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cuma extract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4초

강황 (Curcuma longa L.) 색소의 정량 및 안정성 (Quantitative Determination and Stability of Curcuminoid Pigments from Turmeric (Curcuma longa L.) Root)

  • 김관수;정명근;박시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211-215
    • /
    • 2005
  • 강황 (Curcuma longa L.) 색소의 curcuminoid 성분인 curcumin (CUR), demethoxycurcumin (DEM), bisdemethoxy-curcumin (BIS)의 정량분석을 위해 유의성있는 검량선$(r^2=0.9999**)$을 작성하였다. 사용된 HPLC는 역상칼럼을 장착하고 420nm의 UV 검출조건, 그리고 이동상으로 acetonitrile: $0.1\%$ acetic acid /water의 50 : 50 혼합용액을 이용하는 조건으로 분석조건이 확립되었다. 국내 6개 지역에서 재배된 강황들의 색소성분 함량분석 결과, CUR가 91.6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DEM은 56.9 mg/g이고 BIS는 23.0 mg/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총량은 평균 171.5 mg/g이었다. 강황 색소추출물의 저장시기별 색소성분의 함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 $-20^{\circ}C$ 냉동저장은 거의 손실이 없었으나 상온저장은 60일 이후 급격한 감소율을 보였다. 저장 90일째의 색소성분은 암조건에서 약 $50\%$, 명조건에서 약 $30\%$만이 남아 있어 curcuminoid색소성분은 빛과 온도에 의해 분해가 촉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강황(Curcuma aromatics Salab.) 추출물이 두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urmeric(Curcuma aromatica Salab.) on Shelf Life of Tofu)

  • 박경남;박나영;김대곤;박금순;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6-141
    • /
    • 2007
  • 강황 추출물 첨가 두부의 저장 중 품질 변화를 조사한 결과 $5^{\circ}C$에서는 품질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25^{\circ}C$에서 저장한 경우 강황 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pH는 높고 산도는 낮았으며, 총균수는 2-3 log cycle 적어 저장성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강황 추출물 첨가 두부의 저장 중 조직감은 저장 온도에 관계없이 대조구에 비하여 강황 추출물 첨가구의 hardness, choesiveness, springiness가 높게 나타났으며 첨가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 중 색상의 변화는 lightness의 경우 저장기간, 강황 추출물 첨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a값은 강황 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b값은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강황추출물 첨가 두부의 맛과 종합적 기호도는 대조구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조직감은 대조구보다 우수하였다.

Quantification of the Bioactive Components of the Rhizomes of Curcuma wenyujin and Assessment of Its Anti-inflammatory Effect i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1 Cells

  • Seo, Chang-Seob;Park, Eunsook;Lee, Mee-Young;Shin, Hyeun-Kyo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5권3호
    • /
    • pp.238-243
    • /
    • 2019
  • In this study, the marker compounds of Curcumae Rhizoma (CR) were simultaneously quantifi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equipped with a photodiode array detector an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R extract and marker compounds in huma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epithelial-1 (BPH-1) cell lines were investigated. The marker components (4S,5S)-(+)-germacrone-4,5-epoxide, furanodienone, and germacrone, were separated on Gemini $C_{18}$ columns ($250mm{\times}4.6mm$, $5{\mu}m$) at $40^{\circ}C$ by using a gradient of two mobile phases eluting at 1.0 mL/min. Prostaglandin $E_2$ ($PGE_2$) levels in Human BPH-1 cells were determined with an ELISA kit.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in a calibration curve of each analyte were all 0.9997. The limits of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the three compounds were $0.10-0.32{\mu}g/mL$ and $0.30-0.98{\mu}g/mL$, respectively. The content of three compounds, (4S,5S)-(+)-germacrone-4,5-epoxide, furanodienone, and germacrone, in the CR sample were found to be 5.79 - 5.92 mg/g, 4.72 - 4.86 mg/g, and 1.06 - 1.09 mg/g, respectively. Regarding pharmacological activity against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CR and its components significantly suppressed $PGE_2$ levels of BPH-1 cells. The established analysis method will help to improve quality assessment of CR samples and related products. In addition, CR and its components exhibit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BPH-1 cells, suggesting the inhibitory efficacy of these compounds against the pathogenesis of BPH.

천연 약용식물 추출물의 구강상피세포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효과 (Anticancer Effects of Natural Medicinal Plant Extracts on Oral Carcinoma Cells)

  • 김정희;현진원;김여갑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7권2호
    • /
    • pp.153-157
    • /
    • 1999
  • The anticancer effect of medicinal plants against two oral carcinoma cells, A253 and SCC-25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Methanol extracts from 63 medicinal plants, which have anticancer activities against other cancers such as stomach, hepatocellular or colon carcinomas, were prepared and screened for their anti- oral cancer activity by using MTT assay. Thirty one samples showed anti-oral cancer activity against either cell line used, however, other 32 samples had no anti-oral cancer activity. Among these samples methanol extract of Caesalpinia sappan revealed the strongest anti-oral cancer activity. The $IC_{50}$/ values of this extract against A253 and SCC-25 cells were 16 and 25 $\mu$g/m1, respectively. Fractions of n-hexane, dichloromethane, ethylacetate, n-buthanol and water were prepared from methanol extracts of Caesalpinia sappan, Anthriscus sylvestris, Rhus japonica, Curcuma arowatica, Inula helenium, Sinoarnudinaria reticulata, and Polygonum cuspidatum, respectively. Among these 35 fractions the n-hexane fraction of Inula helenium showed the strongest anti-oral cancer activity, the $IC_{50}$/ value was 1.6$\pm$0.3 $\mu\textrm{g}$/ml. Ten other fractions showed $IC_{50}$/ values lower than 10 $\mu\textrm{g}$/ml.

  • PDF

Inhibitory activity of diarylheptanoids on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 Kang, Hyun-Mi;Jeon, Sun-Bok;Son, Kwang-Hee;Yang, Deok-Cho;Han, Dong-Cho;Kwon, Byoung-Mog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265.2-265.2
    • /
    • 2003
  • Diarylheptanoids [curcumin (1), demethoxycurcumin (2), bisdemethoxycurcumin (3), bisdimethoxymethylcurcumin (4), and 1,2-dihydrobis(de-O-methyl)curcumin (5)] were isolated from the methanolic extract of Curcuma longa L. and A new cyclic diarylheptanoiid (6) and a known compound 7 were isolated from fruits of Alnus japonica S. Diarylheptanoids (1-3) inhibited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FTPase) with an IC50 of 29-50 $\mu\textrm{m}$. (omitted)

  • PDF

흰쥐에서 Curcuminoid 및 이를 함유한 천연식물 혼합물이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rcuminoids and Natural Plants Extract Mixture on the Cardiovascular System in Rats)

  • 안수현;이종호;박하림;권승택;고유석;손영덕;장양수;정광회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2호
    • /
    • pp.101-108
    • /
    • 2003
  • Antiplatelet aggregation, anticoagulant and lipid-lowering drugs are clinically widely used for secondary preventive purpose in the cardiovascular patients, but there is no primary preventive agents to prevent these diseases. With the aim of developing effective primary agents for cardiovascular diseases, we tried to formulate an optimized mixture of natural plants extract containing Theae sinensis, Camelliae sinensis, Vitis vinifera, Gingko folium and curcuminoids from Curcuma longa and to evaluate its anti-thrombotic and anti-hypercholesterolemic effects in vivo. The inhibitory effect of curcuminoids on vascular smooth muscle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were also investigated in vitro. in the animal experiments treated with hyperlipidemic diet, oral treatment of curcuminoids and natural plants extracts mixture (100 mg/kg) into male Sprague Dawley rats for 7 week simultaneously inhibited platelet aggregation as well as improved lipid profile in the blood. Compared to control group, both of curcuminoids-treated and mixture-treated groups revealed significantly decrease of total cholesterol (24.4%, 28.6%), free cholesterol (25.1%, 24.0%), cholesterol ester (14.6%, 29.0%), LDL-cholesterol (27.0%, 32.0%) and triglyceride (15.0%, 31.0%), respectively. However, both groups showed increase of HDL-cholesterol (46.6% and 51.5%) . In particular, atherogenic index of curcuminoids and mixtur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o 47.0% and 56.0%, respectively. Furthermore, oral treatment of curcuminoids and mixture significantly inhibited collage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21.1% and 29.1%,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 anti-thrombotic values of mixture was almost similar to that of aspirin treatment (100 mg/kg)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ral treatment of curcuminoids-based natural plant extract mixture improved cardiovascular conditions in hyperlipidemic rats.

구강암에 대한 약용식물 추출물의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NTI-ORAL CANCER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 이영훈;김여갑;김정희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1호
    • /
    • pp.53-58
    • /
    • 2000
  • Treatment of oral cancers with chemotherapeutic agents are evaluat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remission to reduce cancer proliferation nowadays. But, minimization of side-effects such as bone marrow suppression, gastrointestinal toxicity and renal damage is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Thus, a possible approach to develop a clinically applicable chemotherapeutic agents is to screen anticancer activity among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which have been used for thousands of years with very low side-effects in orient. In this study we focused on screening anti-oral cancer activities among 14 traditional medicinal plant extracts that revealed anticancer activities on other solid tumors. The results were as follow : 1. Methanol extract of Lepidium apetalum showed the highest anti-oral cancer activity against A253 cells. At concentration of $4{\mu}g/ml$, the cell viability was 48% under our experimental condition. $IC_{50}$ value obtained was $4{\mu}g/ml$. 2. Methanol extract of Coptis japonica and Solanum nigrum were effective on KB cells. Cell viability observed were 62% and 67% at concentration of $4{\mu}g/ml$, and $IC_{50}$ values were $12{\mu}g/ml$ and $10{\mu}g/ml$ respectively. 3. When the methanol extract of Lonicera caerule was combined with $2{\mu}g/ml$ of cisplatin, the anticancer activity was synergistically increased. One hundred ${\mu}g/ml$ of Lonicera caerule showed 92%(alone) or 59%(combined with cisplatin) cell viabilities. $IC_{50}$ value of Lonicera caerule extract against KB cells was reduced from $301{\mu}g/ml$ to $126{\mu}g/ml$ when combined with $2{\mu}g/ml$ of cisplatin. 4. Medicinal plant extracts effective on both A253 and KB cells were Coptis japonica, Lepidium apetalum, Solanum nigrum, Caesalpiniae Lignum, Curcuma aromatica.

  • PDF

흑마늘과 남해특용작물을 혼합 첨가하여 제조한 소시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sage Prepared with Black Garlic Extract and Dried Powder of Specialized Crops Cultivated in Namhae)

  • 윤환식;신정혜;강민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44-453
    • /
    • 2014
  • $15^{\circ}Bx$ 흑마늘 추출액 1%에 울금(ST1), 백년초(ST2), 아스파라거스(ST3) 및 알로에(ST4) 분말을 각각 0.3%씩 첨가한 소시지를 제조하여 $8^{\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면서 품질 변화를 살펴보았다. 색도는 흑마늘 추출물이 첨가된 대조구에 비해 백년초 분말을 첨가한 ST2에서 명도, 적색도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황색도는 아스파라거스 분말을 첨가한 ST3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전단가는 저장 0일에 대조구가 $854.19{\pm}38.21cm/kg^2$으로 가장 높게 측정이 되었다. 산도는 pH와 유사한 경향으로 ST4가 가장 높았으며 대부분의 처리구가 저장 2주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총당은 저장 0일에 ST4가 $17.46{\pm}0.92mg/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으며 전체적으로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다. TBARS 함량은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1000{\mu}g/mL$ 농도에서 저장 0일에 $89.11{\pm}0.66{\sim}99.22{\pm}0.09%$의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 결과와 비교했을 시 흑마늘에 특화작물의 첨가가 상품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잔디밭 잡초 바랭이와 민들레 방제를 위한 살초활성 약용식물의 탐색 (Screening for Herbicidal Medicinal Plants against Digitaria Sanguinalis and Taraxacum Platycarpum in Turf)

  • 김대호;강재영;김인섭;전민구;이재득;김익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0-6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잔디밭 문제 잡초인 바랭이(Digitaria sanguinalis L.)와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에 대한 약용식물 추출물 23종의 살초활성을 조사하였다. 페트리디쉬 검정에서 효과가 나타난 약용식물 추출물을 선발하여 포트에서 발아전 처리를 하였으며, 그 결과 바랭이에서는 울금(61%)과 천궁(62.5%) 추출물에서 발아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민들레에서는 가죽나무(77.8%) 추출물에서 발아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경엽처리에서는 두 초종 모두 가죽나무 추출물에서 살초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도된 인체 백혈구 DNA 손상에 대한 울금 추출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Role of Curcuma longa L. Extracts on Hydrogen Peroxide-Induced DNA Damage in Human Leukocytes)

  • 서보영;박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45-551
    • /
    • 2017
  • 울금은 간질환, 기관지염, 폐질환 및 심장질환에 효과적인 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항산화 및 세포보호에도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울금을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등으로 추출하여 울금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 함량(TPC) 및 DPPH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활성 등의 항산화력 그리고 comet assay를 이용한 DNA 손상억제 효능 및 회복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TPC는 울금의 메탄올 추출물($11.17{\pm}0.00g\;GAE/100g$), 아세톤 추출물($1.45{\pm}0.00g\;GAE/100g$), 에탄올 추출물($1.17{\pm}0.02g\;GAE/100g$)의 순으로 나타나 메탄올 추출물에 가장 많은 폴리페놀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력을 분석한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SOD 유사활성 분석 결과 역시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강력한 활성을 보였으며, 그다음으로 에탄올, 아세톤 추출물의 순으로 나타났다. Comet assay를 이용한 DNA 손상 억제력을 분석한 결과 모든 추출물 처리구가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positive control(PC)에 비해 유의적인 DNA 손상 억제력을 보였으며, $ED_{50}$값 분석 결과 메탄올 추출물이 $86.7{\mu}g/mL$, 아세톤 추출물이 $110.0{\mu}g/mL$, 에탄올 추출물이 $115.8{\mu}g/mL$의 순으로 나타나 메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울금 추출물 처리 4, 8, 12시간 후의 DNA 손상 회복력을 분석한 결과, negative control(NC)의 경우 시간 경과에 따른 회복 능력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추출물 처리구에서는 1시간 후 증가한 DNA 손상이 시간 의존적으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12시간 후의 회복 수준은 NC와 동일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NC에 대한 추출물 처리구의 DNA repair half time을 분석한 결과, PC가 9.5시간으로 가장 오랜 시간이 걸린 데 반해 메탄올 추출물이 6.6시간, 아세톤 추출물이 7.1시간, 에탄올 추출물이 7.6시간으로 메탄올 추출물이 DNA 손상 회복에 가장 짧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등의 용매를 이용한 울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DNA 손상 억제 및 회복활성을 확인하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활성비교에서는 메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이 나타났으므로 메탄올이 울금의 폴리페놀을 비롯한 항산화물 추출에 가장 효율적인 용매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력을 가진 대표물질인 폴리페놀 성분만을 분석하여 폴리페놀 중 어떤 성분이 항산화력에 영향을 보인 것인지 알 수 없으므로, 차후 연구에서는 용매별 항산화물 성분 분석을 통해 항산화력 및 항유전독성 효과에 기인하는 물질이 무엇인지 근거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