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e and Arts

검색결과 1,464건 처리시간 0.035초

우리나라 다목적 공연장의 탄생배경에 관한 소고 (A Brief Review of Backgrounds behind "Multi-Purpose Performance Halls" in South Korea)

  • 김경아
    • 공연문화연구
    • /
    • 제41호
    • /
    • pp.5-38
    • /
    • 2020
  • 이 연구는 군사정권의 권력 전개양상에서 드러나는 문화정책이념이 '다목적 공연장'의 개념형성으로 발현되는 과정을 살펴보는데 있다. 한국의 공연장 현황은 우리나라 공연문화와 깊은 관계가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그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예술회관(문예회관)을 중심으로 한국의 공연문화와 향유문화가 깊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문예회관들은 다목적홀로 운영되고 있으며 운영주체는 절대다수 정부와 지방정부 또는 출자출연기관의 재단법인 등 공공영역에서 운영한다. 따라서 정부와 지방정부의 문화예술정책의 대상이며 제도적 측면과 긴밀한 상관관계를 가지게 된다. 박정희 정권은 초헌법적인 유신을 공포하고 우리나라 문화예술법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문화예술진흥법」(1972.9)을 제정한다. 이법을 근거로 「문예중흥5개년계획」(1973)을 수립하고 문화시설들을 짓기 시작했다. 전국의 '문화예술'회관, 또는 '문화'회관이 다목적홀로 지어진 데에는 문화예술진흥법의 "문화예술"에 대한 정의를 "문학, 미술, 음악, 연예 및 출판에 관한 사항"으로 명시함으로써 지금의 '다목적'개념의 근거가 된다. 한편, 문화공보부의 조직직제는 "문화와 예술"을 관장함을 명시하고 대중문화와 예술진흥을 구분 짓는 문화행정체계를 갖춘다. 그러나 이시기 대통령의 연설에 나타난 박정희의 화법은 '문화예술=예술'로 인식하고 있다. 예술은 문화에 포함되는 개념이지만 문화예술=예술로 인식함으로써 정치적 시국이나 시행부서에 따라 그 해석을 달리하였고, 이러한 모호성은 예술이 이데올로기적 활용에 정책적으로 동원되는 기제가 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문화예술진흥법에 근거하고 문화공보부의 관장 하에 1978년 다목적 공연장인 세종문화회관이 개관한다. 그러나 제도상의 문화예술=다목적과 설립을 추진했던 정부조직의 문화≠예술, 권력이 인식했던 문화예술=예술은 대중음악의 대관문제를 두고 가치충돌로 표출된다. 1979년 12·12사태로 정권을 장악한 신군부는 민족문화를 앞세운 국풍81을 통해 저항세력을 체제 안으로 끌어들이고자 했다. 정권의 의도는 실패하였고, 저항과 지지의 양축에서 국민적 지지를 확보하는 방안으로 국민의 문화향유 기회확대 정책에 방점을 둔다. 이는 앞 정권의 문화예술에 관한 인식의 전환이며 박정희 정권과의 차별화를 추구한 것이다. 전두환 정권에 있어 앞 정권과의 차별성은 곧 정권의 정당성 확보를 의미하는 것이었고 향유기회의 확대는 문화영역의 분배 차원에서 추진되었다. 따라서 장기적인 안목의 예술발전으로 자리매김 되지 못했고 하드웨어의 상징성으로 정권의 정당성 확보를 실현하려고 하였다. 오늘날 다목적 공연장의 개념은 유신체제하에 만들어진 법체계의 "문화예술"의 정의에 기인한 것이며 이를 근거하여 공공 공연장의 운영목적으로 '다목적'의 개념이 탄생한다. 군사정권을 이은 전두환 정권은 프로시니엄 구조의 다목적 공연장을 정권의 정당성 확보의 수단으로 표출하였고, 전국적으로 재생산 되어 오늘날 한국의 공연문화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럭셔리 패션브랜드의 사회공헌활동으로서의 문화예술지원 (Luxury Fashion Brands' Patronage of Arts and Culture as Corporate Philanthropy)

  • 이명선;범서희;임은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546-558
    • /
    • 2021
  • As consumers' demand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has increased, luxury fashion brands have been providing support for arts and culture as CSR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atronage of arts and culture as corporate philanthropy and to analyze the motives luxury fashion brands have for supporting arts and culture. The study investigates patronage of arts and culture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conducts case studies of luxury fashion brands' patronag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atronage based on public interest reduces the social costs of arts and culture and helps to create aesthetic experiences for the public; second, sustainable patronage is not only priceless PR for luxury fashion brands, it also supports the development of arts and culture; third, authentic patronage obviates the criticism that luxury fashion brands only support arts and culture for the purposes of profit, by separating business operations from patronage. In conclusion, those three elements are at the heart of patronage for the arts and culture and fashion companies need to support culture and the arts by taking a long-term perspective when it comes to creating social value.

공공 문화예술기관의 운영효과 분석 (Analysis of Operational Effect of Public Culture & Arts Institution)

  • 김신표;조현주
    • 산업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39-4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tasks and means of improving the operational system of public culture and arts institutes in the future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operation of public culture and arts institute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 factor variables that impart effect on the operation of public culture and arts institutes included (1) artistic value, (2) convenience and (3) organizational management, while the performance variable of public culture and arts institutes was (4) operational performance. Secondly, in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that explains the operational effects of public culture and arts institutes, convenience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were found to impart effects on the operational performances. However, artistic value was found to have no effect on operational performances. Therefore, these results of analysis imply that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convenience, rather than artistic value, need to be fortified in order to elevate the operational performances of public culture and arts institutes.

  • PDF

Digital Competence As A Component Of Professional And Information Culture Of A Teacher

  • Kharlamov, Mykhailo;Sinelnikov, Ivan;Lysenko, Vladyslav;Yakobenchuk, Nazar;Tkach, Anna;Honcharuk, Оle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7호
    • /
    • pp.169-172
    • /
    • 2021
  • Based on the scientific and pedagogical analysis of the theory and experience of teaching computer science disciplines, the didactic mechanism for ensuring the continuity of the average (full) general and higher professional education of economists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innovative technology of personal experience foundation. The pedagogical conditions for the formation of information competence, including laboratory, design, research work, the use of active teaching methods for acquiring management skills in production and activities of the enterprise. An indispensable requirement for the condi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basic of educational programs is the assessment of competencies. With this the goal was to develop criteria and levels of formation information competence of future economists and carried out complex diagnostics.

문화예술교육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 Adolescents' Ego-Resilience)

  • 윤선미;남상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281-289
    • /
    • 2021
  • 청소년기는 자아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아 스트레스를 이겨내는 능력인 자아탄력성이 중요한 시기이다. 문화예술교육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다양한 영향을 주고 있어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에서 청소년들의 상황에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 효과의 자신 이해는 청소년 자아탄력성의 감정통제, 활력성, 대인관계, 낙관성, 호기심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는 반면에 문화예술교육 효과 중 정서적 안정은 청소년 자아탄력성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자신에 대한 이해와 자기 계발을 위하여 더욱 실질적인 프로그램으로 진로 탐색 기회 등을 제공하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은 청소년들의 개인적 성향을 타인과 좋은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높은 자신감을 가지며 안정되고 성숙한 생활의 넓은 영역에서 역할 수행할 수 있는 융합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eatures Of The Implementation Of Distance Education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n Ukraine

  • Soroka, Maryna;Shtefiuk, Valeriia;Tatarenko, Maryna;Babchenko, Yanina;Ivashchenko, Iri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1호
    • /
    • pp.266-270
    • /
    • 2021
  • The article clarifies and divorces the concepts of distance learning systems "distance learning", "distance education", "distance technologies", "open education". The central concept of the DO system is "distance learning"; - an assessment of the use of distance technologies in the system of higher professional education in Ukraine was carried out, which showed that the dominant teaching technology at the moment is the technology of teaching using cases (case technology on paper and electronic media). It is determined that distance technologies based on the active use of technical teaching aids (network technologies,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find little use in the system of higher professional education in Ukraine.

The Use Of Elements Of Innovative Pedagogical Technologies In Educational Activities

  • Barba, Ihor;Riazantsev, Lev;Koturha, Oleh;Poliakov, Serhii;Bondarets, Nadi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호
    • /
    • pp.117-122
    • /
    • 2021
  • The article considers the position of scientists on the concept of "pedagogical technology", identifies the signs of pedagogical technology and existing classifications, considers non-traditional (innovative) learning technologies, as well as their practical forms of application in the educational process, summarizes the results, makes recommendations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studied material. The article considered the basic concepts of pedagogical technology, as well as some types of non-traditional (innovative) teaching technologies. Also, examples of the use of some elements of innovative technologies in practical educational activities are given. The choice of specific non-traditional pedagogical technologies is determined by the target orientation, content specificity, individualization of training, technical equipment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etc.

감정반응(PAD) 요인이 문화예술 웹사이트 서비스에서의 만족과 구전을 통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An Empirical Study Applying the PAD Factors to Loyalty of Culture and Arts Website Service)

  • 백헌;권두순;이재범;김진화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105-128
    • /
    • 2012
  • 인터넷을 활용한 문화예술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중 하나인 문화예술 웹사이트(Culture and Arts Website)는 연극, 음악, 미술, 건축, 디자인, 영상, 문학 등 예술장르에 속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이다. 이 웹사이트는 문화예술 분야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있으며, 각 문화예술 분야에서 고객이 원하는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 웹사이트 개발자는 이 웹사이트를 문화예술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발전시키기 위한 미디어로 인식하고 있으며, 시대의 흐름과 고객의 욕구에 맞는 문화예술 웹사이트 서비스 활용도와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웹사이트 이용자들의 문화예술 웹사이트 서비스 영향요인들에 대해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만족과 구전이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만족과 구전을 기반으로 문화예술 웹사이트 서비스 이용자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인간의 감정을 강조한 감정반응(PAD: Pleasure, Arousal, Dominance) 이론의 주요 변수들을 적용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문화예술 웹사이트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서울 소재 S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문화예술 웹사이트에서 즐거움과 지배에 관련된 감정을 경험하게 되면 웹사이트를 만족하게 되고 충성도까지 이어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예술 웹사이트에서 경험한 환기와 관련된 감정은 웹사이트 만족과 구전을 통해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반응의 세 가지 요인 모두 구전을 통해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문화예술인의 정보포털 어포던스 및 시스템 리터러시에 대한 연구: 퍼지셋 질적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Research on Information Portal Affordances and System Literacy of Cultural Artists: Focusing on Fuzzy 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 김현영;이환수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5-70
    • /
    • 2023
  • This study conducted a fuzzy 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study on culture and arts information portals to ensure practical and universal use and activation of culture and arts information portals. The capabilities and influence of affordances and system literacy according to user experience regarding accessibility to cultural arts information portals are as follows. First, physical affordances in the culture and arts information portal were key conditions for the culture and arts information portal user experience regarding system accessibility, system understandability, system usability, system usability, and system literacy. Second, the functional affordance of the user experience in the cultural arts information portal was relatively low and unimportant, and when the functional affordance was low, the user's system accessibility, system understanding, system usefulness, system usability, and system literacy were increased. Third, if the user's functional affordance and sensory affordance are low in the culture and arts information portal, the system accessibility, system understanding, system usability, and system literacy of the culture and arts information portal users are increased. Fourth, cultural arts information portals must build an innovative system with a systematic approach appropriate for the user base by linking system literacy capabilities with a focus on physical affordances.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융복합 학문의 시대적 흐름- 음악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Trend of the Convergence Stud in Arts & Culture Education - Focused on Music Technology)

  • 김은진;임병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02-113
    • /
    • 2012
  •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에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려는 노력은 사회 문화 전반 분야뿐만이 아닌 일반 교육계와 문화, 예술교육에도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가장 큰 변화의 하나는 다른 영역간의 통합과 연계라는 추세가 문화와 예술분야에도 영향을 주면서, 문화와 예술이 통합을 이룬 문화예술 교육을 탄생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새로운 시대는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활용이 교육 전 영역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문화 예술교육에도 테크놀로지의 활용이라는 새로운 시도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음악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알아보았다. 음악 테크놀로지의 활용은 다른 교과간의 통합적 접근으로의 가능성을 보여주며, 문화예술교육 외에 다양한 학문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음악 테크노로지의 활용은 현재 문화예술 교육 분야의 독특성, 전문성, 고유성을 반영해줄 만한 교수학습방법의 학습도구로서 다양한 대상과 상황에서 적용하여 실천적 사례를 쌓음으로서 문화예술 교육 분야를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