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education

검색결과 2,255건 처리시간 0.031초

간호대학생의 공감 능력과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 (Th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ompetency and Empathy of Nursing Students)

  • 양선이;임효남;이주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83-193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an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in Korean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76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tructed to include an Interpersonal Reaction Index, the Caffrey Cultural Competence in Healthcare scale, and 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Results: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y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hown to have moderate levels (Empathy: M=3.5, SD=0.41; Cultural competency: M=2.7, SD=0.42). And the nursing students who exhibited more frequent interaction with foreigners and willing to have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y(r=.189, p<.001).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nursing students need to enhance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과학문화콘텐츠 구성을 기반으로 한 융합형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안 (The Development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reation of Scientific and Cultural Content)

  • 조남민;김소륜;손달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506-518
    • /
    • 2015
  • 최근 우리 사회 전반에서 융복합의 개념이 새로운 가치 창출의 가능성으로 주목받게 되면서, 지식 통합에 대한 요구도 점차 확장되고 있다. 지식과 학문 분야에서 시대적 요구가 변화함에 따라 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은 물론, 새로운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의 패러다임도 바뀌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공계 대학에서는 전공 지식의 습득을 넘어, 종합적 사고력과 협동 학습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학제 간 융복합 교육'이 확대 실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전공 지식과 현장 실무 능력을 강조함으로써 취업률을 높이는 것만이 아니라, 학생들에게 발견적 창의적 융합적 사고의 바탕이 되는 인문학적 교양과 세계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현재 전공 및 교양 교육 차원에서 개설된 융합 교과목의 대부분은 타 학문 분야의 지식이나 이론을 소재나 화제로 활용함으로써, 단편적인 지식 습득 차원에 머무르는 경향이 강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과학기술 분야와 인문학 분야의 지식을 균형적으로 통합하여 종합적으로 사고함으로써, 지식 습득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지식을 응용 재창조 할 수 있는 '융합형 교육 프로그램'을 구안(具案)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문화콘텐츠의 창조를 전제했을 때 유용한 '과학기술'과 '문화 원형'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습득된 지식을 가치 있는 결과물로 도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스토리텔링' 학습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과학 기술과 인문 분야를 융합할 수 있는 매개인 '과학문화콘텐츠'를 구성하기 위한 교육을 제공받게 된다. 이로써 전공 지식에 대한 탐구와 응용을 시도하는 가운데, 논리적 창의적 사고를 진작하게 될 것이다. 더불어 그간 과학과 인문학이라는 두 영역을 대상으로 한 '다학제적 교육'이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문화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중학교 역사교육과정기준 개발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History Curriculum Standards for Revitalization of Cultural Property Education)

  • 안대현;홍후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3호
    • /
    • pp.150-167
    • /
    • 2021
  • 3차 교육과정 이후 중학교 역사교육은 정치사 중심으로 실시되어왔으나 많은 학생들은 역사 과목을 단순 암기 과목으로 인식하며 추상적인 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점이 역사교육과정기준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중학교 역사교육과정기준에서 문화재 교육 활성화를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창의적 인재 양성과 학생 참여형 역사 수업 구현 등 문화재 교육의 유용성을 밝히고 현행 정치사 중심의 중학교 역사교육과정기준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후 중학교 3학년 학생들과 사회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역사교육 및 문화재 교육에 관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학생들은 현행 정치사 중심의 역사를 학습량이 많다고 생각하며 교사들도 이에 대해 동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든 집단에서 역사교육에서 문화재 교육의 필요성을 공감하였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정치사 중심의 역사교육과정에서 문화재 교육을 충분히 하기가 쉽지 않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은 문화재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정치사를 중심으로 구성된 현행 역사교육과정기준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2015 개정 역사교육과정기준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성격' 부분에서는 문화재 관련 내용을 추가할 것과 역사 자료에 문화재를 포함할 것, '목표' 부분에서는 정치·경제·사회·문화를 포함할 것과 문화재 학습을 통해 우리 민족의 전통과 문화를 계승·보존·발전시켜 나간다는 것을 추가 기술할 것,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 부분에서는 소주제에 문화재 관련 내용을 추가할 것과 성취 기준에 문화재 관련 내용을 좀 더 보강할 것, '교수·학습 및 평가' 부분에서는 사료 학습에 문화재 학습을 포함할 것과 문화재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안내를 추가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이 현재 개발 중인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다면 문화재 교육이 강화되어 보다 생동감 있는 역사교육을 학생들에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유네스코 '문화 다양성' 개념의 함축과 「세계지리」 과목에서의 실천 방안 (Implications in UNESCO's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and Its Application to the 「World Geography」 Subject)

  • 전종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559-576
    • /
    • 2016
  • 21세기 초 유네스코(UNESCO)의 "세계 문화 다양성 선언"과 함께 '문화 다양성' 개념은 교육, 과학, 문화 부문에서 국제 사회의 핵심 개념이자 화두로 부상하였다. 그런데 문화 다양성 개념은 "세계 문화 다양성 선언"이 발표되기 이전부터 개인 학자와 기관에 따라 여러 용례로 유통되었기 때문에, 유네스코의 문화 다양성 개념이 지닌 함축에 대한 특별한 이해를 선행하지 않고서는 교과목 수준의 적절하고 올바른 교육적 이행을 추구할 수가 없다. "세계 문화 다양성 선언"에 제시된 문화 다양성 개념의 궁극적 지향점은 '세계 평화'와 '다양한 인류 문화의 공존'이다. 이 점에서 그것은 현 세대뿐만 아니라 다음 세대에게 무엇보다 '교육적으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더구나 국제 사회의 지리교육계가 지난 2000년 세계지리학 대회를 계기로 "문화 다양성을 위한 지리교육 국제 선언"을 내놓은 만큼, "세계지리" 과목을 사례로 문화 다양성 교육의 실천 방안을 강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네스코의 관련 문헌들을 분석하여 문화 다양성 개념이 지닌 함축을 '이념으로서의 문화 다양성', '표상으로서의 문화 다양성', '비전으로서의 문화 다양성', '인식의 미학적 전환으로서의 문화 다양성'의 네 가지 층위에서 해석한 다음,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세계지리" 과목 입장에서 문화 다양성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의 예시와 활용을 중심으로 교육적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Factors Affecting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 Park, Mi-S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113-120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evel of cultural empathy, self-esteem, and cultural competence and factors affecting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Participants were 157 nursing students who were 2nd, 3rd, and 4th grade in one university located at the Chungbuk provinces. Data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which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cultural empathy, self-esteem, and cultural competence. The mean score for cultural empathy was $3.63{\pm}.34$(scores ranged from 1 to 5), The mean score for self-esteem was $2.91{\pm}.42$(scores ranged from 1 to 4). The mean score for cultural competence was $3.31{\pm}.43$(scores ranged from 1 to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ultural competence and age(t=-2.242, p=.027), grade(F=3.473, p=.033), and fluency of foreign language(F=5.053, p=.007).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competence and cultural empathy(r=.49, p<.001), and self-esteem(r=.33, p<.001)), and self-esteem and cultural empathy(r=.33, p<.001). Cultural empathy and self-esteem explained 29.4% of cultural competence and major predictor variable for cultural competence was cultural empathy. In this paper, we propose various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curriculum and extra curriculum that can enhance cultural empathy and self-esteem to improve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Especially, continuous education of cultural knowledge among cultural competence will be done.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 입상의 보존과학적 진단 및 기원암의 산지추정 (Conservational Scientific Diagnosis ana Provenance Presumption of Source Rock for the Standing Buddha Statue in the Gwanchoksa Temple, Nonsan, Korea)

  • 이정은;박성미;정영상;곽연천;이찬희;윤석봉;문호은;오진희;이규란;최보미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5년도 제22회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 /
    • pp.207-212
    • /
    • 2005
  • PDF

교사의 보육효능감과 다문화 보육효능감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lations between a teacher's nursery efficacy and multi-cultural nursery efficacy)

  • 현정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56-6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analyzing factors related to a teacher's nursery efficacy. In order to achieve its purpose, a study includes investigation about levels of 748 teachers' interest and knowledge in a child nursery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eachers' efforts for understanding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vailability of experience with a child car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teacher's multi-cultural nursery efficacy and general nursery efficacy.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a study found out that 4 factors (interest, knowledge, efforts, and experience) are related to nursery efficacy and the fact that a teacher's general nursery efficacy is highly associated with multi-cultural nursery efficacy. For this result,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child car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upporting general nursery efficacy play a critical role in supporting teachers' competency about a child car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asurement Based on Socio-Cultural Background

  • Choi-Koh, Sang-Sook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5권2호
    • /
    • pp.99-106
    • /
    • 2001
  • We have known that ethno-mathematics is a field of a study that emphasizes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in which a person "does" mathematics as stated by D'Ambrosio(Ethno mathematics and its Place in the History and Pedagogy of Mathematics, 1985). Measurement is an important mathematical topic, which leads students to relate math to the eal-world applications, particularly with socio-cultural aspect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history of the measurement system in Korea briefly and to adapt the measurement system into real-world problems so that children acquire measurement knowledge in the most natural way.

  • PDF

교양체육 수업의 재미요인이 행복감과 사회적 체형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ultural Physical Education's Enjoyment Factor on Happiness and Social Physique anxiety)

  • 송홍락;유원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645-653
    • /
    • 2014
  • 이 연구는 교양체육 수강생의 수업에 대한 재미요인과 행복감 및 사회적 체형불안이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3년도 경인지역에 소재한 대학에서 교양체육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 380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PASW 18.0과 AMOS18.0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빈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교양체육 수강생이 인지하는 수업 재미요인은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체육 수강생이 인지하는 행복감은 사회적 체형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양체육 수강생이 인지하는 행복감은 수업 재미요인과 사회적 체형불안 사이에 완충역할을 하는 매개효과가 있었다.

실감 콘텐츠 사례 분석을 통한 무형문화유산 전수 교육 활성화 방안 (A Plan to Promot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ransmission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Immersive Content Cases)

  • 진화수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519-528
    • /
    • 2023
  • 최근에는 문화유산의 보존 및 전승을 위해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핵심 기술인 가상현실, 증강현실 및 확장 현실 등의 기술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연구와 콘텐츠 개발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무형문화유산은 형태가 보이는 유형문화유산과 달리 가변적이므로 시간과 공간에 따라 변화가 크며, 이에 따라 전승자의 고령화와 죽음으로 인한 전승 단절 위기에 처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자료, 검색포털을 통한 무형문화재 전수 교육관 및 플랫폼 사례를 중심으로 관련 실감 콘텐츠 제작 현황 및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무형문화유산 활용 콘텐츠 및 전수교육에서의 활용 사례가 매우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전승 단절 위기에 있는 무형문화유산의 효과적 전수 교육을 위한 활성화 방안에 대해 고찰해보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