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paradigm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3초

아파트 TV광고의 사회문화적 의미: KCC스위첸을 중심으로 (Socio-cultural meaning of Apartment TV advertisement: Focusing on KCC Switzen)

  • 심정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9호
    • /
    • pp.1285-1298
    • /
    • 2021
  • Among the diverse apartment brand TV Ads, KCC Switzen uses a unique advertising strategy. Unlike their competitors, KCC Switzen uses a strategy without fancy rhetoric such as luxury, premium or high-tech to enhance the value of their housing. In order to define the value of contemporary housing this paper analyses the socio-cultural messaging of KCC Switzen's television advertisements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Floch's Semiotic Square of Consumption Values method.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KCC Switzen's advertisements are shown to contain both intrinsic values of housing and cultural humanism by asking ablout the daily lives of real famili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neighbors. This directly contrasts with the standard advertisements that focus on the investment value of residential housing. The unique KCC Switzen advertising strategies are expected to change the paradigm of residential housing.

문화원형콘텐츠의 SNG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ndustrial Application of Cultural Archetype Contents on SNG)

  • 이현우;김성남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09-412
    • /
    • 2012
  • 본 고는 문화원형콘텐츠의 효과적인 SNG(Social Network Game) 활용방안에 관한 산업적 분석이며, 전통문화원형과 문화콘텐츠의 구분과 문화원형 디지털화 사업의 현황으로 시작된다. 인터렉션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문화적 파급력이 넓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대중들에게 상호교감할 수 있는 창작소재의 원형이 중요시 되고 있다. 대중들이 문화원형 콘텐츠를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는 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문화원형 소재의 SNG 시범사업을 제안하고 다양한 전통문화디지털콘텐츠의 대안으로 모색되어 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한국현대디자인의 문화정체성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modern design)

  • 김종균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353-36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왜곡된 시대사와 더불어 현대의 한국디자인이 전통과 단절되고 변이되어가는 과정을 실증적 사료를 통하여 그 원인을 살펴보고(2, 3장), 이후 현대에까지 이어지고 있는 문화정체성 찾기의 노력의 디자인계의 노력을 살펴 그 경과와 문제점을 지적하고(4장), 문화주체적 한국디자인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논의의 새로운 출발점을 세우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5장). 이미 구시대적 패러다임이 되어버린 산업사회의 디자인관에서 비롯된 많은 부조리와, 근현대 정치권의 정책적 유도로 왜곡된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를 다시 생각해보고, 디자인계에 필요한 새로운 이정표를 세움으로서, 차후 지속될 ‘한국적 디자인’ 논의의 방향전환을 꾀하고 정보지식사회에 ‘한국디자인’에 필요한 문화담론의 생산과 요구되어지는 노력, 이를 위해 강구되어야 할 현실적인 방안을 검토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현대의 사회.문화적 패러다임 변화와 연관된 공공디자인의 신경향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ding Trends in Contemporary Public Design Analyzed in the Context of Main Social & Cultural Paradigms)

  • 이정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76-86
    • /
    • 2012
  • 21st century has different characters from 20th century which was an era of machine and rationality based on the industrial revolution.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revolution, it became an era of pluralism, culture, and emotion. The digital technology made it possible to connect the whole world together in real time and brought about the entirely new notion of time and space. It also dramatically altered the world view. Now we have a different set of social and cultural values from the past. This paper researched the influences of thes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on public designs. The leading trends of public designs were analyzed and the successful cases were studied. The main research methodologies were the document review and the instrumental case study. The major social & cultural paradigms of a present era were classified as 'pluralism', 'digital & information revolution', 'human-centered value (against machine-centered value of 20th century)', and 'organic world view'. Each of the classified paradigms was analyzed more to find out the influences on the various trends of public designs. 'Pluralism' has influence on 'experiential public design', 'community art', and 'public design of local values'. 'Digital & information revolution' has influence on 'content-centered public design', 'smart public design', 'immaterial public design', and 'performance in public design'. 'Human-centered value' has influence on 'universal design approach in public design', and 'emotional public design'. 'Organic world view' has influence on 'sustainable public design', and 'ecological public design'.

  • PDF

20세기 스페이스 에이지 패션과 테크노-사이버 패션의 패러다임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adigmatic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ge Fashion and Techno-Cyber Fashion in 20th Century)

  • 문신애;김문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7권6호
    • /
    • pp.170-18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futurism as original design pursuing newness in approaching 21C by studying how futurism having a great effect on fashion as innovatory ideology in early 20C did became paradigm in 20C fashion and the common peculiarity of the dress and its ornaments in this time before 21C. The Space Age Fashion and Techno-Cyber Fashion are representative futurism fashion of 20C. The common inner inclination in both Space Age Fashion and Techno-Cyber fashion are ; First, a future-oriented character. Second, a surrealism character, Third, an anti-cultural character. The greatest peculiarity in the common outer shape in both Space Age Fashion and Techno-Cyber Fashion is material. First, a innovatory choice. Second, an active motion. Third, a diverse effects. Future dress and its ornaments of 21C may be changed greatly by the development of technique, and this fact supports the forecast that the change of paradigm resulted from the development of science may have an effect on future dress and its ornaments as well as modern one. The paradigm change of futurism fashion would be continued, and its influence would work as main source shaping the form of design in 21C.

  • PDF

컨버전스 트렌드에 의한 패션 디자인 (Convergence in Fashion Design)

  • 고현진
    • 복식
    • /
    • 제56권7호
    • /
    • pp.148-16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convergence which is one of the trendy issues as a new digital paradigm of Integrative thinking in 21st century, to analyze the plastic feature and internal meaning of convergence expressed in fashion design, and to grasp the cultural symbolism through this aesthetic analysis. Because there have been considerable discussions on convergence, centering on industrial product area associated with media, I will proceed my study on the basis of them. For this, the documentary study and practical case study have been executed.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find a direction of future fashion design trend. Convergence in digital stage can be defined as a phenomenon which different functions of product move towards one direction for greater efficiency, and not only as a technical integration between functions of product, but also an extension of area. Convergence can be classified by their use as (1) convergence for convenient daily life (2) convergence with intelligent scientific technology (3) convergence for entertainment on the basis of sensual experience. The plasticity of convergence designs feature as a open dynamic structure which potentiate transformation and their internal meaning can be inquired such qualities as integrative multiplicity, efficiency, mobility, intelligence. Specially convergence fashion design has protection qualify resulting from wearability on body. Ultimately convergence fashion design as a future digital paradigm can be thought as both eco-friendly design and human-centered design from positive technology-based viewpoint, because it is easy to transform according to our environment, convenient to reserve, and efficient to enhance spatial usibility.

교양비디오의 시간지원 비디오 모델링 (Temporal Video Modeling of Cultural Video)

  • 강오형;이지현;고성현;김정은;오재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4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39-442
    • /
    • 2004
  • 기존의 비디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들은 대부분 간단한 간격을 기반으로 한 관계와 연산을 지원하는 모델을 이용하였다. 비디오 모델에서 시간을 지원하고 객체와 시간의 다양한 연산을 제공하며 효율적인 검색과 브라우징을 지원하는 비디오 데이터 모델이 필요하게 되었다. 비디오 모델은 객체 지향 개념을 기반으로 한 모델로서 비디오의 논리적인 스키마, 객체의 속성과 연산 관계, 그리고 상속과 주석을 이용한 메타데이터 설계를 통하여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전체적인 모델 구조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점 시간과 시간 간격을 정의하여 시간의 개념을 객체 지향 기반 모델에 부여함으로서 시간 변화에 따른 비디오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프로이트 비판 논쟁과 패러다임의 변화 (Dispute on Freudian Legacy and a Paradigm Shift)

  • 권택영
    • 영어영문학
    • /
    • 제56권1호
    • /
    • pp.157-178
    • /
    • 2010
  • A critique on Freud's remembering taken place in the 80's and 90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 paradigm shift: from the discursive constructivism to the neo-empiricism. Along with Marx and Nietzsche, Freud was one of the main intellectual sources in formulating the Cultural Studies, known as the political corrections in the later period of Post-modern era. In the wake of feminism, there was a social happening, namely, a memory restoration, when a woman therapist helped a woman patient to restore the past and come up with her father as the cause of her trauma. Finally, 'the false memory syndrome' brought up a hot issue firing on the controversy about Freudian remembering. Freud as a clinical therapist began to be a sole target to be criticized. Strangely enough, however, Freud was continually utilized by such theorists as Julia Kristeva, Homi Bhabah, and Žižek, while having dissenters like Deleuze, Quattari, and Butler. Of those intellectual claims, this paper focuses on the debates by the dissenters not from the discursive theorists but from the clinical studies: Sulloway, Grunbaum, and Crews. My argument directs to the empirical side of Freud for the conclusion that the dispute on him was a seed of a paradigm shift towards the neo-empiricism, after one century's flourishing of constructivism.

글로벌미디어 환경과 글로컬리즘 콘텐츠 : 방송의 문화적 다원성과 다양성 확보방안 (Global Media Environments and Glocalism Contents as Alternatives for Cultural Diversity)

  • 김응숙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480-490
    • /
    • 2007
  • 정치, 경제적인 환경의 변화는 새로운 문화 개념과 문화 정책의 패러다임 변화를 동시에 요구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기술의 진보에 따른 디지털 다채널의 환경에서, 문화산업으로서의 방송은 그 내용 뿐 아니라 그것이 창조되고 생산되는 기반의 조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최근의 한미 FTA 협정 체결에 따른 방송시장 개방은 우리나라 방송영상산업에 있어서 외국자본의 유입에 대한 평가와 함께 문화적 다원성과 문화 정체성 유지에 대한 고민을 동시에 던져주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글로벌 미디어 환경이라고 하는 새로운 매체 환경에 직면해, 프로그램의 내용에서 문화적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세부적인 연구 내용은 문화의 혼종화를 이루어내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국제공동제작 실태 점검과 지역적 대안 제시, 그리고 최근에 활기를 띄고 있는 프로그램 포맷 산업의 현황 파악과 가능성을 진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글로벌 다채널 환경의 도래와 더불어 세계적으로 프로그램 거래가 활성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문화 정체성과 보편성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국제공동제작과 포맷 산업은 각국의 문화적 장벽을 극복하고, 콘텐츠의 다원적 이용과 이윤의 다각화를 실현할 수 있는 대안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무형문화유산 전승지원 정책 패러다임의 융합적 변화에 관한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nvergent Change Revitalization of Paradigm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ransmission Support Policy)

  • 전칠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441-447
    • /
    • 2018
  • 그 동안 우리나라는 무형의 문화적 유산 중에서 학술적, 예술적, 기술적으로 가치가 뛰어난 것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지원해 왔다. 각종 전시회와 공연 활동 사업을 지원하고, 무형문화재 공개행사를 지원하여 왔다. 최근에는 전승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보다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전수활동의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이수심사 제도를 국가가 주도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공예품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공예품은행제도를 도입하였다. 또한 공예품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하여 공예품인증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전승활동의 다양성을 위하여 전수교육학교 제도를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전승활동의 융합화를 위하여 무형문화재대전 행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무형문화유산의 세계화를 지향하며 세계유산포럼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무형문화유산의 다양한 정책들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고찰하고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