폴리카보네이트 디올과 신규 PCCD로 제조한 PUD의 내스크래치 특성과 열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PCCD를 사용하여 제조된 PUD 필름의 내스 크래치성과 열분해온도는 PCD를 사용한 경우보다 떨어지지만, 유리전이온도는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PCCD의 강직한 사이클로 헥산 구조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