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ber Incident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5초

계층적 침해자원 기반의 침해사고 구성 및 유형분석 (The Composition and Analytical Classification of Cyber Incident based Hierarchical Cyber Observables)

  • 김영수;문형진;조혜선;김병익;이진해;이진우;이병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139-153
    • /
    • 2016
  • 최근 침해정보공유센터와 기업의 보안시스템으로 부터 수집되는 침해사고의 수는 악성코드의 확산으로 인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사이버 공격으로 인해 침해 사고가 발생했을 때 침해사고 분석가들은 대량의 침해사고 데이터를 분류 및 분석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에 직면한다. 이에 대한 기존의 해결책으로 다중 연관분석을 통한 유사침해사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침해사고 분석시스템이 있으나 이는 분석가에게 분석할 침해사고의 수를 축소시켜 주는 효과가 있을 뿐 침해분석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그 근본적인 이유는 비현실적인 침해사고의 구성을 야기하는 침해자원 기준으로 침해사고를 분류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침해사고를 기준으로 침해자원을 계층적으로 분류하고 유사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분석을 통하여 신규 침해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유사한 침해사고 유형에 대한 정보를 침해사고 분석가에게 제시하는 침해사고 분석 모델을 제안하고 검증을 위하여 침해사고분석 모듈을 구현하였다. 제안 모델은 의미 있는 침해사고 구성과 유형 분류의 제공을 통해 실용성을 확대한다.

보안 인텔리전트 유형 분류를 위한 다중 프로파일링 앙상블 모델 (Ensemble Model using Multiple Profiles for Analytical Classification of Threat Intelligence)

  • 김영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31-237
    • /
    • 2017
  • 최근 기업의 보안 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되는 보안 인텔리전스 수는 악성코드의 확산으로 인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빅 데이터 환경이 도래하면서 기업들은 침해사고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 기업이 수집할 수 있는 침해사고 정보가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보안 인텔리전스를 구성하고 있는 침해사고의 다양한 속성을 사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유사침해사고를 그룹별로 분류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사도 비교 분석 이론에 근거하여 침해사고를 공격유형과 침해자원을 고려한 다중 프로파일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보안 인텔리전스를 구성하고 있는 침해사고 유형 분류의 정확성을 개선하는 다중 프로파일 기반 앙상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침입탐지시스템에서 수집된 계층적 침해자원에 대한 유사도 분석을 통해 새로운 침해사고를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사실적이고 의미 있는 침해사고의 구성을 통한 유형 분류는 새로운 침해사고에 대한 유사 침해사고를 정확하게 분류 제공함으로써 분석의 실용성을 향상시킨다.

침해사고 신고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정보통신망법 개선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Act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Cyber Incident Reporting)

  • 이태승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3권5호
    • /
    • pp.801-811
    • /
    • 2023
  • 정보통신망 침해사고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침해사고 신고율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관련법의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침해사고 신고의 실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법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먼저 국내 언론에서 보도된 침해사고 신고제도 관련 이슈를 분석하여 현행 침해사고 신고제도의 개선 필요사항으로 "미신고" 및 "적시 미신고"를 정의하고, 해외기관이 발표한 침해사고 신고 이슈사항과의 연관성 및 법 개정 필요성 분석을 통해 "신고 주체", "신고 기점", "신고 기한", "신고정보 보호"의 4가지 법 개정 요구사항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국내외 입법례 분석을 통해 법 개정 요구사항에 대한 개선안을 제안한다.

Study on Real-time Cooperation Protect System Against Hacking Attacks of WiBro Service

  • Park, Dea-Woo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9권4호
    • /
    • pp.353-357
    • /
    • 2011
  • U.S. Obama government is submit a motion to consider cyber attacks on State as a war. 7.7DDoS attack in Korea in 2009 and 3.4 DDoS attacks 2011, the country can be considered about cyber attacks. China hackers access a third country, bypassing South Korea IP by hacking the e-commerce sites with fake account, that incident was damaging finance. In this paper, for WiBro service, DDoS attacks, hackers, security incidents and vulnerabilities to the analysis. From hacker's attack, WiBro service's prognostic relevance by analyzing symptoms and attacks, in real time, Divide Red, Orange, Yellow, Green belonging to the risk rating. For hackers to create a blacklist, to defend against attacks in real-time air-conditioning system is the study of security. WiBro networks for incident tracking and detection after the packets through the national incident response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SIEM 기반 사이버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데이터 보완 메커니즘 비교 분석 (Analysis of Cyber Incident Artifact Data Enrichment Mechanism for SIEM)

  • 이형우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9
    • /
    • 2022
  • 최근 IoT 및 휴대용 통신 단말에 각종 서비스가 연동되면서 해당 디바이스의 보안 취약점을 악용한 사이버 공격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지능형 지속위협(APT) 공격을 통해 대단위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기종 형태의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침해사고 발생시 대응 체계의 유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위협 분석 및 탐지 성능이 향상되도록 수집된 아티팩트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보완(Data Enrichment) 메커니즘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침해사고 분석을 위해 수집된 아티팩트를 대상으로 기존의 사고관리 프레임워크에서 수행하는 데이터 보완 공통 요소를 분석하여 실제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특징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된 사고분석 프레임워크 프로토타입 구조를 제시하였으며 도출된 데이터 보완 확장 요소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이기종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아티팩트를 대상으로 사이버 침해사고 분석 시 탐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침해사고대응 교육과정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ringement Incident Response Curriculum Model in IoT Environment)

  • 이근호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55-60
    • /
    • 2023
  • 사물인터넷 환경은 보안 위협에 상당히 취약하며, 침해사고가 발생하면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사물인터넷 환경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사물인터넷 환경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침해사고대응 교육과정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교육과정 모델은 사물인터넷 환경의 보안 위협, 침해사고의 종류, 침해사고대응 절차 등을 위한 모델로 설계하였다. 제안된 교육과정 모델은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보안 인식을 향상시키고, 사물인터넷 분야에서의 침해사고대응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기여가 예상된다. 제안된 교육과정 모델은 사물인터넷 환경의 보안을 강화하고, 사물인터넷에서의 침해사고대응을 통한 안전성이 기대된다.

OPC 프로토콜을 활용한 제어시스템 보안로그 전송방법 고찰 및 통합 로그서버 구축방안 (A Study for Integrating ICS Security Logs with Centralized SIEM (Security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 using OPC Protocol)

  • 김재홍;박용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1205-1212
    • /
    • 2022
  • 산업제어시스템 (ICS)을 공격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 보안 위협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발전, 가스, 정유 시설과 같은 국가 기반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이버 보안 사고는 인명 손실 및 대형 화재와 같이 재난 수준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제어시스템을 목표로 하는 사이버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ICS 환경을 고려한 다 계층 방어 전략이 필요하며, 특히 제어 망과 IT 환경에서 발생하는 보안 로그들을 통합된 환경에서 운영하는 전략은 기반시설 침해사고 대응에 있어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어 망에서 발생하는 보안 로그들을 IT 환경에서 운영하는 SIEM (Security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으로 전송 하는 방법으로 OPC 프로토콜을 활용하는 방안을 소개하고, 이를 통하여 IEC 62443에서 정의하는 제어시스템 전 계층 (Level 0 ~ Level 4)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통합할 수 있는 보안 로그 서버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선박 사이버보안 책임자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Training Course for Ship Cyber Security Officers)

  • 이은수;안영중;박성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830-837
    • /
    • 2020
  •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선박과 육상 간의 정보교환은 더욱 빠르고 편리해졌으나 선박정보에 대한 접근이 용이해져 사이버보안 공격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선박이 사이버 공격의 피해를 입게 되면 복구하는데 막대한 비용과 시간 손해가 발생하며, 해사 산업계는 선박 사이버보안 책임자를 지정하여 보안관리 업무를 담당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공격의 피해를 줄이고 효과적인 대응을 위하여 선박 사이버보안 책임자를 위한 전문적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선박 사이버보안 책임자 교육과정과 법제정비 필요성 제시에 있으며, 이를 위해 국내외 동향 및 사고사례, 주요 사이버보안 교육과정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선박 사이버보안 책임자에게 필요한 표준교육과정을 개발하였고 관련 법제정비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향후 선박 사이버보안 책임자 교육과정을 개설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인터넷 침해유형과 대응조직 (Cyber Attack Type and CERT)

  • 우성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11-914
    • /
    • 2014
  • 인터넷이 우리의 생활의 기본 인프라로 자리 잡고 사이버 공간에서의 생활이 일상화되면서 부가적인 많은 문제점들이 생겨났다. 그 중 사이버 침해는 정보사회의 가장 심각한 문제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해마다 증가하는 사이버공격, 지능화되고 진화하는 공격 유형 등으로 사이버 생태계가 더 복잡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인터넷 침해 사고 현황과 인터넷 침해 유형 및 해킹방법을 분석하고 국내 대응 조직 및 국제 협의체 현황을 분석하였다.

  • PDF

APT 공격 사례 분석을 통한 사이버 킬체인과 TTP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n cyber kill chain and TTP by APT attack case study)

  • 윤영인;김종화;이재연;유석대;이상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91-101
    • /
    • 2020
  • 과거 해외에서 발생한 APT 공격사례를 사이버 킬체인 모델과 TTP 모델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이버 킬체인 모델은 전체적인 윤곽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이지만 구체적인 방어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는 부적합하며, TTP 모델로 분석해야만 실질적인 방어 체제를 구비하는데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 공격을 대비하는 관점에서 심층 방어선 구축에 적합한 TTP 모델 관점에서 방어 기술 개발이 필요함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