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Effect Analysis that Employment Permit System affects Construction Field  

Kim Young-Jun (한양대학교 대학원)
Park Kyoung-Ho (한화건설)
Kim Jae-Jun (한양대학교 건축공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v.6, no.3, 2005 , pp. 61-7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number of domestic foreign worker increased rapidly In the 90s, and Domestic foreigner worker occupied important position in the various manufacturing industries or 3D types of business. In these situation, Government had kept policy that import foreigner worker through system for industrial technology trainee. Distinction and outrage about foreign worker who have ambiguous social position made many place of business seceders. At August,2004 a new introduced employment permit system has great significance that has fundamentally and drastically changed current foreign immigrant policy from the basis. Introduction of Employment permit system is expected to affect much effects to construction industry as well as manufacturing industry and service industry. In this research, with foreign worker and information of employment permit system investigated personnel expenses, work quality and attitude, labor power supply and demand, communication to affect in construction field at employment permit system through questionnaire with field administrators. This research will remove a side effect in construction industry through administrators' awareness and wish to present confrontation way.
Keywords
Foreign worker; Employment permit syste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국토연구원, '건설현장의 외국인 근로자 효율적 활용방안', 2003, p.102
2 김만주, '외국인 노동자의 효율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천안, 경기일부지역 외국인근로자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경영 대학원, 1999
3 노동부 고용정책실, '외국인 근로자 고용 사업주를 위한 가이드북', p2
4 심규범,'건설기능인력의 수급실태 및 대응 방안', 건설산업 동향,2002, pp.3-25
5 이석재,'건설업 영역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건설관리학회 논문집,2001.06,pp.37
6 조진경,'외국 인력 고용의 현황과 과제-고용허가제 도입의 전망과 과제-', 연세대학교 대학원,통상 산업전공,2003, pp.59-66
7 노동부, '외국인 고용허가제 주요내용', 2003 pp.1-2
8 심규범, '건설현장의 외국인근로자 활용실태 및 개선방향', 건설산업동향 200.02,pp.3-6
9 중소기업협동중앙회,'외국인고용허가제 도입의 문제점', 2003, pp.1-6
10 대한건설협회,'외국인연수협력단 내부자료',2002.10
11 김석우, '사회과학연구률 위한 spss win10. 0활용의 실제', p.154
12 중소기협 중앙회,'외국인 연수생 관리실태조사', 1996.02
13 이규용,'외국인 고용허가제 도입과 불법 체류자 대책', 매월노동동향,2003,pp.38-43
14 김세종, '고용허가제 도입에 따른 정책과제',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03, pp.19-27
15 김상아, '외국인 노동자의 노동조건 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 대학교 행정대학원, 1999, pp.61-71
16 최상률, '외국인노동자 유입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효과',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95, pp. 20-25
17 한국경영자총협회,'단순기능 외국인력 고용관리 실태조사',1996.03
18 박장규, '외국인 근로자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1999,pp.24-39
19 이진우,'외국인 건설근로자의 고용에 대한 현장관리자 의식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4,11
20 무료취업알선센터 지역조사 2003.04
21 편혜정, '국내아파트 건설현장에서의 외국인 노동자 활용 현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2003,pp.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