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operation

검색결과 515건 처리시간 0.025초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 (Teachers' Perceptions of Softwa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Improvement Plan)

  • 이재호;조윤선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2호
    • /
    • pp.99-109
    • /
    • 2021
  •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시작되고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교육도 이를 반영하게 되었다. 이미 여러 나라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19년부터 정규 교육과정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한 교사들의 느낀 점과 어려움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2019년 초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담당한 교사 96명을 대상으로 개인 역량, 수업 운영 방식, 교과서 및 교육자료, 수업 운영 내용, 교육환경과 관련하여 36개의 문항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3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육 시설과 환경 개선, 양질의 수업자료 개발 및 보급 활성화, 교사 대상의 참여형 연수와 교사 동아리 지원 확대 등의 개선사항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제육차(第六次) 수산(水産)·해운계(海運系) 고등학교(高等學校) 교육과정(敎育課程) 각론개발연구(各論開發硏究)(III) -동력기계과(動力機械科)(기관과(機關科)) 및 선박운항과(船舶運航科)의 교육과정(敎育課程)- (A Study on Curriculum Revision for the Fisheries High Schools and Merchant Marine High Schools(III) -Courses of Power Machinery (Marine Engine) and of Automated-Ship Operation-)

  • 이일영;권순영;김인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4권2호
    • /
    • pp.101-108
    • /
    • 1992
  • This study is some parts, the contents on "Course of Power Machinery and of Automated-Ship Operation", of the results of the sixth curriculum, revision study for the fisheries high schools and merchant marine high schools. In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existing name "the Course of Marine Engine" is revised to "the Course of Power Machinery" and "the Course of Automated-Ship Operation" is newly established. The purpose of the revision of the name to "the Course of Power Machinery" is to give the course a more flexible curriculum which enables the course to bring up not only sea duty marine engineers but also shore duty power engineers. Also, the purpose of the new establishment of "the Course of Automated-Ship Operation" is to bring up automated-ship operators. The necessities for automated-ship operator is derived from the process of ship automation to reduce the number of crew to cut down the expenses. The revised parts of the organization of the professional subjects exclusively related to "the Course of Power Machinery" and "the Course of Automated-Ship Operation" are summarised as follows; (l) The Automated-Ship are newly added. (2) The Sea Training, the Fisheries Law are Disused. (3) The Introduction to Ship, the Introduction to Marine Engine and the Introduction to Marine Communication are merged into the Introduction to Ship. (4) The name of the Marine Engine, the Shipping Business are revised to the Heat Engine, the Introduction to Shipping respectively. (5) M compulsory professional subjects, the Introduction to Fisheries is suggested for the fisheries high schools and the Introduction to Shipping is suggested for the merchant marine high schools.

  • PDF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고등학교 가정과 선택 교육과정 편성 방안 탐색 (Exploration on the Organization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Selective Curriculum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박미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5호
    • /
    • pp.539-553
    • /
    • 2017
  • This study explored the organization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HE) selective curriculum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critically review the change process of HE curriculum as well as problem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haracteristic consistently shown in the revision process of high school curriculum, the huge increase of the number of subject organized resulted from the intensification of the selective-centered curriculum strengthening the choice for school and students. However, HE was reduced to some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and a single subject 'HE Science' as a selective subject was subsequently combined with Technology after the $7^{th}$ curriculum period. Consequently, HE hard to organize the career-focused curriculum, emphasized by the revised 2015 curriculum due to the insufficient number of subjects. Second, the choice of HE in high school curriculum should be expanded as measures to organize the HE curriculum of high school to cope with changes that result from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career-focused curriculum, career selective subjects and specialized subjects should be more diversely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a future society that results from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HE education community should be prepared in advance to be organized as a selective subject when revising a subsequent curriculum, by newly establishing subjects necessary to students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and deliberation with pedagogists and scholars for subject content as well as by producing/getting approval from government-recognized textbooks.

중학교 컴퓨터 교과의 효율적인 운영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Operation Methods of Computer Subject in Middle School Curriculum)

  • 이경아;전영국;정종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3-25
    • /
    • 2004
  • 지식 정보화 사회에 컴퓨터 교육은 날로 그 중요성이 증대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 중학교에서 컴퓨터교육은 재량활동 영역의 선택과목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선택운영은 컴퓨터 교과의 경시 풍조를 가져오고, 이러한 운영으로 인한 부적절한 수업시수는 컴퓨터 교육의 현실성과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선택 과목 운영 방법들을 비교 분석하고, 운영방식에 따라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분석하여 컴퓨터과목을 운영할 때 가장 적합한 방법을 찾아내고 학교교육에서 컴퓨터과목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실업계고등학교와 일반계고등학교의 연계 교육과정 모형 개발과 운영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Connected Curriculum Model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

  • 우상호;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5-5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operate a curriculum which is able to connect a vocational high school to a general high school. That curriculum makes it possible to meet the necessity of accepting the learning rights for the students of a small scale school located in a rural community. And also, it is able to broaden the implementation of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in the $7^{th}$ curriculum. So, We developed a connected curriculum model which fulfills to the utmost the requirement of a few students who want to go to a collage after finishing vocational high school and who want to get a job after finishing general high school in a electing their subjects and then operated it with student's moving to the connected schools on a Saturday. In this study, we got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we prepared the curriculum environments which can accept the learning-demands of students in a small scale school located in a rural community. To do so, we publicized the curriculum of a vocational high school connected to that of a general high school, made questions, and organized the committee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nd so on. Second, we organized and implemented the connected curriculum so that a small number of students could learn the subjects they demands. So, a small number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could have learned the 'Math I' and 'English Conversation' which were not allowed in their school. And also, a small number of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ho hope to have an occupation after graduation could have learned 'Web Design' subject. Third, we examined the problems and presented the solving methods according to organizing and implementing the connected curriculum. So we could have served as an aid on building up the foundation of the generation of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영국 브라이튼대학교 물리치료학과의 직무중심 교육과정 적용 사례 연구 (Case Study for Application of Job Centered Curriculum in Department of Physiotherapy: Brighton University in England)

  • 송주영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7-107
    • /
    • 2018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job-centered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Physiotherapy at the University of Brighton, England, to examine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curriculum in physiotherapy. METHODS: The researcher visited the University of Brighton from September 2015 to May 2016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faculty membe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university's website and the Chartered Society of Physiotherapy. RESULTS: The undergraduate program is a three-year program and with a module system. There is a course leader for each module. Each grade requires 120 credits (10 hours per credit) and credit hours can be earned through lectures, tutorials, practical sessions, self-directed e-learning, group work, inter-professional classes, and seminars. Clinical placement is carried out six times during 3 years, for a total of 32 weeks, 35 hours per week, 1120 hours in total. Students are enrolled as a student members of the Chartered Society of Physiotherapy and are covered by professional liability insurance during clinical placement.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holds regular workshops to discuss curriculum and module design, conduct course reviews, and review student assessment and feedback. All courses at the university must be approved, monitored annually, and re-approved every 5 years. CONCLUSIO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NCS physiotherapy curriculum, as well as to the development of modules and assessment tool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this curriculum.

교육과정 총론의 문서 체제에 나타난 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의 변천 (Changes in the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appearing in the document system of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 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7-40
    • /
    • 2016
  • 교육의 변화나 교육과정의 변화는 시대적 필요와 지식의 변화로 인한 필요에 근거한다. 본 연구는 두 가지 필요 모두를 내재한 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의 변천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 총론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연구 진행에 따라 교육과정 총론의 분석을 통해 2007, 2009 개정 시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구성, 정보과 교육과정의 위상 변화, 그리고 정보 과목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총론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개선이 요구되었다. 첫째, 이수단위에 대한 명확성, 둘째, 진로선택과목의 타당한 구성, 셋째,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명확한 정의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세계 각국에서 강조되는 SW교육의 관점을 고려하고,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고등학교 정보과에 대해 어떤 편성과 운영을 제시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충청북도 전문계 고등학교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Activation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in Chungcheongbuk-do)

  • 이상혁;지순덕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47-68
    • /
    • 2007
  • 이 연구는 충청북도 내 전문계 고등학교의 제반 문제점을 파악하고 도내 기업체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전문계 고등학교 운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내 32개 전문계 고등학교 실과부장과 학과장을 대상으로 전문계 고등학교 학과 특성화 추진, 교사 교육, 교육과정 개편, 진로 지도 강화 방안 등에 대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충청북도 내 산업체의 인력 수요,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직업 능력 조사를 위하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분석하였다.이 연구를 통하여 충청북도 전문계 고등학교 운영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산업체의 요구에 따라 전문계 고등학교 교육은 외국어 기초 능력과 컴퓨터 활용 능력에 더욱 치중하여 교육해야 한다. 둘째, 인근 산업체와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을 더욱 확대 실시하여 취업률을 향상시켜야한다. 셋째,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생 중 80% 이상이 2년제와 4년제 대학에 진학할 경우 전문계 고등학교를 일반계 고등학교로 개편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네째, 오송 의료 단지와 오창 IT 공업 단지의 확장에 대비하여 BT, IT 관련 산업체에서 일할 수 있는 기초 지식을 갖출 수 있는 학과로 개편 운영해야 한다. 다섯째, 산업체 직원을 초빙 교사로 활용하고 학교장에게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권을 주어야 한다. 여섯째, 공립학교 5년제 교사 순환 근무제를 전문계 고등학교 특성화학과에서는 10년 이상 근무로 바꾸어 그 학교의 주인 의식을 갖도록 해야 한다.

중국의 정보기술 교육과정 분석 (Analysis of The Chinese Information Technology Curriculum)

  • 김성식;박성일;박정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77-89
    • /
    • 2005
  • 정보기술 교육과정의 설계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비교적 짧은 개설 역사, 정보기술 자체의 급속한 발전, 정보 활용과 정보소양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차이 등으로 인하여 교육내용의 선정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다른 나라의 경우를 비교하여 교육과정 설계의 효과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취지에서 최근 눈부신 경제 발전을 이룩하면서 정보화 교육에 깊은 중시를 보이고 있는 중국의 정보기술교육과정의 변천과정과 현실상황 및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중국의 정보기술 교육과정 중에서 한국의 새로운 컴퓨터 교육과정 설계에 채택 가능한 장점들을 제시하였다. 중국의 초중등학교 정보기술교육과정의 특징은 (1) 안정된 수준의 정보기술 기초지식과 기본기능 교육, (2) 문제해결을 위한 정보기술 활용교육, (3) 정보기술의 심화된 탐구와 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개별화 교육, (4) 체계적으로 배정하고, 통합적으로 진행하는 정보기술교육과정으로 요약할 수 있다.

  • PDF

덧셈과 뺄셈의 어림셈 지도 방식에 대한 다차원 교육과정적 관점에서의 논의 (A discussion from a multi-dimensional curriculum perspective on how to instruct the computational estimation of addition and subtraction)

  • 도주원;백석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3호
    • /
    • pp.255-26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의도-작성-실행된 교육과정이라는 일련의 다차원 교육과정적 관점에서 초등 수학의 연산 중 기본이 되는 덧셈과 뺄셈의 어림셈 지도 방식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실행된 교육과정에서 출발하여 작성-의도된 교육과정의 상향식 피드백 방식으로 덧셈과 뺄셈의 어림셈 지도에 대한 교수·학습 방법 면에서의 쟁점 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