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a

검색결과 790건 처리시간 0.031초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시 교과목 효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ntal Hygiene Students' Curriculum Regarding Clinical Practice)

  • 장성연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18
    • /
    • 2021
  •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which curriculum is the most relevant to dental hygiene students when they participate in clinical practice in order to provide a useful reference for preparing educational guidance in this field. Method: The survey utilized in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six question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grade, satisfaction with major, amount of clinical practice, period of clinical practice, place of clinical practice, and the most interesting are during clinical practice. When evaluating curriculum relevancy, the following were ranked on a 5-point Likert scale, where 5 = very useful, 4 = comparatively useful, 3 = normal, 2 = comparatively unuseful, 1 = very unuseful: difference in requirements in the field of clinical practice, reason for this difference, and question about the utility of each curriculum. On this scale, higher points implied higher relevance. Result: The highest groups of curricula regarding curriculum utility were as follows: operative dentistry (59.6%), pre-clinical practice (55.2%), dental materials and clinical practice (54.4%), and prosthetic dentistry (49.6%). The lowest groups of curricula regarding curriculum utility were as follows: oral physiology (2.0%), oral histology and embryology (1.6%), and oral microbiology (1.2%). These results imply a lack of connection between the curriculum and tasks in clinical practic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t appears that both theory and practice courses of the clinical curriculum must be conducted systematically, and that there is a need to conduct education for the fundamental curricula, such as oral physiology, oral histology and embryology, and oral microbiology, regarding the relevance of tasks practiced in clinics.

3차 교육과정 시기와 7차 교육과정 시기의 중학교 수학과 교과서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ird and Seventh Curriculum Period)

  • 김미순;조완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1호
    • /
    • pp.79-9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사회의 패러다임이 지속되었던 제3차 수학과 교육과정부터 제6차 수학과 교육과정까지를 3차 수학과 교육과정시기로,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라는 패러다임이 지속되고 있는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부터 현재의 2009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까지를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시기로 구분하여 두 시기의 중학교 수학과 교과서는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두 시기의 중학교 수학과 교과서 비교분석을 위하여 3차 수학과 교육과정 시기에는 제3차와 제6차 교육과정 교과서를,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시기에는 제7차와 2009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를 중학교 2학년 수학 교과서의 '도형의 성질 단원'의 단원 구성 체제, 목표 수준, 과제 유형, 내용 전개 방식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두시기의 교과서는 단원구성체제는 많은 변화가 있었으나 목표수준 및 과제유형, 내용전개 방식은 개념적 절차적 지식을 요구하는 낮은 수준의 목표 및 과제 유형, 내용전개 방식에 머물러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업계고등학과 실내디자인 전공 교육과정 개선방안 -대학 동일전공과의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Improvement of Interior Design Major Curricula at Vocational High Schools -Focu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Interior Design Major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 천진희;오혜경;김대년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171-180
    • /
    • 2002
  • 본 연구는 실업고 활성화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실내디자인 전공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실업고, 2(4)년제대학의 교육과정이 각각 분석.비교되었고, 실업고 재학생, 교사, 업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자료는 빈도분포와 백분율로 통계 처리되었다. 연구결과, (1실업고에서 전공교육의 비중은 왜 높았으나 실내 디자인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교과내용은 그리 많지 않았고, 홍미도와 중요성에 따라 실내디자인 전공 교과서의 활용도를 더 높이되 공업계.상업계 교과서 중 실내디자인 관련 부분을 발췌.사용하여 전문성을 높이는 방안이 강구되어야할 것이다. (22년제와 4년제대학의 전공이수학점 수는 비슷하였고, 2년제가 실내디자인실기.컴퓨터디자인.표현기법 등 실무를 위한 교과목 비율과 중요도가 매우 높은 반면 4년제는 전공실내디자인 비율이 특히 높고 연구능력함양, 전공특화를 위한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으며 전공선택의 폭이 높았다. (3실업고를 대학과 비교한 결과, 실업고는 대학과 근접한 교육을 지향 하나 전문기능인 양성을 위한 체계성.전문성이 부족하므로 실내디자인과 관련이 적은 교과목을 실무와 실기능력 함양을 위한 교과목으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실내디자인 업계 종사자들은 실업고 학생들에게 CAD, 시공업무가 가장 적합하고 실업고 특화를 위해 이 과목들과 실내디자인실기와 가구과목 등이 강화되어야함을 밝혔다. 위의 조사를 토대로, 실업고에서는 대학과의 차별화, 산업현장과 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을 수립하되, 현장연계교육과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이 강화되어야함을 제안하였다.

  • PDF

국내외 과학과 교육과정과 발명의 관련성 분석 (Analysis of Relevance of Korean and Foreign Science Curricula and Invention)

  • 손정우;이봉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51-65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외 과학 교육과정에 제시된 발명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발명의 관련성 정도에 대한 과학교육자들의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외국 교육과정 분석은 미국, 캐나다, 영국, 일본, 호주, 싱가포르, 뉴질랜드, 프랑스, 핀란드, 중국 등 여러 나라의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발명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발명과의 관련성 분석을 위해서 과학,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 등 공통이수 과목들에 대한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각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등에 발명관련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과학 교사를 포함한 과학교육자들에게 교육과정과 발명의 관련성 정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부분의 나라에서 과학교육과정의 '성격(목표)', '내용' 등에서 과학에서 발명의 중요성을 포함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교육자들은 발명이 과학과 교육과정에 관련된 점은 확인되었으나, 체계적인 연계성은 부족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발명교육은 주로 설계 및 장치 고안 등의 결과에 국한되었기 때문에 문제점 착안, 발명기법, 지식재산권 등 다양한 과정 중심의 발명 관련성은 크게 드러나지 않았다고 인식하였으며, 과학교육에서 발명 교수-학습법이나 관련 자료를 개발하고자 할 때는 과정 중심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이 발명태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 in Invention Education on Invention Attitudes)

  • 왕유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47-261
    • /
    • 2014
  • 지금까지 초등학교에서 발명교육은 정규교과를 통하여 이루어지기보다는 특별활동이나 재량활동을 통해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었지만 2009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면서 실과(기술 가정)교육과정에 발명교육이 정규교과 단원으로 반영되어 학교 정규교과 수업을 통한 발명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었다. 따라서 발명교육이 정규교과 단원으로 반영되는 시점에서 발명교육의 경험 여부가 초등학생들의 발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 여부에 따른 발명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는 것으로 발명영재수업을 받은 지역영재원 학생과 일반 초등학교에서 발명교육을 받은 학생, 발명교육을 전혀 받지 못했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교육의 경험은 학생들의 발명에 대한 태도 수준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발명 지역영재원 학생들과 같이 지속적인 발명교육의 경험은 발명태도 수준을 높이는데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이 실제로 경험하는 발명교육이 발명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점을 감안해 볼 때, 개정교육과정에서 발명교육이 정규교과 단원으로 반영되는 점은 초등학생들의 발명태도 증진에 매우 바람직한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성별에 따라서 남학생들의 발명태도 수준이 여학생들의 발명태도 수준 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일상생활에서 컴퓨터나 전자(스마트기기) 및 기계장치를 더욱 가까이하는데 기인한 것으로 남학생들이 발명에 대한 태도에 더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국내 대학 치위생(학)과의 포괄치위생관리(CDHC) 과정 적용 교육과정 현황 (Use of CDHC-applied educational curricula by dental hygiene departments in Korean universities)

  • 문상은;홍선화;김윤정;김선영;조혜은;강현주;천혜원;김경선;장선옥;오혜영;문소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51-664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surveyed the application of Comprehensive Dental Hygiene Care (CDHC), based on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within the educational curricula of Korean universities and examined whether they recognized the need for CDHC. Methods: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professors of dental hygiene practicum related subjects in 75 Korean univers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Chi-square test, a Mann-Whitney U-test, and a Kruskal Wallis test via SPSS (Ver. 21.0). Results: First, the application scope of CDHC was higher in four-year universities than three-year ones with the scope of several characteristics increasing along with enrollment quota. The application scope of dental hygiene plans and actions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patient practices in terms of periodontal evaluations. Second, the needs of the dental hygiene courses were more than 4 points in all characteristics. Although four-year universities exhibited higher points than three-year on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except other test. Finally, all universities based their dental hygiene courses on case histories, oral and maxillofacial information, hard tissue modules, periodontal issues, and other tests, with needs also being high. Meanwhile, the application scope of the dental hygiene course evaluations was lowest in all characteristics. Conclus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ntal hygiene curricula among the universities. However, highly qualified and standardized educational courses and lectures should be developed by the Korean evaluation center for dental hygiene curricula using various studies as the basis of theory and practical classes, the total number of terms, number of case studies used,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ratio of students to professor, and so on.

2015 개정 초등학교 슬기로운 생활과 3~4학년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Analysis on Continuity betwee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Intelligent Life Curric ulum and Sc ienc e Curric ulum for Grades 3-4)

  • 박지선;장진아;진예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2호
    • /
    • pp.267-282
    • /
    • 2022
  • 본 연구는 초등학교 1~2학년 슬기로운 생활과 3~4학년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을 통해 체계적인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슬기로운 생활 내에서의 과학 관련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정리하고, 두 교과의 교육과정 연계성을 지식 측면과 탐구 기능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슬기로운 생활 교육과정 내 과학과 교육과정과 연계된 내용은 32개의 내용 요소 중 10개에 불과하였다. 이 중 5개의 내용 요소가 3~4학년군 과학과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있었으며, 모두 생명 영역에 집중되어 있었다. 운동과 에너지와 물질 영역에 대한 내용은 슬기로운 생활에서 전혀 다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생명 영역은 발전적으로 연계되고 있었으며, 지구와 우주 영역은 급변적으로 연계되고 있었다. 탐구 기능의 경우, 관찰과 측정, 추리, 의사소통은 슬기로운 생활과 과학과가 수준이 자연스럽게 높아지면서 반복되는 발전적 연계가 이루어졌다. 분류는 기능적 활동 측면에서 발전적 연계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으나 명확한 인식적 목적 없이 단순히 무리지어 보는 분류 활동에 그치고 있었다. 반면, 예상 활동은 슬기로운 생활에서는 제시되지 않다가 3~4학년군 과학에서 제시되기 시작하므로 격차가 발생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슬기로운 생활 교육과정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확보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gricultural Process Engineering Past, Present And Future

  • Chung, Do-Sup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3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Process Engineering
    • /
    • pp.21-30
    • /
    • 1993
  • The paper discusses a historical review(past and present) of the America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and Agricultural Process Engineering programs, and curricula development and research areas for the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