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ing Reaction

검색결과 439건 처리시간 0.022초

제 2 급 와동에 충전된 Compome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MICROLEAKAGE OF COMPOMER IN CLASS II CAVITY)

  • 임재훈;조용범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4권2호
    • /
    • pp.346-355
    • /
    • 1999
  • To evaluate the micro leakage of compomer, 4 materials were divided into 4 groups of 15 cavities each.(Group 1: Z-100, Group 2: Dyarct AP, Group 3: Fuji II LC, Group 4: Compoglass) After the class II cavities were prepared using carbide bur No. 553, all specimen were restored by incremental filling technique. In group 3, Z-100 was filled with a base of a light curing glass-ionomer. After 7 days, all specimens were thermocycled between $5^{\circ}C$ and $55^{\circ}C$ for 500 cycles, followed by placement in 50% silver nitrate dye for 2 hours at $37^{\circ}C$. After rinsed in distilled water, these teeth were immersed in photodeveloping solution and exposed to fluorescent light for 6 hours. Teeth were then washed in distilled water to remove the photodeveloping solution, sectioned mesio-distally and evalu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cervical por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uji II LC and other groups(Z-100, Dyract AP, Compoglass), Fuji II LC had the least value.(p<0.05) 2. In the cervical portion,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yract AP, Z-100 and Compoglass. 3. In the occlusal portion,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yract AP, Z-100 and Compoglass. From the results above, In enamel, microleakage of compomer such as Dyract AP and Compoglass resemble to that of composite resin. It is thought that it is due to characteristics of composite resin portion of compomer. But in dentin, microleakage of compomer is higher than that of resin 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it is thought that in compomer, acid-base reaction is not developed with dentin.

  • PDF

Memory Effect of $In_2O_3$ Quantum Dots and Graphene in $SiO_2$ thin Film

  • Lee, Dong Uk;Sim, Seong Min;So, Joon Sub;Kim, Eun Kyu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5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40.2-240.2
    • /
    • 2013
  • The device scale of flash memory was confronted with quantum mechanical limitation. The next generation memory device will be required a break-through for the device scaling problem. Especially, graphene is one of important materials to overcome scaling and operation problem for the memory device, because ofthe high carrier mobility, the mechanicalflexibility, the one atomic layer thick and versatile chemistry. We demonstrate the hybrid memory consisted with the metal-oxide quantum dots and the mono-layered graphene which was transferred to $SiO_2$ (5 nm)/Si substrate. The 5-nm thick secondary $SiO_2$ layer was deposited on the mono-layered graphene by using ultra-high vacuum sputtering system which base pressure is about $1{\times}10^{-10}$ Torr. The $In_2O_3$ quantum dots were distributed on the secondary $SiO_2$2 layer after chemical reaction between deposited In layer and polyamic acid layer through soft baking at $125^{\circ}C$ for 30 min and curing process at $400^{\circ}C$ for 1 hr by using the furnace in $N_2$ ambient. The memory devices with the $In_2O_3$ quantum dots on graphene monolayer between $SiO_2$ thin films have demonstrated and evaluated for the application of next generation nonvolatile memory device. We will discuss the electrical properties to understating memory effect related with quantum mechanical transport between the $In_2O_3$ quantum dots and the Fermi level of graphene layer.

  • PDF

Castor oil based hyperbranched polyester/bitumen modified fly ash nanocomposite

  • Bhagawati, Deepshikha;Thakur, Suman;Karak, Niranjan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15-29
    • /
    • 2016
  • A low cost environmentally benign surface coating binder is highly desirable in the field of material science. In this report, castor oil based hyperbranched polyester/bitumen modified fly ash nanocomposites were fabricated to achieve the desired performance. The hyperbranched polyester resin was synthesized by a three-step one pot condensation reaction using monoglyceride of castor oil based carboxyl terminated pre-polymer and 2,2-bis (hydroxymethyl) propionic acid. Also, the bulk fly ash of paper industry waste was converted to hydrophilic nano fly ash by ultrasonication followed by transforming it to an organonano fly ash by the modification with bitumen. The synthesized polyester resin and its nanocomposites were characterized by different analytical and spectroscopic tools. The nanocomposite obtained in presence of 20 wt% styrene (with respect to polyester) was found to be more homogeneous and stable compared to nanocomposite without styrene. The performance in terms of tensile strength, impact resistance, scratch hardness, chemical resistance and thermal stability was found to be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formation of nanocomposite compared to the pristine system after curing with bisphenol-A based epoxy and poly(amido amine). The overall results of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TEM) analysis and performance showed good exfoliation of the nano fly ash in the polyester matrix. Thus the studied nanocomposites would open up a new avenue on development of low cost high performing surface coating materials.

지오폴리머의 강도와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고찰 (Factors Effecting the Strength & Durability of Geopolymer Binder: A Review)

  • 온정권;김규용;사수이;이예찬;유하민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460-468
    • /
    • 2021
  • 이산화탄소 및 온실가스의 배출, 과도한 에너지 소비 및 천연자원의 고갈을 막기 위해 콘크리트의 대체재를 찾는 것은 건설업의 해결과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콘크리트보다 환경친화적인 지오폴리머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실제 시공을 목적으로 강도 및 내구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오폴리머의 강도 및 내구성은 알칼리 용액의 종류 및 농도, 전구물질, 양생 온도 및 시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지오폴리머의 강도와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조성 및 미세구조에 큰 영향을 미친다. 기존의 연구에서 최적의 알칼리 용액의 종류 및 농도, 전구물질, 양생 온도 및 시간을 통하여 지오폴리머의 압축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연구 결과를 검토하고 이러한 요인이 지오폴리머의 압축강도 및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종합하였다.

바텀애시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열전도율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rmal Conductivity of Concrete Containing Fine Bottom Ash Aggregates)

  • 박지훈;정회원;양인환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596-603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화력발전소 산업부산물인 바텀애시의 활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바텀애시를 잔골재로 설정하였으며, 골재 특성 파악을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부순 잔골재의 25, 50, 75 및 100%를 바텀애시로 치환하여 바텀애시를 혼입한 콘크리트를 제작하였으며, 재료특성으로서 단위중량, 초음파속도, 압축강도 및 열전도율 실험을 수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한편, 바텀애시는 포졸란재료로써 가능성이 있으며, 재령 28일과 91일로 구분하여 양생기간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였다. 측정된 실험결과를 토대로 다공질 및 경량 특성을 갖는 바텀애시를 잔골재로 사용한 콘크리트의 열전도율 특성과 단위중량, 초음파속도 및 압축강도와의 상관관계를 제시하였다.

침지방법에 따른 지오폴리머의 압축강도 변화 메커니즘 (Mechanism of change in compressive strength of geopolymers by immersion method)

  • 김학민;김유택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68-76
    • /
    • 2022
  • 본 연구는 오토클레이브에서 양생된 시편들을 침지했을 때 시편의 압축강도 변화 메커니즘(mechanism) 규명을 위해 수행되었다. 침지는 3일, 7일, 21일간 진행되었으며, 침지 용액은 증류수, 2M, 8M, 14M 알칼리용액에서 진행되었다. 단기간동안 침지한 시편들의 압축강도 변화는 크지 않았으나, 21일 동안 증류수 및 8M 알칼리 용액에 침지한 시편들의 압축강도는 추가적인 지오폴리머 반응에 의해 침지전 시편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하였다. 하지만, 일정농도 이상으로 알칼리를 공급해주면 알칼리 골재 반응에 의해 압축강도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오토클레이브에서 양생한 시편들의 압축강도 증진을 위해서는 증류수 및 8M 알칼리용액에서 21일 이상 장기간 침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복합적인 환경인자의 영향에 따른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의 열화 특성 (Effect of Combined Environmental Factors on Degradation Behavior of Carbon Fiber/Epoxy Composites)

  • 황영은;이길형;윤성호
    • Composites Research
    • /
    • 제22권5호
    • /
    • pp.37-42
    • /
    • 2009
  • 온도, 수분 및 자외선과 같은 자연환경을 모사할 수 있는 가속노화시험장치를 적용하여 복합적인 환경인자에 노출된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의 열분석 특성과 화학구조분석을 수행하였다. 복합적인 환경인자의 최대 노출시간은 3000시간으로 노출시간에 따른 복합재의 열분석 특성과 화학구조는 Modulated DSE와 FTIR을 통해 조사하였다. Modulated DSC 시험을 통한 연우-결과에 따르면 노출시간이 증가할수록 복합재 내에 치밀한 망사 구조가 형성되어 유리전이온도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출시간이 증가할수록 복합재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시효가 발생하여 엔탈피 완화현상을 나타내는 흡열 피크가 관찰되었다. 아울러 FTIR 시험을 통해 관찰된 피크의 위치는 노출시간에 큰 영향을 받지 않지만 피크의 세기는 노출시간이 증가할수록 에폭시기에 발생되는 경화 반응으로 인해 점차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 링 시편의 노화 특성 평가 (Aging Characteristics of Carbon Fiber/Epoxy Composite Ring Specimen)

  • 윤성호;오진오
    • Composites Research
    • /
    • 제22권6호
    • /
    • pp.39-44
    • /
    • 2009
  • 가속노화장치를 이용하여 노출시간에 따른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 링 시편의 노화 특성을 평가하였다. 온도, 수분, 자외선 등의 복합적인 노출조건은 최대 3000시간까지 적용하였다. 노출시간에 따른 링 시편의 인장특성과 곡률의 영향이 고려된 굽힘특성은 하중시험장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노화표면은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장강성은 환경인자의 노출시간에 큰 영향을 받지 않지만 인장강도는 노출 초기에 물리시효 현상과 경화 반응으로 다소 증가하지만 노출시간이 길어지면 열화 영향으로 감소하였다. 굽힘탄성계수와 굽힘강도는 노출초기에 다소 증가하지만 노출시간이 길어지면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된 노화표면은 환경인자의 노출시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환경인자의 노출시간에 따른 기계적 특성의 변화를 규명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결합재 구성에 따른 50MPa급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축 변형 특성 (Shrinkage Characteristics of 50MPa High-strength Concrete with Compositions of Cementitious Materials)

  • 정형철;민경환;양준모;윤영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통권55호
    • /
    • pp.93-100
    • /
    • 2009
  • 본 연구는 대형 대단면 지하공간에 적용하기 위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50MPa급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제조를 위해 플라이애쉬와 고로슬래그미분말의 치환에 따른 최적 배합을 선정하고, 비구속 수축 실험과 수축균열 실험을 통해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전배합이 7일 재령에서 30MPa을 넘었고, 28일 재령에서는 설계강도를 모두 안정적으로 획득하였다. 고강도 콘크리트에 고로슬래그를 사용할 경우 자기수축량이 커지고, 다량 치환할 경우 수축변형이 증가하고 강도발현이 지연되어 수축에 의한 균열 발생의 우려가 있다. 혼화재를 다량 치환한 고강도 콘크리트 배합은 수화반응과 건조 효과에 영향을 주는 초기 재령의 양생 조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Semi-Gel 전해액이 전력저장용 배터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emi-Gel Electrolyte in Electricity Storage Battery)

  • 정순욱;구본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3-198
    • /
    • 2012
  • 태양광 또는 풍력을 이용해 발생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저장과 사용을 위한 납 축전지의 성능을 향상 시키기 위해 전해액을 Semi-gel화 하여 납축전지에 적용하여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emi-gel 전해액은 silica를 5wt.% 혼합한 전해액이 1시간 30분경과 시 gel화가 시작되었다. 이는 전해액이 격리판과 극판 활물질 내부까지 완전히 스며들기에 충분한 시간으로 가장 적정한 gel화 시간을 나타내었다. Semi-gel 전해액을 사용한 납축전지와 액상 전해액을 사용한 납축전지의 방전 성능을 비교한 결과, 저율방전 성능은 semi-gel전해액이, 고율방전 성능은 액상 전해액이 높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이는 gel 전해액의 경우 액상 전해액에 비해 반응속도가 느려 고율방전 성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내었다. 수명성능을 DOD 10%, DOD 100%로 시험한 결과, 5%-silica 전해액이 액상 전해액을 사용한 납축전지에 비해 우수한 수명 성능을 나타내었다. 이는 Semi-gel상 태의 전해액이 납축전지 내부 화학반응 시 발생하는 gas의 재결합 효율을 높여 전해액 감액량이 최소화로 한 결과로 수명성능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태양광, 풍력 등과 같은 에너지 저장 효율을 높이고, 수명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해액에 5%-silica전해액을 사용하면 전해액의 감액량이 최소로 되어 DOD 100% 수명시험의 경우 4.8%, DOD 10% 수명시험의 경우 20%의 수명성능이 향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