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aracteristics of Dolmen Culture and Related Patterns during the End Phase in the Gyeongju Region

경주 지역 지석묘 문화의 특징과 종말기의 양상

  • Lee, Soohong (Ulsan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20.09.15
  • Accepted : 2020.10.28
  • Published : 2020.12.30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tomb culture in the Gyeongju region during the Bronze Age, and also examine the patterns of dolmens during their end phase.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analyzed 18 tomb relics from the Bronze Age and nine from the early Iron Age. Gyeongju belongs to the Geomdan-ri cultural zone. Approximately 120 tombs from the Bronze Age have been excavated in the Gyeongju region. There are fewer tombs than dwellings in the region, which is a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Geomdan-ri cultural zone. Although the number of tombs is small,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dead body is varied. During the Bronze Age, tombs in the Gyeongju region were characterized by more prolific construction of pit tombs, dolmens with boundaries, and stacked stone altars than were the cases in other areas.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the pit tombs in the Gyeongju region were influenced by their counterparts in the northeastern parts of North Korea, given the spindle whorl artifacts buried at the Dongsan-ri sites. Dolmens with boundaries and stacked stone altars are usually distributed in the Songguk-ri cultural zone, and it is peculiar that instances of these are found in large numbers in the Gyeongju region as part of the Geomdanri cultural zone. Even in the early Iron Age, the building of dolmens with boundaries and stacked stone altars continued in the Gyeongju reg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Bronze Age. A new group of people moved into the area, and they crafted ring-rimmed pottery and built wooden coffin tombs. In the early Iron Age, new rituals performed in high places also appeared, and were likely to provide venues for memorial services for heavenly gods in town-center areas. The Hwacheon-ri Mt. 251-1 relic and the Jukdong-ri relic are ruins that exhibit the aspect of rituals performed in high places well. In these rituals performed in high places, a stacked stone altar was built with the same form as the dolmens with boundaries, and a similar rock to the cover stone of a dolmen was used. People continued to build and use dolmens with boundaries and stacked stone altars while sustaining the Bronze Age traditions, even into the early Iron Age, because the authority of dolmens was maintained. Some dolmens with boundaries and stacked stone altars, known as being Bronze Age in origin, would have continued to be used in ritual practices until the early Iron Age. Entering the latter half of the second century B.C., wooden coffin tombs began to propagate. This was the time when the southern provinces, including the Gyeongju region, were included in the East Asian network, with the spread of ironware culture and the arrival of artifacts from central China. Around this time, dolmen culture faded into history with a new era beginning in its place.

경주 지역 청동기시대 무덤 문화를 검토하고 지석묘의 종말기 양상을 살펴보았다. 청동기시대 무덤 유적 18곳, 초기 철기시대 이른 시기 즉 종말기의 무덤 유적 9곳을 분석하였다. 경주는 검단리 문화 분포권에 포함된다. 현재까지 경주 지역에서 청동기시대 무덤은 약 120기 조사되었다. 주거지의 수에 비해 무덤의 수가 부족한 편인데, 검단리 문화권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무덤의 수는 부족해도 매장주제부의 구조는 다양하다. 경주 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의 특징은 토광묘와 묘역식지석묘·적석제단이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이 축조된다는 점이다. 토광묘는 동산리유적 부장품인 방추차를 통해서 볼 때 북한 동북 지역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묘역식지석묘와 적석제단은 송국리 문화권에 주로 분포하는데, 특이하게도 검단리 문화권인 경주 지역에서 많이 확인된다. 초기철기시대가 되어도 청동기시대의 영향이 이어진 묘역식지석묘와 적석제단이 계속 축조된다. 새롭게 이주한 점토대토기 문화인들은 목관묘를 축조하였다. 초기철기시대가 되면 새로운 고소의례가 등장하는데 국읍(國邑)에서 주재하는 천신제사(天神祭祀)의 장소일 가능성이 있다. 화천리 산251-1유적과 죽동리유적은 고소의례의 양상을 잘 보여주는 유적이다. 이러한 고소의례에도 묘역식 지석묘와 동일한 형태의 적석제단이 축조되고 지석묘의 상석과 유사한 바윗돌이 이용되었다. 초기철기시대에도 청동기 시대 전통을 유지한 묘역식지석묘와 적석제단이 계속 축조, 이용되는 것은 새로운 시대가 되었어도 지석묘가 가진 권위가 계속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청동기시대로 알려진 묘역식지석묘나 적석제단 일부에서는 초기철기시대까지 의례 행위가 지속되었을 것이다. 기원전 2세기 후반이 되면 목관묘가 군집하기 시작한다. 철기 문화가 확산하고, 중국 중원의 유물이 유입되는 등 경주 지역을 비롯한 남부 지역이 동아시아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시점이다. 이때 지석묘 문화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權五榮, 1996, 三韓의 國에 대한 硏究, 서울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p.37
  2. 김권구, 2012, 청동기시대-초기철기시대 고지성 환구(高地性 環溝)에 관한 고찰, 韓國上古史學報76, 韓國上古史學會, pp.65-72
  3. 김병섭, 2009, 密陽地域 墓域式 支石墓에 대한 -考察, 慶南硏究創刊號,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pp.41-46
  4. 김승옥, 2006, 墓域式(龍潭式)支石墓의 展開過程과 性格, 韓國上古史學報53, 韓國上古史學會, p.72
  5. 김용성, 2016, 영남지방 목관묘와 사로국, 韓國古代史硏究82, 한국고대사학회, pp.8-39
  6. 金賢, 2006, 慶南地域 靑銅器時代 무덤의 展開樣相에 대한 考察, 嶺南考古學39, 嶺南考古學會, p.33
  7. 金賢植, 2009, V. 考察, 蔚山中山洞藥水遺蹟 II, 蔚山文化財硏究院, p.201
  8. 나혜림, 2017, 보령 명천동 유적을 중심으로 본 소도(蘇塗)와 의례공간, 백제학보22, 백제학회, p.40
  9. 노혁진, 1986, 적석부가지석묘의 형식과 분포-북한강유역의 예를 중심으로, 한림대학논문집제4집 인문.사회과학편, 한림대학교, pp.109-152
  10. 문창로, 2017, 문헌자료를 통해 본 삼한의 소도와 제의, 百濟學報22, 百濟學會, pp.5-32
  11. 박영구, 2017, 경주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의 변천, 영남문화재연구30, 영남문화재연구원, pp.87-92
  12. 朴程郁, 2012, 慶州地域 木棺墓 展開와 轉換期 樣相 硏究, 釜山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pp.56-70
  13. 裵眞晟, 2011, 墳墓 築造 社會의 開始, 韓國考古學報80, 韓國考古學會, p.18.
  14. 손준호, 2007, 마제석촉의 변천과 형식별 기능 검토, 한국고고학보62, 한국고고학회, pp.93-101
  15. 송효진, 2018,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석촉의 시.공간성 연구, 韓國靑銅器學報23, 韓國靑銅器學會, pp.71-73
  16. 申英愛, 2011, 嶺南地方 粘土帶土器 段階 文化接變, 慶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pp.62-69
  17. 安在晧, 2006, 靑銅器時代 聚落硏究, 釜山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pp.8-53
  18. 安在晧, 2013, 韓半島 東南海岸圈 靑銅器時代의 家屋葬, 韓日聚落硏究, 韓日聚落硏究會, 서경문화사, pp.191-213
  19. 안재호, 2020, 경주의 청동기시대 문화와 사회, 경주의 청동기시대 사람과 문화, 삶과 죽음,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한국청동기학회, p.18
  20. 우명하 2016, 영남지역 묘역지석묘 축조사회의 전개, 嶺南考古學75, 嶺南考古學會, pp.6, 14-25
  21. 兪炳琭, 2010, 竪穴建物 廢棄行爲 硏究1-家屋葬-, 釜山大學校 考古學科 創設20周年 記念論文集, 釜山大學校 考古學科, pp.195-210
  22. 윤형규, 2019, 대구.경북 청동기시대 무덤의 전개를 통해 본 지역사회의 변화, 한국청동기학보24. 한국청동기학회, pp.31-36
  23. 윤형규, 2020, 검단리문화권 내 묘역지석묘의 형성과정에 대한 검토, 경주의 청동기시대 사람과 문화, 삶과 죽음,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한국청동기학회, p.89
  24. 윤호필, 2013, 축조와 의례로 본 지석묘사회 연구, 목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2-15
  25. 李相吉, 1996, 청동기시대 무덤에 대한 일시각, 碩晤尹容鎭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碩晤尹容鎭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刊行委員會, p.91.
  26. 李相吉, 2003, 慶南의 支石墓, 지석묘 조사의 새로운 성과. 제30회 한국상고사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요지. 한국상고사학회, pp.118-121
  27. 李盛周, 2012, 儀禮, 記念物, 그리고 個人墓의 발전, 湖西考古學26. 湖西考古學會, pp.92-96
  28. 이성주, 2017, 弁辰韓 '國'의 形成과 變動, 영남고고학79, 영남고고학회, pp.46-52
  29. 이수홍, 2010, 울산지역 청동기시대 주구형 유구에 대하여, 釜山大學校 考古學科 創設20周年 記念論文集, 釜山大學校 考古學科, pp.259-276
  30. 李秀鴻, 2012, 靑銅器時代 檢丹里類型의 考古學的 硏究, 釜山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pp.98-100
  31. 이수홍, 2019, 울산지역 청동기시대 종말기의 지역상, 韓國靑銅器學報24, 韓國靑銅器學會, p.55
  32. 이수홍, 2020a, 영남지방 수장묘의 등장과 변화상, 영남고고학85, 영남고고학회, pp.25-28
  33. 이수홍, 2020b, 영남지역 지석묘문화의 변화와 사회상, 가야 선주민의 무덤 영남의 지석묘 사회, 2020년 국립김해박물관 가야학술제전 자료집, 국립김해박물관, pp.38-50
  34. 李在賢, 2002, IV. 고찰, 金海大淸遺蹟, 釜山大學校博物館, p.131
  35. 李在賢, 2003, 弁.辰韓社會의 考古學的 硏究, 釜山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36. 이주헌, 2009, 경주지역 목관.목곽묘의 전개와 사로국, 문화재42, 국립문화재연구소, p.119
  37. 이청규, 2015, 청동기-원삼국시대 사회적 변천, 금호강유역 초기사회의 형성,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p.330
  38. 李熙濬, 2011, 한반도 남부 청동기-원삼국시대 수장의 권력 기반과 그 변천, 嶺南考古學58, 嶺南考古學會
  39. 정인성, 2002, 支石墓文化에서 細形銅劍文化로의 移行-낙동강유역권을 중심으로-, 전환기의 고고학 I, 학연문화사, pp.194-196
  40. 조미애, 2015, V. 고찰, 경주 전촌리 유적,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p.73
  41. 채상훈, 2015, 영남 동부지역 삼한시대 목관묘의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문물5, 한국문물연구원, pp.11-15
  42. 하문식, 1990, 한국 청동기시대 묘제에 관한 한 연구-고인돌과 돌깐무덤을 중심으로, 박물관기요6, 단국대중앙박물관, pp.2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