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tting seeds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33초

"음식법(찬법)"의 조리학적 고찰 (A Study on the cooking in "Umsikbup")

  • 박미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83-302
    • /
    • 1996
  • The Umsikbup is a book of Korean woman's life in the Yi-dynasty which published in middle of nineteenth century by unknown author. I have studied the food habits of the Yi-dynasty that wrote in umsikbup as followings ; The stape foods are Bab (boiled cooked rice) 1, Myons (noodles) 4 and Mandu 5 kinds. The side dishes are Guk (soup) 3, Sinsollo 1, Jim 9, Jijim 1, Nooruemi 6, Sun 2, Po 3, Muchim 1, Jabans 3, Jockpyuns 2, Pyunyuk 1, Chae 2, and Kimchi 1 kinds. Thare are D'ock 22, Kwajung 46, Beverages 9 and alcohol are 4 kinds. There are many kinds of Dasikk of the Kwajung in the Umsikbup than no other cooking books. The seasonings are soybean sauce 5, honey 6, oil 4 and sesame seeds 3, ect. There are the description of food types in the seasonal variation and also there are the wisdom of life and avoiding food ; toxic meats, fishes, vegetables and fruits in the taboo food. There are most of Kwajung in the Chanhap (food packed in nest of boxes) in addition to beverages, D'ock, Mandu, decoration methods in the seasonal variation. There are many food making terms which are 163 kinds of prepared cooking term 27 kinds of cutting terms and 17 kinds of boiling terms. And 18 kinds of expression of taste can be seen in this book. There are 24 kinds of table were and cooking kitchen utensils, but many of them came to usefulness 12 kinds of measuring units are very non-scientific because that is not by weight but by bulk or volume.

  • PDF

동계 시설재배용 재래부추 '동장군' 선발 (Selection of a New Allium tuberosum R. Cultivar 'Dongjanggun' for protected horticulture in winter)

  • 최경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4-27
    • /
    • 2004
  • 다수의 국내 재래종 중에서 선발 육성된 ‘동장군’의 주요 특성은 잎이 가늘고 길며, 부추 고유의 향기가 강하고 부추잎의 vitamin C 함량이 높은 품종이었다. 개체당 분얼력이 왕성하고, 예취후 잎의 재생기간이 빠르다. 개화기는 7월 18일로 ‘그린벨트’에 비해 10일 정도 빠르고 개화기간은 다소 짧은 편이다. 화경당 꽃수나 종자수는 대비품종에 비해 적은 편이었다. 잿빛 곰팡이병에 대한 저항성은 약한 편이며 저온에 대한 내성은 비교적 강하다. 3년간 생체수량을 검토한 결과 ‘그린벨트’에 비해 3회 예취 평균수량이 6% 증수되었다.

신선로(열구자탕) 조리법의 역사적 고찰과 전통적 표준조리법의 제시 (The Historical Study and Standard Traditional Cooking Methods of Sinsulro)

  • 한복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317-337
    • /
    • 1995
  • "Sinsulro(신선로)" is the famous soup of Cho-sun Dynasty Royal Cuisine, and the original food name is "Yulgujatang(열구자탕)". The first record is on [Sumunsasul] (1740) and the origin history related with Hirang-Jung is on [Headongjukji] and [Chosunyorihak]. From the analysis with Royal banquet menu and 16 kinds of old culinary literatures, "Sinsulro" are contained 54 and 70 material items and used variety cooking methods. Soup base of "Sinsulro" is well boiled meat, shank, brisket, stomach and intestine of beef with water, Some of beef is made meatball and seasoned raw meat. Beef marrow and tripes and liver are sauted with egg. Dried abalone and sea cucumber are soaked in water and then cutting slices after well boiled. Sliced white fish fillet are sauted with egg. Egg white and egg yolk made to thin sheet on pan with oil. Dropwort made to one sheet with flour and egg. Radish are boiled with meat soup and other vegetable are cooked with boiled or sauted. Seeds of pinenut, gingko, walnut are used of decorative seasonings. Filling mehtods of the Sinsulro casserole, the first layer is seasoning raw beef meat, 2nd layer is cooked slice of meat and radish, 3rd layer is rectangle pieces of egg sheet and sauted fish and intestines of beef. The top layer is decorated with meatball and naked nuts. After hot soup is poured until top of the materials, buning charcoal put into the center fire place and then served.o the center fire place and then served.

  • PDF

벼 유전자적 웅성불임-심백 돌연변이체의 특성과 그를 이용한 일대잡종 육성체계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A Mutant for Genic Male Sterility-Chalky Endosperm and Its Utilization on $F_1$ Hybrid Breeding System in Rice)

  • 고희종;허문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84-696
    • /
    • 1995
  • 화청벼에서 유기시킨 심백경유 및 유전자적 웅성불임 돌연변이계통에 있어서 두 특성간의 상호관련성을 검토하였고, 종실의 몇가지 이화학적 특성을 밝혔다. 돌연변이계통의 생육형질과 불임의 안정성을 조사하였고 웅성불임화시 기를 추정하였다. 이들을 토대로 웅성불임종자의 조기 외관 식별에 의한 새로운 일대잡종품종 육성체계를 구상하였고 자연교잡율도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심백 및 유전자적 웅성불임 돌연변이는 다면발현 효과를 가진 단순열성유전자에 의해 지배되었다. 즉 이 돌연변이계통이 교잡된 분리집단에서 심백종자는 곧 웅성불임종자임을 확인하였다. 2. 심백종자는 외형과 크기는 정상종자와 동일하였으나 배유 중앙부위의 전분결정조직이 성기고 전분입자 모양도 원형~타원형 이었다. 따라서 1,000립중, 절대밀도, 경도 등이 정상종자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졌다. 3. 심백종자의 단백질함량과 알칼리 붕괴도는 정상종자와 동일하였으나 아밀로스함량이 유의하게 낮아졌고, 호응집성에서는 상당히 harder gel 특성을 보였다. 4. 웅성불임식물체는 정상식물체에 비해 초장 및 간장이 현저히 단축되었고 이삭추출이 불량하였으며 주당수수가 유의하게 적었다. 5. 화분발육단계 중 웅성불임화시기는 감수분열기 이전인 것으로 추정되었고, 이 웅성불임은 온도나 일장에 관계없이 항상안정적이었다. 6. 이 돌연변이체를 이용하여 일대잡종을 육성하는 체계를 구상하였고, 그 효율을 세포질적-유전자적 웅성불임(CGMS)이나 환경감응 유전적 웅성불임(EGMS) 등을 이용하는 체계와 비교하였다. 7. 분리집단에서 정조상태로 웅성불임증자를 선별시 비중선 단독으로는 비중 1.14~l.16 g/cm 에서 순도 85~90% 웅성불임종자의 순도로 웅성불임종자를 선별할 수 있었는데, 10~15%의 흔입된 정상종자는 파종 후 유묘 또는 일대잡종생산포에서 생육상태 판정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8. 웅성불임계통의 자연교잡율은 수분조작처리구(GA$_3$ 처리+지엽절단+rope 사용 화분털기)에서 화분친 2열, 웅성불임 1열 재식시 17.3%로 가장 높았다.

  • PDF

강우처리 및 수확 지연에 따른 콩 종실 특성 및 수량성 변화 (Yield and Seed Quality Changes According to Delayed Harvest with Rainfall Treatment in Soybean (Glycine max L.))

  • 이인혜;서민정;박명렬;김남걸;이기범;이유영;김미향;이병원;윤홍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353-364
    • /
    • 2020
  • 국내 주요 재배 콩 품종을 대상으로 수확 지연 시 강우에 따른 피해 양상 및 수확방법에 따른 종실 및 수량 특성을 분석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품종별 탈립률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원콩에서는 강우처리 및 예취 후 비닐피복 에서 40일 수확 지연 시 탈립률이 5.3% 증가하였으나, 풍산나물콩은 강우 무처리 및 예취 후 비닐피복에서 40일 수확 지연 시 41.8%까지 증가하였다. 2. 100립중은 강우처리 및 수확방법에 따라 수확이 지연될수록 입중이 미세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강우처리 후 포장 수확한 경우를 제외하고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3. 수량은 대원콩의 경우 강우처리 및 예취 후 비닐피복 할 경우 수량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적기 수확기 이후 40일 지연 수확할 경우 일당 평균 감수율은 0.8 kg ha-1, 풍산나물콩은 강우 무처리 및 예취 후 비닐피복에서 적기 수확기 이후 40일 지연 수확할 경우 일당 평균 감수율은 3.4 kg ha-1로 나타났다. 4. 강우처리 및 수확방법에 따른 이병립률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수확 지연에 따라 이병률도 증가하였으며, 강우처리 및 포장 수확에서 이병률이 가장 높았고, 40일 지연 수확 시 대원콩은 7.0%, 풍산나물콩은 4.0%로 증가하였다. 5. 강우 무처리시 포장 수확 및 예취 후 비닐피복의 수확방법에 따른 차이는 적었으며, 수확이 지연되어도 95%이상의 발아율을 유지하였다. 강우처리 시 수확 지연에 따라 발아율은 현저하게 낮아졌으며, 포장 수확의 경우 40일 수확을 지연하면 대원콩은 77.2%, 풍산나물콩은 76.5%까지 발아율이 감소하였다. 6. 조단백질 함량은 시험 품종 모두 강우처리에 따라 무처리구에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확방법에서도 예취 후 비닐피복에 비하여 포장 수확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조지방 함량은 강우를 처리할 경우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수확방법에서는 예취 후 비닐피복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7. 100립중은 개별 처리에 대한 효과가 적어 처리간 상호적용 효과가 적었으나, 이병립률 및 발아율은 처리간 상호작용 효과가 높았다. 8. 품종별 탈립률의 처리간 상호작용 효과는 수량의 상호작용 효과와 같은 양상을 나타내어, 탈립률이 수량에 가장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계교란식물인 돼지풀아재비의 발생특성과 관리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Parthenium hysterophorus, an ecosystem disturbing plant)

  • 이인용;김승환;이용호;송해룡;김백준;우성현;조아람;홍선희
    • 환경생물
    • /
    • 제41권1호
    • /
    • pp.31-40
    • /
    • 2023
  • 환경부에서 생태계교란식물로 추가 지정된 돼지풀아재비의 분포, 형태·생리·생태적 특성 그리고 다양한 제거방법 등을 정리하여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돼지풀아재비는 전 세계적으로 45개국에서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경상남도 통영 및 창원의 일부지역에서만 생육하고 있다. 이 식물은 한해살이풀로 종자로 확산되며, 수입 농산물에 포함되거나 차량이나 농업용 기계에 부착되어 인근으로 그 영역을 넓히고 있다. 돼지풀아재비의 줄기와 뿌리에서 타감물질인 파르테닌 등이 분비되어 주변 식생의 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다양한 알레르겐을 함유하고 있어 인간과 가축에 피해를 주는 식물이다. 돼지풀아재비와 같은 유해식물이 발생되면 관계기관에 신고하는 제도적인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돼지풀아재비의 줄기를 절단하거나 제거하는 등의 물리적 방법 그리고 glyphosate와 같은 비선택성 제초제 처리로 방제할 수 있다. 생물학적 방제연구는 많이 수행되었으나, 우리나라의 법률과 제도의 미비로 국내에 적용 가능한 것은 제한적이다.

출하용 숙주나물의 세척 유무에 따른 형태 및 색상 변화 (Washing Effect of Marketing Mungbean Sprouts on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their Color)

  • 홍동오;전승호;이창우;김홍영;강진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3-27
    • /
    • 2008
  • 전래적으로 숙주나물은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세척하지 않고 탈수시켜 이용하여 왔다. 본 연구는 생산된 숙주나물의 수분 함량과 관련된 세척이 제품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포장하기 직전 물에 씻거나 씻지 않는 세척 유무가 5일간 저장중 숙주나물의 형태 및 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무세척 숙주나물에 비하여 세척시킨 숙주나물은 저장 4일 후까지 수분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무세척 숙주나물은 세척시킨 숙주나물에 비하여 저장중 형성된 개체당 세근수가 많았던 반면, 하배축과 뿌리 길이, 하배축 중간과 hook 부분의 직경, 각부위 및 전체 생체중과 건물중에서는 세척 유무간에 차이가 없었다. 3. 무세척 숙주나물은 세척시킨 숙주나물에 비하여 하배축 및 뿌리의 탁도, 하배축의 전단력이 높았던 반면, 색도 a와 b에서 세척 유무간 차이가 없어 저장중 무세척 숙주나물의 품질 저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무세척 숙주나물에서 세근수, 하배축 길이, 하배축 중간부분의 직경, 하배축과 전체 생체중 및 건물중은 저장 후 3일까지 변화가 없었으나 그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5. 무세척 숙주나물에서 하배축의 전단력은 저장 4일 후부터, 하배축의 명도와 색도 b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Selection of Early and Late Flowering Robinia pseudoacacia from Domesticated and Introduced Cultivars in Korea and Prediction of Flowering Period by Accumulated Temperature

  • Lee, Kyung Joon;Sohn, Jae Hyung;Redei, K.;Yun, Hye You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2호
    • /
    • pp.170-177
    • /
    • 200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select early, late, and abundant flowering trees of black locust from domesticated and introduced cultivars, and prediction of flowering period by calculation of accumulated temperature in spring. Four cultivars (Debreceni-2, Pusztavacs, Jaszkiseri, and Rozsaszin AC) from Hungary and a cultivar from Beijing, China, were introduced, propagated by seed and planted in a seed orchard. For domesticated black locust, 63 cultivars from 10 locations throughout the country were selected and propagated by root cutting. Criteria for selection of domesticated cultivars were abundant flowering, long flowering period, or abundant nectar production with, if possible, straight stems. Accumulated temperature was calculated from data of a nearby weather station by accumulating daily maximum temperature minus 5 degree Celsius from January 1 up to the date reaching 880 degrees. Daily mean temperature was also used to calculate accumulated temperature up to the date reaching 450 degrees. The percentages of two-year and three-year-old flowering trees propagated by root cutting were higher than that of trees propagated by seeds, while four-year-old trees all flowered regardless of propagation methods. Among the domesticated cultivars, all the cultivars from Ganghwa showed abundant flowering with highest nectar production of 6.5 ul per flower, which was 100% more than other domesticated cultivars and 50% more than Debreceni-2 cultivar with highest nectar production among the introduced cultivars from Hungary. At the end of the eight years of observations, two trees of Debreceni-2 cultivars and a tree from Beijing, China were selected for early flowering trees which flowered 2 to 3 days earlier than average trees, while a tree of Debeceni-2 and three trees from Bejing were selected for late flowering trees which flowered 2 to 3 days later than average trees.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flowering period of black locust by 4 to 6 days by planting early and late flowering cultivars together. Abundant flowering trees were unable to be selected due to severe damages by leaf gall midges which killed many trees and reduced the crown size of the remaining trees in the seed orchard, and which were first found in Korea in 2001 and now damaging most of the black locust forests in Korea. The prediction of flowering period by accumulated temperature indicated that black locust flowered to a peak when accumulated daily maximum temperature reached 880 degrees Celsius, and when daily mean temperature reached 450 degrees.

난온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니터링(III) (Monitoring the Restora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the Warm-Temperate Region(III))

  • 강현미;강지우;김지해;성찬용;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7-101
    • /
    • 2022
  •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변화과정을 장기 모니터링하기 위해 1996년 완도수목원에 설치된 16개 고정조사구(시험구, 대조구)를 대상으로 식생구조 변화를 분석했다. 특히 1996년도 복원기법으로 도입한 시험처리(솎아베기, 식물도입)가 식생 발달에 미친 영향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교목층에 붉가시나무가 우점한 군락(고정조사구 1~3)에서는 이 종의 평균상대우점치(MIP)가 줄고, 외부에서 들어온 상록활엽수종의 MIP가 늘어나 장래 식생구조 변화가 예상된다. 붉가시나무-낙엽활엽수림(고정조사구 5, 7), 소나무림(고정조사구 9, 10)에서도 상록활엽수종의 세력 확장이 확인됐다. 솎아베기를 시행했던 시험구에서 조류 피식 산포형인 생달나무, 참식나무, 후박나무 등의 종 유입과 상록활엽수종의 세력 확장이 두드러져, 난온대림 식생 발달을 촉진하는데 유효했다고 본다. 시험구에 상록활엽수종을 심어 식생구조 변화를 꾀했지만, 식재 수량이 적어 식생구조 변화에 끼친 영향이 미약했던 것으로 보인다. 다른 식생유형보다 소나무림은 소나무, 곰솔의 쇠퇴에 따른 상록활엽수림으로의 식생구조 변화가 뚜렷했다.

야생 가침박탈(Exochorda serratifolia)의 조경원예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ild Exochorda serratifolia for Landscape Horticuitural Cultivation)

  • 이기선;한교필;박원조;김일섭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9-148
    • /
    • 1987
  • Exochorda serratifolia, broad-leaved shrub has beautiful flowers and is resistant to cold, shade and decease. New this native plant is considered to be worth being exploited as the outstanding plant for landscaping and horticulture. So this study was executed to utilize Exochorda serratifolia as the planting material for landscaping and horticulture through the survey of its habitat environment and the experimennt of its seed physiology and germination, vegetative propagation, culture and utilization, etc..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color of the flower is white, blooming in the early and middle of May and the seeds ripen late in Sep.. 2. The elevation, elevation, gradient and direction of the native habitat were 250m, 20-25$^{\circ}$and northern side respectively. 3. The soil pH of the natural habitat was 5.3 and soil fertility was poor. 4. Exochorda serratifolia appeared as indicator within P. densiflora community and its neighboring species were Q. mongolica, Q. dentata, R. mucronulatum, L. obtusiloba, E. oxyphillus, C. heterolphylla, var thunbergii, etc.. 5. The optimum temperature for seed germination was found at 20$^{\circ}C$ and the longer the stratification period at 5$^{\circ}C$ was, the lower the germination rate was. 6. The treat merits of GA and Kinetin increased the seed germination rate, especially under the dark condition but their high concentrations decreased the seed germination rate. 7. The rooted rate of the greenwood cutting was the highest at IBA 100ppm plot of vermiculite bed but its high concentration decreased the rooted rate conspicuously. 8. In the tissue culture, the each 1.0 ppd plot of NAA, Kinetin and NAA 1.0ppm + Kinetin showed the best growth. And the mixture of NAA 1.0ppm and Kinetin showed better growth than the single treatment of NAA or Kinetin did. 9. Transplanted Exochorda serratifolia showed healthy growth with shaded environmental condition(42.1% light intensity), therefore they can be cultivated as a shade tolerant landscape plant. 10. It was considered that Exochorda serratifolia was applicable to group planting at shade places or under trees in parks, homes, et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