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문화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중학교 역사교육과정기준 개발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History Curriculum Standards for Revitalization of Cultural Property Education

  • 투고 : 2021.06.29
  • 심사 : 2021.08.03
  • 발행 : 2021.09.30

초록

3차 교육과정 이후 중학교 역사교육은 정치사 중심으로 실시되어왔으나 많은 학생들은 역사 과목을 단순 암기 과목으로 인식하며 추상적인 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점이 역사교육과정기준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중학교 역사교육과정기준에서 문화재 교육 활성화를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창의적 인재 양성과 학생 참여형 역사 수업 구현 등 문화재 교육의 유용성을 밝히고 현행 정치사 중심의 중학교 역사교육과정기준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후 중학교 3학년 학생들과 사회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역사교육 및 문화재 교육에 관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학생들은 현행 정치사 중심의 역사를 학습량이 많다고 생각하며 교사들도 이에 대해 동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든 집단에서 역사교육에서 문화재 교육의 필요성을 공감하였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정치사 중심의 역사교육과정에서 문화재 교육을 충분히 하기가 쉽지 않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은 문화재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정치사를 중심으로 구성된 현행 역사교육과정기준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2015 개정 역사교육과정기준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성격' 부분에서는 문화재 관련 내용을 추가할 것과 역사 자료에 문화재를 포함할 것, '목표' 부분에서는 정치·경제·사회·문화를 포함할 것과 문화재 학습을 통해 우리 민족의 전통과 문화를 계승·보존·발전시켜 나간다는 것을 추가 기술할 것,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 부분에서는 소주제에 문화재 관련 내용을 추가할 것과 성취 기준에 문화재 관련 내용을 좀 더 보강할 것, '교수·학습 및 평가' 부분에서는 사료 학습에 문화재 학습을 포함할 것과 문화재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안내를 추가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이 현재 개발 중인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다면 문화재 교육이 강화되어 보다 생동감 있는 역사교육을 학생들에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advent of tertiary curriculum, middle school history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political history, but many students perceive history as a simple memorization subject and complain about difficulties in abstract learning. The researcher saw this problem as caused by the history curriculum, and carried out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proposing a revitalization of cultural property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history curriculum.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prior research, the usefulness of cultural property education, such as nurturing creative talent and realizing interactive history classes, was revealed, an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political history-centered middle school history curriculum were pointed out. Afterwards,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opinion survey on middle school 3rd grade students and social studies teachers, it was found that first, both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teachers thought that the current political history-centered history had much room for improvement. Second, all groups agreed on the necessity of cultural property education in history education. However, in reality, it was found that it was not easy to sufficiently educate students about cultural property in a political history-centered curriculum. Third, teachers thought tha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ent history curriculum in order to enhance cultural property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 suggested an improvement plan for the 2015 revised history curriculum. First, in the 'nature of the subject' section, cultural properties and historical materials should be included, and in the 'objective' section,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should be included. Contents related to cultural properties should be added to the sub-themes in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cultural properties-related contents should be further reinforc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It was suggested that this section should include cultural property learning and historical material learning, and guidance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ultural property education should be added. If these aspects are reflect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at is currently being developed, cultural property education will be improved, and more lively history education will be provided to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곽병선, 1992, 「교과의 논리와 가치에 대한 한 성찰 : 교과 학자와의 대화에서 얻는 교훈」, 「교과교육연구 1」, p.11.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별책 7].
  3. 교육과학기술부, 2010,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 고시」,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0-24호 [별책 7].
  4. 교육과학기술부, 2011,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7].
  5. 교육부, 1992,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2-11호.
  6. 교육부, 1997,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 7].
  7. 교육부, 2015,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8. 교육부, 2021, 「국민과 함께하는 미래 교육과정 논의 본격 착수 - 2020 개정 교육과정 추진 계획 발표」, 교육부 보도자료 (2021.4.20.).
  9. 교육인적자원부, 2007,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3].
  10. 김성자, 2012, 「중학교 '역사'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교육 내용 적정화' 담론의 수용과 굴절」, 「역사교육」 121호, pp.36~37.
  11. 김성자, 2014, 「역사교육과정 개정 절차와 내용 구성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176.
  12. 김정희, 2010, 「미술 교육에서 문화유산 교육에 대한 논의」, 「미술교육연구논총」 27권, pp.39~41.
  13. 김한종, 2015, 「교육과정 구성 논리로 본 2015 개정 역사교육과정의 쟁점」, 「역사교육연구」 23권, p.28.
  14. 노경민, 2020, 「문화유산 교육과정 개발 방안 연구 - 문화유산 교육 현황과 지속 가능한 교육과정 방안 제안」, 「교육시설」 27-2호, pp.60~68.
  15. 류호철, 2016, 「역사교육 소재로서 문화유산의 가치와 교육적 활용 방향 - 고등학생 대상 문화유산 교육 사례를 통해」, 「동아시아고대학」 42호, pp.128~129.
  16. 문화재청, 2000, 「초등학교 문화재 교육 지침서 - 문화재 교육의 이론.방법 및 실제」, pp.20~21.
  17. 문화재청, 2006, 「초.중학교 문화재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pp.5~10, 181~210.
  18. 문화재청, 2009, 「문화유산 교육 이렇게 해봐요 - 중등 교사를 위한 문화유산 교육 매뉴얼」, p.21.
  19. 박상혜, 2018, 「상상적 접근 질문을 통한 문화재 교육 방안 : 중학교 역사 교과서 문화재 내용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문화연구」 24권 3호, p.286.
  20. 방지원, 2006, 「초.중.고등학교 역사교육과정의 계열화 분석」, 「호서사학회」 298호, p.264.
  21. 백은진, 2015, 「역사 학습의 목적과 역사 교사의 역사교육 목적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인식」, 「역사교육」 133호, pp.36~38.
  22. 신소연, 2012, 「역사교육과정의 개정과 계열성 적용의 난맥」, 「역사교육」 137호, p.115.
  23. 신유아, 2012, 「역사 교과에서 계열성 구현의 난점」, 「역사교육」 120호, p.108.
  24. 신유아, 2017, 「역사교육과 문화유산의 전승」, 「인문학연구」 28호, pp.253~254.
  25. 임금섭, 2011, 「고등학교 국사 교과의 생활사 수업 방안」,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59~61.
  26. 전영준, 2018, 「역사적 사고력 伸張을 위한 중등 역사 수업의 문화재 교육」, 「역사와 실학」 66호, pp.424, 430~431.
  27. 정선영.김한종.양호환.이영효, 2001, 「역사교육의 이해」, 삼지원, pp.147~151.
  28. 차미희, 2005, 「7차 교육과정 중학교 국사 교육의 내용 구성」, 「한국사학보」 19호, p.207.
  29. 최상훈, 2003, 「역사과 독립의 필요성과 내용 조직 방안」, 「역사와 담론」 225호, pp.217~218.
  3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 역사과 교육과정」, 연구 보고 CRC 2015-25-7, pp.5~7, 105.
  31. 허차진, 2014, 「중학교 역사교육의 조선 전기 정치사 학습 방안」, 「청람사학」 23호, p.270.
  32. 홍후조, 2016, 「알기 쉬운 교육과정 (2판)」, 학지사, pp.173~174.