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5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2초

도시교통 체증완화를 위한 효율적인 수송체계에 관한 연구 - 컨테이너 수송시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 Container Transport System for the Relief of Urban Traffic Congestion -A Container Transport Time-Oriented-)

  • 김태곤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3-43
    • /
    • 1990
  • 우리나라에서는 70년대 이후 컨테이너 수송체계가 도입되어 운영되어 왔으나 차량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컨테이너 수송체계는 도시교통에 있어서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는 것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특히, 부산항은 우리나라 최대의 국제 무역항으로써 전 컨테이너 수송화물의 90%이상을 처리하고 있고, 또한 수출입항으로서 제 역할을 다하고 있으나 낮은 도로율(12.45%)과 산재해 있는 30여개의 Off-Dock CY로 인해서 도심을 통과하는 컨테이너 수송차량은 많은 교통문제를 유발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1) 부산시에 산재해 있는 30여개의 Off-Dock CY에 이르는 주요 도로상에서 컨테이너 수송량의 신간별 분포에 따라 컨테이너의 운행시간대를 첨두 시간대, 비첨두 시간대 및 심야 시간대로 분류하여 각 시간대별 평균 수송 시간 및 교통 체증으로 인한 수송 지체수준을 확인하였고, 2) 컨테이너 전용부두로 부터 Off-Dock CY에 이르는 도시 고속도로 및 주요간선도로상에서의 수송시간 및 수송 지체수준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3)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컨테이너 수송체계를 위한 최적 수송시간대 및 도로체계를 제시할 수 있었다. 특히, 컨테이너 수송시간 및 지체수준은 각 운행 시간대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는데, 심야 시간대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수송을 할 경우에는 다른 시간대에 비하여 50%정도의 수송시간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으며, 도시 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에는 도시 간선도로에 비하여 30%정도의 수송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도시지역의 교통체중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심야 시간대에 보다 많은 컨테이너 수송차량이 이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 수송체계가 확립되어야 하고, 산재해 있는 Off-Dock CY를 몇개의 ODCY그룹이나 단지까지 컨테이너 전용 고속도로의 건설이 바람직하고 생각된다.리구에서 조사한 결과 $10^{-3}$ M MGBG 단독 처리구에서 에틸렌 생성량이 가장 높았으며, spermidine과 spermine의 함량은 가장 낮았다. 부정근 형성능이 다소 회복된 $10^{-3}$ M MGBG+ $10^{-5}$M spermine 혼합처리구에서의 에틸렌 생성량은 대조구보다는 다소 높게 나타났다. 부정근 회복능이 가장 높았던 $10^{-3}$ M MGBG+ $10^{-5}$ M spermine + $10^{-4}$ M Cocl$_2$ 혼합처리구에서 에틸렌 생성량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polyamine 함량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Cyperaceae), 명아주과(Chenopodiaceae) 같은 풀들이 하구언(estuary)의 해안가에 주로 서식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동안에 해양성조류인 와편모류와 담수성 조류가 동시에 다양하게 산출되는 것은 하구언 퇴적환경이었음을 잘 지시해 준다. 제II화분대(고도, 43.72{\sim}3.36\;m$)가 시작되면서 혼합림은 침엽수림으로 바뀌었으며, 낙엽활엽수들의 서식지가 2엽소나무로 대치되면서 침엽수가 주요 수종을 이루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도 이런 산림형태는 자연 기후환경변화 뿐만 아니라 인간간섭에 의해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이 시기에 경작식물인 벼과(Gramineae), 옥수수(Zea), 메밀(Fagopyrum)과 논밭의 뚝 등지 에서 서식하는 돼지풀(Ambrosia) 등이 처음으로 산출되는 것으로 보아 인간간섭이 행해졌음을 잘 뒷 받침해준다. 또한 담수성 조류는 변함없이 산출되는 반면, 해양성조류인 와편모류가 산출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해안환경에서 다소 멀 어진

  • PDF

Stimulatory Effects of Sugarcane Molasses on Fumigaclavine C Biosynthesis by Aspergillus fumigatus CY018 via Biofilm Enhancement

  • Tao, Jun;An, Fa-Liang;Pan, Zheng-Hua;Lu, Yan-Hu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5호
    • /
    • pp.748-756
    • /
    • 2018
  • Biofilms are of vital significance in bioconversion and biotechnological processes. In this work, sugarcane molasses was used to enhance biofilms for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on of fumigaclavine C (FC), a conidiation-associated ergot alkaloid with strong anti-inflammatory activities. Biofilm formation was more greatly induced by the addition of molasses than the addition of other reported biofilm inducers. With the optimal molasses concentration (400 g/l), the biofilm biomass was 6-fold higher than that with sucrose, and FC and conidia production was increased by 5.8- and 3.1-fold, respectively. Moreover, the global secondary metabolism regulatory gene laeA, FC biosynthetic gene fgaOx3, and asexual central regulatory genes brlA and wetA were upregulated in molasses-based biofilms, suggesting the upregulation of both asexual development and FC biosynthesis. This study provides novel insight into the stimulatory effects of molasses on biofilm formation and supports the widespread application of molasses as an inexpensive raw material and effective inducer for biofilm production.

자성 산화철(iron oxide) 나노입자를 이용한 DNA 센서 개발 (Development of DNA Sensor Using Magnetic Iron Oxide Nanoparticle)

  • 남기창;송광섭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8권6호
    • /
    • pp.51-56
    • /
    • 2011
  • 자성 산화철 나노입자(iron oxide nanoparticle, ${\gamma}-Fe_2O_3$) 표면을 기능성 유기 분자를 이용하여 아민기($-NH_2$), 카르복실기(-COOH)로 표면 처리 하였으며, 이들 기능기로 표면 처리된 산화철 나노입자를 FT-IR을 이용하여 나노입자 표면을 분석하였다. 아민기, 카르복실기로 표면처리된 산화철 나노입자 표면에 특정 배열을 갖는 21-base pair 길이의 프로브 DNA를 고정하였고, 형광 라벨(Cy5)이 부착된 상보적, 비상보적 타게트 DNA를 이용하여 고정된 프로브 DNA와 hybridization을 진행하였다. 각각의 상보적, 비상보적 타게트 DNA와 hybridization 처리한 산화철 나노입자를 confocal microscopy를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 산화철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특정 배열의 DNA검출에 성공하였다.

Changes in Human Gene Expression After Sleep Deprivation

  • Sun, Je Young;Kim, Jong Woo;Yim, Sung-Vin;Oh, Miae;Kang, Won Sub
    • 생물정신의학
    • /
    • 제29권1호
    • /
    • pp.9-14
    • /
    • 2022
  • Objectives Sleep is fundamental to maintaining homeostatic control and has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n humans. To better understand the function and pathophysiology of sleep, specific gene expressions in reference to sleep deprivation have been studi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gene expression of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after sleep depriv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functional consequence of sleep. Methods In eight healthy men, 24 h sleep deprivation was induced. Blood was sampled at 14:00, before and after sleep deprivation. mRNA was isolated and analyzed via microarrays. cDNAs before and after sleep deprivation were coupled to Cy3 or Cy5, respectively, and normalized cDNAs were selected with a ratio greater than two as a significant gene. Results are expressed as mean. Results Among 41174 transcripts, 38852 genes were selected as reliable, and only a small minority (< 1%) of the genes were up-or down-regulated. Total six and eleven genes were selected as significant upregulated and downregulated genes, respectively.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receptor type O was most upregulated (6.9-fold), and low-density lipoprotein receptor-related protein 5-like protein showed the most substantial inhibition (0.06-fold).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sleep deprivation and the immune system. Acute sleep deprivation affects pathways in proinflammatory cytokines as well as metabolic pathways of glutamate and purine, neurotransmitters related to sleep and wake cycle.

Effect of PEG chain additive on 6,8-dichloro-2-phenylimidazo[1,2-a] pyridineacetamide (CB185) as a TSPO-binding ligand

  • Lee, Won Chang;Lee, Sang Hee;Denora, Nunzio;Laquintana, Valentino;Lee, Byung Chul;Kim, Sang Eun
    •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9-100
    • /
    • 2019
  • In our previous studies, we developed a 18F-labeled TSPO-binding ligand, named [18F]CB251, which has been proved to be a promising TSPO-binding PET radiotracer for the detection and monitoring of TSPO expression in pathological diseases. (Ki = 0.27 nM for TSPO, 1.96% ID/g of tumor uptake at 1h post-injec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utilized 6,8-dichloro-2-phenylimidazo[1,2-a]pyridineacetamide analogs, CB185 (1) as a targeting moiety for the selective delivery of probes and anticancer molecules to TSPO-overexpressed tissues. In this study, we designed CB185 derivatives contains different PEG chains (n = 1, 3 and 5) and fluorescence dye (Cy5) to identify the necessary space between a TSPO-binding ligand and an anticancer agent. Three CB185 derivatives (11a-c) which contains Cy5 and PEG chain, were synthesized and the effect of PEG additive on their TSPO-binding affinities were evaluated using in vitro assays. The binding affinity for compounds 11a-c was lower than that of PK11195 (Ki = 3.2 nM), but still characterized by nanomolar binding affinity for TSPO (Ki = 46.5 nM for 11a, 51.0 nM for 11b, and 388.5 nM for 11c).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conjugates are characterized by a moderate binding affinity toward TSPO except for compound 11c, which PEG chain consist of five PEG monomers. Our finding might add useful information to decide the appropriate PET chain length for developing new TSPO-targeting drug carriers.

N-acetyl-L-cystein, N-acetyl-L-cystein Amide, Glutathione 및 Cysteamine 항산화제가 소 체외수정란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tioxidants, N-acetyl-L-cystein, N-acetyl-L-cystein Amide, Glutathione or Cysteamine on the Development of in vitro Fertilized bovine Oocytes)

  • 김민수;김찬란;김남태;전익수;김성우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01-207
    • /
    • 2017
  • 소 난자의 체외 성숙 및 발달과정에서 항산화제의 첨가는 발생과정에 생성될 수 있는 ROS를 조절하여 체외발생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소 수정란의 성숙과정과 발생과정에서 ROS에 대한 방어 기작에 필요한 물질로 -SH기(thiol group)을 함유하고 있는 NAC, NACA, GSH 및 CYS를 첨가하여 COCs의 난자 성숙율과 체외 수정 후 수정란의 발생율을 조사하였다. 도축장 유래 난소의 성숙율은 항산화제 처리군과 대조군에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으나(p>0.05), 배반포 형성율은 0.1 mM CYS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32.3{\pm}5.0%$로 유의적으로 높게 관찰되었다(p<0.05). 항산화제 0.3 mM NAC, 0.2 mM NACA 또는 0.5 mM GSH를 처리하는 실험군에서 배반포 형성율은 각각 $18.8{\pm}3.7%$, $21.2{\pm}3.9%$$26.5{\pm}5.0%$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항산화 물질인 NAC, NACA, GSH 및 CYS을 난자의 성숙 및 수정란 배양과정에 첨가하면 난자의 성숙에 영향이 없으나, CYS처리군이 배반포형성율에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p<0.05).

Effects of Bifidus Enhancer Yogurt on Relief from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 Choi, Jin-Hee;Jeong, Seung-Hwan;Cho, Young-Hoon;Cho, Yun-Kyung;Choi, Hae-Yeon;Kim, Sun-Im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4-30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ifidus enhancer yogurt (BEY) on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in rats. The bifidus enhancer, made of rice-DDGS (Dried Distillers Grains with Solubles), improved proliferation of bifidobacteria (BB-12). Male SD rats were induced with constipation using loperamide and were then us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BEY in relieving constipation. The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group (NOR), loperamide-treated group (LOP), bifidus enhancer yogurt and loperamide-treated group (L-BEY), and commercial yogurt and loperamide-treated group (L-CY). Treatment of loperamide reduced the wet weight and water content of fecal pellets, but increased the number of fecal pellets in the distal colon. Meanwhile, the fecal weight of the L-BEY group showed an increase of 43% and 23% versus the LOP and L-CY group, respectively. Also, the fecal water content in the L-BEY group was 14.5% and 6.8% higher than that in the LOP and L-CY group,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L-BEY group had the fewest fecal pellets in the distal colon. In the serum lipid parameters, the LOP group had a HDL/total cholesterol ratio that was 43% lower than the NOR group, but the L-BEY group had 27% lower than NOR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bifidus enhancer yogurt has superior effects when it comes to relieving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in rats.

생쥐의 체액성 면역에 미치는 인삼사포닌 분획물들의 영향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 Fractions on Humoral Immunity of Mouse)

  • 박한우;김세창;정노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63-67
    • /
    • 1988
  • 인삼사포닌 분획물들(total saponin, diol saponin and triol saponin)이 생쥐의 항체생성에 미치는 영향과 면역억제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혈청총단백질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Total saponin은 10mg/kg/day, diol saponin은 10mg/kg/day, triol saponin은 5mg/kg/day로 생쥐에 투여하였을 때 순환성 항체가 가장 많이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CY로 면역을 억제시킨 상태에서는 인삼사포닌을 투여하여도 순환성 항체의 생성이 대조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인삼사포닌은 항체생성과 혈청총단백질의 증가에 서로 다른 농도로 작용을 나타낸다.

  • PDF

황해 중앙부 해역 니질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및 퇴적률 (Rate of Sediment Accumulation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ddy Sediment in the Central Yellow Sea)

  • 윤정수;김여상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6
    • /
    • 2002
  • 황해 중앙부 해역에 분포하는 니토대의 공급지와 퇴적작용을 파악할 목적으로 이곳 니질 퇴적물에서 채취한 4개의 시료에서 분석한 화학조성과 기존의 황하, 양자강 및 한반도의 금강 퇴적물 등의 지화학적 자료와 비교하고 퇴적률을 추정하였다. 연구지역 표층 퇴적상의 분포는 사질 퇴적상이 분포하는 동쪽지역, 니토대가 분포하는 서쪽지역, 중앙부지역에 남북방향의 대상분포를 보이는 혼합 퇴적상으로 구분된다. 퇴적물내 탄산염 함량은 2.B~10.5%의 범위를 보이고 사질 퇴적물이 분포하는 동쪽보다 니질 퇴적물이 분포하는 서쪽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Pb-210 동위원소를 이용한 연구지역 니질 퇴적물의 퇴적률은 0.21~0.68cm/yr 혹은 0.176~0.714 g/$\textrm{cm}^2$.yr의 범위를 보였다. 황하와 가까운 산둥반도 동쪽 정점 CY96010에서 퇴적률은 0.68cm/yr 혹은 0.714g/$\textrm{cm}^2$. yr의 높은 값을 보이고, 황해 중앙부 해역 정점 CY96008과 CY96002에서 퇴적률은 0.21~0.23cm/yr혹은 0.176~0.220g/$\textrm{cm}^2$. yr로 낮은 값을 보여 황하기원 퇴적물이 황해 중앙부 해역까지 이동되어 퇴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황해 중앙부 해역 니질 퇴적물의 화학조성 중 Ca, Na, Sr, Ho, La, Tb 및 Ta원소함량과 Ca/Ti비는 양자강 퇴적물보다는 높고, 황하보다는 낮거나 이와 비슷한 함량 변화 경향을 보였고, Fe, Ti, Ni, Co, Cr, Cu, Pb, Sc, Ce, Nd, Sm, Eu, Gd 및 Dy 원소함량은 황하 퇴적물 보다는 높고, 양자강보다는 낮으나 이와 비슷한 함량변화를 보였다. 반면, Mn, K 및 Sr 원소는 금강과 황해 동쪽의 퇴적물보다는 낮으나 이와 비슷한 함유량을 보였고, Zn, Rb, Cd, U, Cs 및 Li 원소는 비교지역 보다 높은 함량치를 보였다. 따라서 황해 중앙부 해역에 분포하는 니질 퇴적물의 공급지는 황하 및 고황하기원 물질이고, 이외에 양자강과 금강으로부터 공급된 물질과 황해 난류수에 의해 운반된 생물기원 물질의 영향도 다소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Evaluation of Porcine Myofibrillar Protein Gel Functionality as Affected by Microbial Transglutaminase and Red Bean [Vignia angularis] Protein Isolate at Various pH Values

  • Jang, Ho Sik;Lee, Hong Chul;Chin, Koo Bo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841-846
    • /
    • 2015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microbial transglutaminase (MTG) with or without red bean protein isolate (RBPI) on the porcine myofibrillar protein (MP) gel functionality at different pH values (pH 5.75-6.5). Cooking yield (CY, %), gel strength (GS, gf),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were determined to measure gel characteristics. Since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the interaction between 1% RBPI and pH, data were pooled. CY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1% RBPI, while it was not affected by pH values. GS increased with increased pH and increased when 1% RBPI was added, regardless of pH. There were distinctive endothermic protein peaks, at 56.55 and 75.02℃ at pH 5.75, and 56.47 and 72.43℃ at pH 6.5 in DSC results, which revealed decreased temperature of the first peak with the addition of 1% RBPI and increased pH. In SEM, a more compact structure with fewer voids was shown with the addition of 1% RBPI and increased pH from 5.75 to 6.5. 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was highly dense and hard at pH 6.5 when RBPI was adde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ddition of 1% RBPI at pH 6.5 in MTG-mediated MP represent the optimum condition to attain maximum gel-formation and protein gel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