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e Relics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5초

부산시 중구 40계단 문화의 거리 조성계획 (The 40 Stairs Cultural-Street Design in Susan City)

  • 최정윤;강영조;강동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1-92
    • /
    • 2005
  • In study, various notions regarding historic landscapes and rehabilitation were first investigated, and efficient rehabilitation schemes on modem historic landscape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se theological analyses, an underlying scheme on the rehabilitation of modern historic landscapes was drawn up for '40 Stair Cultural Street' in Jung-gu, Busan City. Rehabilitating historic landscapes not only expresses a positive method to preserving sites and relics of heritage, but also an idea of preservation and rehabilitation based on interpretations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of value in this present day. Its significance is, therefore, to construct an ideal urban landscape in which the past, present and future can coexist. The rehabilitation of historic landscapes will become a psychological pillar to the people living in cities and will be able to lead the various types of urban activities as effective landmarks creating accessibility and representing perpetuity, as rehabilitated landscapes last through the passage of time. In addition, since historic and cultural landscape resources significantly represent regional identitie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at are protected and maintained, they may result in the succession of time and space in regional and urban historical culture and contribute to improving local images and impressions, allowing citizens and tourists to experience many diverse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s. The underlying scheme on the development of '40 Stair Cultural Street' in the study has been drawn up with a focus on the rehabilitation of modern historic value drawn out of the 40 stairs. The area around the 40 stairs, which was shaped as a stronghold of refugees who fled for safety during the Korean War, has changed as dramatically as people can no longer get a feel of the circumstances of that period. Local historians and residents, however, still share the joys and sorrows of refugee life as sad memories. Based on the historical fact, landscape planting, street furniture, outdoor color schemes & signage, traffic systems, symbolic 3-D models and pavement designs are underway.

한국의 전통 엮음직물에 관한 고찰 (Study on Traditional Korean Intertwinement of Textile)

  • 권은영;이상은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5-53
    • /
    • 2008
  • Different method of textile fabrication had existed since the ancient times, but the most dominant form was the 'weaving' method which embodies the cross fabrication of vertical and horizontal threads using special weaving machines (looms). In addition, fabrication methods like knitting, felt, and lace were commonly practiced while intertwinement methods like twisting, braiding, and knotting techniques were frequently used for weaving strings and braid type textiles. In the past, people did not pay attention to strings and braids because they were classified as non-textiles, but, in this paper, we have expanded the scope of definition of textile to include strings and braids, and seek to conduct in-depth research on various different intertwinement of textiles. The adaptation of intertwinement method in arts and crafts enables limitless creative works reflecting the ever-changing taste and style of the creator. This creativity is further broadened by the fact that intertwinement methods encompass no set patterns and the subject and shape of its creation is as broad as its artistic pursuits. We can infer the knowledge of our ancestors, their aesthetic taste, and the pattern of life from these creations. In addition, these creations can provide comfort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modem people who are deeply deprived of sentimental and emotional solitude in the technological civilization of the 21stcentury.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raditional Korean arts and crafts made using the intertwinement methodology through the context of strings, braids, straw crafts and knotting method. Then it will conduct through research on the different materials, forms, characteristics, usage and other key notions based on the currently preserved records and relics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on traditional textiles and provide the foundations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culture and cultural products, reflecting the true sole and aesthetics of traditional Korean textile crafts.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s on Coptic Textiles of Ancient Egypt

  • Han, Jung-Im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3호
    • /
    • pp.112-124
    • /
    • 2011
  • Textile and clothing in Ancient Egypt have carried long history and tradition. Especially, Egyptian textile culture, created mostly by the Copt, has the originality of weaving technology and the artistic beauty of the weaving motifs, making the textiles comparable to modern texti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Coptic textile designs of ancient Egypt and the tunic, a basic garment made of Coptic textiles, and offer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xtiles and designs with artistic values which can be shared in the modern era, not just for the research of the relics of the past. Therefore, this study will follow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Coptic textiles and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and look into the distinct features under the categories of material, colors and motifs. In addition, the tunic and its weaving technology will be explained and this will help understand the originality of Coptic textiles.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period of the 3rd to 12th centuries when the Egyptian weaving technologies advanced dramatically and many of the ancient Egyptian textiles discovered from the grave goods dates back, the research methode of the tunic as well as books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research paper and photograph works. The textiles had developed along the Egyptian history which was influenced by different cultures such as Greek, Roman, pagan, Christian, and later, Islamic. For the textiles, they used a variety of pictorial motifs including Greek goddesses, pastoral scenes related to the Nile River and animals, human figures, geometrical figures and Christian icons. They are symbolic, natural, and mythological characters, and this explains that the world views and religions of the weavers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specific motifs. Coptic textiles was used to make a tunic, a simple straight-sided gown without sleeves worn by men and women and was woven in a combination of linen plain weave and woolen tapestry weave for a tunic. Not only the excellence of the weaving technologies and the beauty of the colors used in the textiles, but also the diversity of the textures through weaving, embroidery, and knotting are detected in Coptic textiles.

고려말 조선초의 상류층 여성 복식문화를 응용한 구체관절인형의상 문화상품 연구 (A Study on the Costume of Ball Jointed Dolls as Cultural Product with Application of Ladies' Costume Culture from Late Goryeo to Early Joseon)

  • 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3815-3826
    • /
    • 2011
  • 본 연구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고려말 조선초의 상류층 여성복식을 고증하여 구체관절인형의상 세트를 시험제작하고 한국 문화상품의 아름다움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고려말 조선초의 상류층 여성복식은 풍성한 실루엣, 원과 명 복식과의 융합, 옛 고려풍의 부활, 발달한 모시 직조기술, 불교문화 복식이라는 특성을 가진다. 13-14C의 문헌과 유물과 회화를 통한 연구자의 고증과 패턴제작 과정을 거쳐 총 8점의 아이템이 외주제작되었다. 각 아이템은 세트로 구성되었으나 소비자가 단품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인체와 특성이 다른 구체관절인형의 바디로 인해 부분적으로 다아트와 작은 고름이 첨가되고 강직한 직물이 사용되었다. 이후로는 기성품 생산을 위한 업체 시스템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지역 에코뮤지엄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 연구 (Study on the Sustainable Method of Local Eco-Museum)

  • 윤동희;김연희
    • 지역과문화
    • /
    • 제6권2호
    • /
    • pp.49-76
    • /
    • 2019
  • 본 논문의 목적은 지역공동체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역의 유·무형의 유산과 유적을 보존하는 에코뮤지엄의 역할을 재정리하고,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및 해외의 지역공동체를 중심으로 발전된 에코뮤지엄 사례를 통해 지역공동체 형성의 중요성과 구체적인 에코뮤지엄 활동을 조사하였다. 현재 전문가나 행정가 관점의 전통적인 박물관과 달리 주민과 지역의 관점을 가진 에코뮤지엄이 성공적으로 지역에 정착되는 사례들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 지역공동체를 중심으로 하는 국내외 에코 뮤지엄 프로그램 사례와 지역 사회 문제들을 문화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방법을 찾는 연구가 적었다. 그렇기 때문에 본 논문이 제시한 에코뮤지엄의 프로그램은 국내 현실에 맞는 에코뮤지엄의 구체적인 발전 방안에 도움이 될 수 있어 연구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에코뮤지엄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3가지 요소는 첫째, 지역의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에코뮤지엄 설립, 둘째, 지역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셋째, 에코뮤지엄 운영 및 홍보에 도움을 주는 에코뮤지엄 네트워크 구축이다.

조반(趙胖) 부인의 복식과 직물 문양 고증 및 3D 재현 연구 (Historical Study and 3D Visualization of Mrs. Jo Ban's Clothing and Textile Patterns)

  • 강서영;이연규;김정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93-210
    • /
    • 2024
  • The portrait featuring Jo Ban(1341-1401), a scholar-official from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and his wife is the oldest surviving couple portrait in Korea. It is of great value in uncovering the clothing culture of the period given the limited number of historical artifacts and records.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clothing and textile patterns of Jo Ban's wife and reproduces them using 3D fashion design software program CLO. She wears jokduri, chima, and baeja over layers of jeogori, a mixture of traditional Korean and Chinese styles. Her clothing illustrates eight patterns-one flower, five geometric, and two cloud. Records and relics of similar periods show that flower and geometric patterns in her clothing follow the prevailing styles of Goryeo, while the cloud patterns are representative of early Joseon. These details are used to reproduce six different styles of Jo Ban's wife with CLO tools. Various visualizations of textile patterns are applied to materials, generating a more realistic look than her existing 3D character created with the portrait.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promote the use of Goryeo clothing and patterns in numerous designs and enhance intuitive understanding of Goryeo clothing based on 3D visualization.

북한의 신라 고고학 연구 현황과 특징 (A Review of Archaeological Research on Silla in North Korea)

  • 윤상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2호
    • /
    • pp.270-285
    • /
    • 2020
  • 본고는 북한에서 이루어진 신라(통일신라) 고고학 연구 현황을 정리하고 그 특징 검토를 목적으로 하였다. 주요 자료가 남한에 있어 그동안 우리 학계는 북한의 신라 고고학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다. 이에 향후 북한 자료를 다루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북한 학계의 연구를 검토하였다. 연구 현황은 우리가 주로 다루는 고고학 주제에 맞춰 무덤, 성곽, 왕경, 토기, 와전, 장신구, 무구, 마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구 특징을 네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 번째는 주체사상이 북한 학계의 삼국통일 해석에 큰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1955년에 처음 제기된 '주체'는 사대주의의 반대 개념으로 중소 분쟁의 틈바구니에서 주창되었다. 이에 따라 신라의 삼국통일을 외세와 결탁한 사건으로 보고 더 이상 인정하지 않게 되었는데, 이러한 변화는 1962년 자료부터 확인된다. 두 번째, 반사대주의의 영향으로 삼국문화의 '고유성'과 '단일성'을 증명하려 하였다. 한반도의 문화가 중국과는 다른 고유성을 가지며, 삼국의 문화는 상호간에 공통점이 많다는 것이다. 세 번째, '단일성'의 원천은 고구려의 '우수한' 선진 문화이며, 백제와 신라, 가야에 전파되어 '민족 문화의 단일성'이 형성되었음을 증명하려는 것이다. 고구려의 선진 문물이 발해와 '후기신라(통일신라)'에까지 전해지고 다시 고려로 이어져 민족 문화의 진정한 통일이 일어났다고 설명한다. 네 번째는 남한 학계에 비해 신라의 무덤이나 유물의 연대를 상당히 올려 보는 점이다. '조선의 유구한 역사'를 강조하는 입장에서 신라의 건국을 1세기 초·중엽으로 설정했기 때문에 국가 형성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증거의 연대를 올려 볼 수밖에 없다. 또한 고구려 석실분이 신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설명하기 위해서도 신라 석실분 연대의 상향이 필수적이다. 1960년대에 형성된 연구 특징은 지금까지도 북한 학계가 반드시 준수해야 할 기본 지침이 되었다.

조선 중기 유의(儒醫) 이석간(李碩幹)의 가계와 의약사적 연구 - 새로 발견된 대약부(大藥賦)를 중심으로 - (Medical Achievements of Doctor-Lee, Seokgan and Interpretation of the first unveiled 「Daeyakbu」)

  • 오준호;박상영;안상우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7-96
    • /
    • 2013
  • This study confirmed that a doctor named Lee, Seok-gan whose name has been widely known but whose real identity has remained unclear, was an active Confucian doctor in the 16th century. In addition, through the newly discovered "Daeyakbu" among his family line, writings, and relics that have been handed down in a family, this study looked into his medical philosophy and medicine culture. The author of "Ieseokgangyeongheombang"(Medical Book by Lee, Seok-gan(李石澗), Seok-gan is the same person as an active famous doctor Lee, Seok-gan(李碩幹, 1509-1574) in the 16th century. Such a fact can be confirmed through "Samuiilheombang", "Sauigyeongheombang" and the newly opened "Ieseokgangyeongheombang". Lee, Seok-gan was born in the 4th ruling year of king Jungjong (1509) and was active as a doctor until the 7th ruling year of king Seonjo(1547); his first name is Jungim with the pen name-Chodang, and he used a doctor name of 'Seokgan.' He was known as a divine doctor, and there have been left lots of anecdotes in relation with Lee, Seok-gan. Legend has it that Seokgan went to China to give treatment to the empress, and a heavenly peach pattern drinking cup and a house, which the emperor bestowed on Seokgan in return for his great services, still have remained up to the present. Usually, Seokgan interacted with Toegye Lee Hwang and his literary persons, and with his excellent medical skills, Seokgan once gave treatment to Toegye at the time of his death free of charge. His medical skills have been handed down in his family, and his descendant Lee, Ui-tae(around 1700) compiled a medical book titled "Gyeongheombangwhipyeon(經驗方彙編)". Out of Lee, Seok-gan's keepsakes which were donated to Sosu museums by his descendant family, 4 sorts of 'Gwabu'(writings of fruit trees) including "Daeyakbu" were discovered. It's rare to find a literary work left by a medical figure like this, so these discoveries have a deep meaning even from a medicine culture level. Particularly, "Daeyakbu" includes the typical "Uigukron". The "Uigukron", which develops its story by contrasting politics with medicine, has a unique writing style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explanatory methods of scholars' posi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distinctive feature of "Uigukron" is that it was created in the form of 'Gabu' other than a prose.

대영도서관 소장 「무이산구곡계전도(武夷山九曲溪全圖)」로 본 중국 무이구곡의 문화경관상 (The Cultural Landscapes of Wuyi-Gugok of China as seen from the 「Landscape of the Jiuqu River in the Wuyi Mountain」 in British Library)

  • 정조하;노재현;강정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1-31
    • /
    • 2019
  • 대영도서관 소장의 청나라 중기에 제작된 「무이산구곡계전도」을 대상으로 그림에 명기된 경물의 명칭을 분석하는 한편 산세, 포구(浦口)와 선박, 건축요소, 토목요소, 인물, 석각 등으로 경물명을 유형화한 후 곡별 문화경관적 속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이산구곡계전도」에 등장하는 건축요소는 총 28 건으로 정자(亭)가 7개소(25%), 사묘[廟]가 4개소(14.3%), 서원과 관(觀)이 각각 3개소(10.7%), 도원(道院)과 마을(村)이 각각 2개소(7.1%)로 집계되었으며, 토목요소는 총 29건으로 동(洞)이 9개소(31%), 고적(古跡)이 6개소(20.7%), 대(臺)가 3개소(10.3%), 도(渡)·교(橋)·지(池)가 각각 2개소(6.9%), 원(園)·문(門)·갱(坑)·정(井)·유지(遺址)가 각각 1개소(3.4%)로 나타났다. 이들 형체요소와 토목요소는 18C 중반 무이산 구곡계의 문화경관적 속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유적이다. 각 곡별 형체요소는 1곡이 12개소(21.1%), 5곡이 11개소(19.3%), 4곡이 9개소(15.8%), 9곡이 8개소(14%), 3곡이 7개소(12.3%), 6곡이 4개소(7%), 2곡이 3개소(5.3%), 7곡이 2개소(3.5%) 그리고 8곡이 각각 1개소(1.8%)로 정리되어 1곡과 5곡 그리고 4곡이 갖는 문화경관적 특성이 한층 부각되었다. 한편 『무이산지』의 명소 유형에 대한 묘사에 따르면, 「무이산구곡계전도」에 표현된 경물의 묘사는 총 38개 유형으로 집계되었는데, 이중 암(岩)·봉(峰)·석(石) 등 3개 경물이 차지하는 경관적 비중이 압도적이었다. 이는 무이구곡의 벽수단산의 경색을 보이는 단하지모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무이산구곡계전도」에 표현되었거나 내포된 무이산의 문화적 함의를 분석 및 해석한 결과, 무이산 구곡계에는 이학문화, 도교문화, 불교문화, 차문화, 기타문화 등 5개 문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무이산구곡계전도」에 표시된 총 171곳의 경물 명중에는 현장 바위글씨[石刻]와 일치되거나 동일한 의미를 보이는 석각은 찬경제각(贊景題刻) 3방, 철리제각(哲理題刻) 3방, 길어제각(吉語題刻) 1방 등 총 7개소로 나타났으며 이는 그림과 석각 간의 상호텍스트성을 보이는 중요한 근거로 보인다.

경주 지역 지석묘 문화의 특징과 종말기의 양상 (The Characteristics of Dolmen Culture and Related Patterns during the End Phase in the Gyeongju Region)

  • 이수홍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4호
    • /
    • pp.216-233
    • /
    • 2020
  • 경주 지역 청동기시대 무덤 문화를 검토하고 지석묘의 종말기 양상을 살펴보았다. 청동기시대 무덤 유적 18곳, 초기 철기시대 이른 시기 즉 종말기의 무덤 유적 9곳을 분석하였다. 경주는 검단리 문화 분포권에 포함된다. 현재까지 경주 지역에서 청동기시대 무덤은 약 120기 조사되었다. 주거지의 수에 비해 무덤의 수가 부족한 편인데, 검단리 문화권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무덤의 수는 부족해도 매장주제부의 구조는 다양하다. 경주 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의 특징은 토광묘와 묘역식지석묘·적석제단이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이 축조된다는 점이다. 토광묘는 동산리유적 부장품인 방추차를 통해서 볼 때 북한 동북 지역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묘역식지석묘와 적석제단은 송국리 문화권에 주로 분포하는데, 특이하게도 검단리 문화권인 경주 지역에서 많이 확인된다. 초기철기시대가 되어도 청동기시대의 영향이 이어진 묘역식지석묘와 적석제단이 계속 축조된다. 새롭게 이주한 점토대토기 문화인들은 목관묘를 축조하였다. 초기철기시대가 되면 새로운 고소의례가 등장하는데 국읍(國邑)에서 주재하는 천신제사(天神祭祀)의 장소일 가능성이 있다. 화천리 산251-1유적과 죽동리유적은 고소의례의 양상을 잘 보여주는 유적이다. 이러한 고소의례에도 묘역식 지석묘와 동일한 형태의 적석제단이 축조되고 지석묘의 상석과 유사한 바윗돌이 이용되었다. 초기철기시대에도 청동기 시대 전통을 유지한 묘역식지석묘와 적석제단이 계속 축조, 이용되는 것은 새로운 시대가 되었어도 지석묘가 가진 권위가 계속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청동기시대로 알려진 묘역식지석묘나 적석제단 일부에서는 초기철기시대까지 의례 행위가 지속되었을 것이다. 기원전 2세기 후반이 되면 목관묘가 군집하기 시작한다. 철기 문화가 확산하고, 중국 중원의 유물이 유입되는 등 경주 지역을 비롯한 남부 지역이 동아시아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시점이다. 이때 지석묘 문화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