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Improvement of Survey on Employment Status at the Vocational High School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취업실태조사 개선방안 연구

  • Received : 2017.11.01
  • Accepted : 2017.12.06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ssues of the survey on employment status at the vocational high school. For this, 19 chief teachers of employment department were interviewed with the validity of the concept of employment, the appropriateness of the survey period, the effectiveness of the survey method, and the usefulness of the survey output. The main results of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survey of current employment situation, employment is a low standard to be recognized as an ordinary standard, and the employment counts not linked to DB are likely to be inaccurate. Second, regarding the period of employment, the current February survey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field study and employment, and there is a limit to the study of full employment. Third, the present method has limitations on reliability and work efficiency in the survey method. Fourth, current output is not useful for school use in relation to survey output.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졸업자 취업실태조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과제를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특성화고·마이스터고에서 학생들의 취업업무를 총괄하는 19명의 취업부장교사와 취업 개념의 타당성, 조사시기의 적절성, 조사방법의 효과성, 조사 산출물의 유용성 등을 중심으로 면대면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현재의 취업실태조사에서 활용하고 있는 취업의 개념은 통상적인 기준으로 인정하기에 낮았으며, DB와 연계되지 않은 취업집계는 부정확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시기와 관련하여 현행 2월 조사는 현장학습과 취업을 구분하기 어렵고, 진학 및 취업이 결정되지 않은 시기이며 완전한 취업을 조사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셋째, 현재 교사가 수행하는 조사방법은 신뢰도와 업무효율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넷째, 조사산출물은 학교에서는 활용하기에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취업실태조사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6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6S1A5B8A02937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