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ent Situation of Employment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2초

여성장애인의 고용현황 및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urrent Situation of Employment and Factors Affecting the Job Maintenance of Women with Disabilities)

  • 김세연;구인순;박자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18-329
    • /
    • 2012
  •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고용현황을 알아보고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여성장애인의 고용확대 및 직업유지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성장애인의 고용현황과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제 2차, 3차 장애인고용패널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차 조사 시점에서 고용상태에 있는 여성장애인이 3차 조사 시점에서도 고용을 유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용현황을 살펴보면 여성장애인은 남성장애인보다 저임금(p<.001)과 비정규직(p<.001)의 비율이 높은 고용특성을 보였다. 반면 직무조정(p<.05)과 근무시간 조정(p<.001)에 대한 배려경험은 남성장애인보다 많았지만, 배려받지 못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직무만족도는 취업의 안정성 항목에서 여성장애인이 남성장애인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여성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상태(p<.05), 임금수준(p<.05), 직무조정 배려 여부(p<.05)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 임금수준, 직무조정은 여성장애인이 직업을 유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여성장애인의 고용관련 정책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여성장애인의 경제적 자립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취업실태조사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Improvement of Survey on Employment Status at the Vocational High School)

  • 이찬;전영욱;박윤희;김선근;전혜린;정하늘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
    • 제49권4호
    • /
    • pp.43-65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졸업자 취업실태조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과제를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특성화고·마이스터고에서 학생들의 취업업무를 총괄하는 19명의 취업부장교사와 취업 개념의 타당성, 조사시기의 적절성, 조사방법의 효과성, 조사 산출물의 유용성 등을 중심으로 면대면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현재의 취업실태조사에서 활용하고 있는 취업의 개념은 통상적인 기준으로 인정하기에 낮았으며, DB와 연계되지 않은 취업집계는 부정확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시기와 관련하여 현행 2월 조사는 현장학습과 취업을 구분하기 어렵고, 진학 및 취업이 결정되지 않은 시기이며 완전한 취업을 조사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셋째, 현재 교사가 수행하는 조사방법은 신뢰도와 업무효율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넷째, 조사산출물은 학교에서는 활용하기에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취업실태조사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2010년까지의 간호사 인력 수요 및 공급 추계 (The Supply and Demand Projection of Nurses in Korea)

  • 박현애;최영희;이선자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46-168
    • /
    • 1993
  • The study was conducted to project supply and demand of the nurses till year 2010 based on analysis of supply and demand of nurses up to year 1991. Results of the study will provide invaluable information for nurses manpower planning as well as overall health manpower planning for the 21th century. It is projected that nurses will be oversupplied based on the current prductivity which is undesirable situation if the quality of care is considered, and undersupplied based on the the medical law as well as optimal productivity. Thus, it is desirable to increase active supply of nurses. One of the ways of increasing active supply would be increasing the size of training and education. But, considering low employment rate of nurses which is about 59% better way of solving problems related to nurses shortage would be improvement in nurses' employment rate. According to simulation study done as part of this study, if nurses' employment rate goes up to 80%, there is no need for increasing the size of training to meet the demand at the level of medical law.

  • PDF

한국 돌봄노동의 실태와 임금불이익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Care Work in Korea)

  • 홍경준;김사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3호
    • /
    • pp.133-158
    • /
    • 2014
  • 경제적, 사회적, 인구학적 변화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돌봄노동의 규모와 중요성은 상당히 커졌다. 그에 따라 한국을 포함한 많은 나라들에서 돌봄노동자는 노동력을 구성하는 의미있는 부분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돌봄노동은 다른 노동에 비해 임금수준이 낮고 열악한 노동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 돌봄노동의 실태를 조망하고, 성향점수매칭법을 통해 임금불이익을 실증적으로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돌봄노동에 대한 실태분석을 통해 돌봄직업이 학력, 연령, 근속기간과 관련하여 위계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향점수 매칭법을 활용하여 돌봄노동의 임금불이익을 추정한 결과, 돌봄직업 근로자는 다른 직업 근로자보다 시간당 임금수준이 9.2%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돌봄노동조건의 열악함과 임금불이익은 사회서비스 확대와 관련하여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적절한 보상체계 없는 돌봄노동의 안정적 재생산은 어려우며, 사회서비스의 원활한 공급과 적절한 질 유지 또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 PDF

국내 치위생(학)과 개설 현황 및 치과위생사의 활동 실태 (Current status of dental hygien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dental hygienists' employment in Korea)

  • 양송이;유수민;이희연;임소현;채주영;황선혜;오상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85-792
    • /
    • 2021
  • Objectives: Dental hygienists are an essential human resource in dental service organizations. However, there are several important persisting problems faced by them, that need to be sol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situation in dental hygiene education institutions, number of active dental hygienists, and employment distribution across South Korea. Methods: The study gathered statistics of dental hygiene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ratio of active dental hygienists and the number of dental hygienists working across South Korea from officially reviewed websites. Results: Daegu and Gyeongbuk regions house the most number of colleges with dental hygiene programs. The Daejeon and Chungnam regions had the most universities with dental hygiene programs. The activity ratio of dental hygienists decreased every year. Dental hygienists' employment was highly focused in the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Conclusions: The survey data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dental hygienist education to cope with the shortage of active dental hygienists and regional imbalances. This could prove useful to consider the employment of dental hygienists appropriately.

사회복지 시설에서의 시각장애인의 정보화 교육에 관한 연구 (Study of Information Education for Visually Handicapped People at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 안용환;김창석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50-155
    • /
    • 2006
  • 본 연구는 장애인생활시설에서의 정보화에 대한 고찰이다. 정규 시각장애인학교와 장애인생활시설의 시각장애인 교육환경의 비교하기 위하여 대전의 한 장애인생활시설을 선정하고, 장애인 생활시설에 몸담고 있는 원생의 유형별, 연령별 인원현황, 연령별 교사현황, 컴퓨터 보유현황, 원생의 주간교육 일정, 시각장애인용 기자재 보유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시각장애자에게 있어서 정보화의 기초가 되는 점자 숙지자가 많지 않아 점자교육의 확대가 필요하였고, 정규학교와 달리 컴퓨터교육에 필요한 기자재가 턱없이 부족하여 학습의 환경조성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또한, 교사 21명 중 10명(47%) 만이 사회복지나 특수교육을 전공하였고, 컴퓨터를 전공한 사람은 단 한명도 없었다. 그 이유는 아직 장애인 생활시설의 교사채용기준은 법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고 생활시설의 교사에 대한 처우가 일반학교의 교사에 대한 처우에 못 미치는 상황이어서 전공자의 임용지원이 많지 않기 때문이었다. 장애인 생활시설에서 정보화 촉진을 위해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한 기자재의 확충과 꾸준한 교육연수를 통한 전문지식인의 양성과 사회적 대우를 통하여 원생들에게 질 높은 교육환경 제공하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용허가제 도입이 건설현장에 미치는 엉힝에 관한 연구 -전문건설업체를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 Analysis that Employment Permit System affects Construction Field)

  • 김영준;박경호;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61-71
    • /
    • 2005
  • 외국인 근로자들은 90년대 들어 그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각종 제조업이나 3D업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산업기술 연수생이라는 제도를 통해서 편법적으로 외국인 근로자를 수입하는 정책을 유지해왔었다. 산업기술 연수생은 불분명한 신분을 가진 외국인 근로자들에 대한 차별과 인권 유린으로 수많은 사업장 이탈자를 만들었다. 2004년 8월에 도입된 '고용허가제'는 그 동안의 국내 외국인력 정책을 그 근본에서부터 바꿨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고용허가제의 도입은 제조업 및 서비스업 뿐만 아니 라 건설업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근로자와 고용허가제의 정보를 바탕으로 고용허가제가 건설현장에 미치는 인건비, 작업품질 및 태도, 노동력 수급, 의사소통에 대해 현장관리자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도출된 현장관리자들의 인식을 통해 향후 건설업에서의 부작용을 제거하고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경력 단절 기혼 여성의 재취업 욕구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the Desire of Married, "Career-interrupted" Women to be Re-employed)

  • 권희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1호
    • /
    • pp.87-98
    • /
    • 2010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desire of married women to be re-employed and the factors related to this desire. The study gathered information from 240 women who gave up their jobs and careers after marriage. Information included their career history, current psycho-social condition, and family situ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covariation structure analyses indicated that the desire of married women to go back to paid work was influenced by family economic condition, psycho-social condition, and child care situation. Specifically, the study found that family's monthly income and the age of the last child were negatively related to the women's desire for re-employment. On the other hand, economic pressure and achievement motiva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women's desire. Finally, the study found that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external social support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women’s wish to go back to the workforce.

Assessment of Employment in the Development of the Distribution and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Society in Azerbaijan

  • SALMANOVA, Mahila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6호
    • /
    • pp.67-74
    • /
    • 2022
  • Purpose: In the current era of rapi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ector, the formation of an effective regulatory approach is important. There are some methodological shortcomings and difficulties in the approach system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at assesses the level of application of ICT in various areas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The basic element of economic growth differs according to the economic conditions prevailing in the period and the country. While the agricultural sector plays an active role in economic growth or development in an underdeveloped country, in a developed country, capital-intensive and even technology-intensive production is the main element of economic growth. From this point of view, the contribu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to Azerbaijan's socio-economy for the period between 2010-2020 will be examined. Research design and methodology: The unit root test and Granger causality test were applied by taking the CDPPC per Capita, Employment, and Unemployment Rate from the social-o-economic data as the dependent variable, fixed and mobile phone usage and internet usage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principal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It has been determined that the use of ICT positively affects the socio-economic economic situation.

The Effects of COVID-19 on Unemployment in Realis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Evidence from Malaysia

  • JASNI, Nur Syuhada;KAMARUDIN, Siti Nurhazwani;ABDULLAH, Azmir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10권1호
    • /
    • pp.201-208
    • /
    • 2023
  • The coronavirus (COVID-19) pandemic poses disastrous effects on human lives and hinders global efforts to realiz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by 2030.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pandemic on unemployment toward realizing the SDGs. The downsizing and collapse of businesses have forcibly left many unfortunate Malaysians jobless and without income. The situation may directly influence government efforts to achieve SDG 8 'Decent work and economic growth', which indirectly affects SDG 1 'No poverty', SDG 2 'Zero hunger', and SDG 3 'Good health and well-being'. Pre-and post-pandemic assessments on unemployment and retrenchment level by sector were performed by adopting observation and data comparison methods. Critical findings revealed that the unemployment rate has risen among males and females and the youth, as well as the number of retrenchments. The services sector, specifically the wholesale, retail, trade, and hotel industry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retrenchments. Some important unemployment issues were also covered in this study, including the demand for employment, the role of government and business, and the effect of the gig economy on the current employment landscape. The avenue for future studies can focus on additional societal effects that could prevent the country from attaining the SDGs by 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